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0
제2절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6
제1절 노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 16
1. 노화 인식 및 노화 태도 16
2. 노화와 일의 의미 19
3. 노화 인식 및 노화 태도 관련 국내 선행연구 21
제2절 노년기 일에 대한 이론적 관점 25
1. 사회적 노화 이론 25
2. 신노년세대의 일 31
3. 노년기 일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 32
제3절 국내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 35
제3장 연구방법 39
제1절 질적 사례연구 39
제2절 연구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41
제3절 연구의 엄격성을 위한 노력 43
제4장 연구 결과 44
제1절 신노년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참여자가 경험한 노화와 일의 의미에 관한 사례 내 분석 44
1. 참여자 1의 사례 44
2. 참여자 2의 사례 45
3. 참여자 3의 사례 46
4. 참여자 4의 사례 47
5. 참여자 5의 사례 48
6. 참여자 6의 사례 49
7. 참여자 7의 사례 50
8. 참여자 8의 사례 51
9. 참여자 9의 사례 52
10. 참여자 10의 사례 53
11. 참여자 11의 사례 54
12. 참여자 12의 사례 55
제2절 신노년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참여자가 경험한 노화와 일의 의미에 관한 사례 간 분석 56
1. 새로운 적응의 시기 59
2. 변화의 청신호 62
3. 일의 반환점 64
4. 여전한 삶의 주자(走者) 67
5. 넘어야 할 장애물 69
제5장 논의 및 결론 73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73
제2절 연구의 함의 75
제3절 제언 79
1. 정책적 제언 79
2. 실천적 제언 81
3.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언 83
참고문헌 85
부록 97
ABSTRACT 101
〈표 1〉 노화 태도 및 노화 인식 개념 정의 17
〈표 2〉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유형 37
〈표 3〉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2
〈표 4〉 신노년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참여자가 경험한 노화와 일의 의미 58
〈그림 1〉 신노년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참여자가 경험하는 노화와 일의 의미 재구성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