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사회의 가구구조는 기본 3대 혹은 그 이상의 대가 한 집에 모여 사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시간이 지나고 사회의 많은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핵가족화를 넘어 이제는 혼자 사는 1인가구가 트렌드인 시대가 되었다. 이 트렌드는 더이상 간과할 수 없는 사회 주요 문제가 되었고 이에 일부 지자체에서는 이 현상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대처 방안을 내놓기 시작했다.
그 중 서울시는 2016년 전국 최초로 1인가구 지원 기본 조례를 제정하였고 2019년에는 제1차 서울시 1인가구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하였으며 기존 계획에서 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고자 2022년 서울시 1인가구 안심종합계획을 발표하여 현재까지 이 계획을 토대로 서울시 1인가구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서울시의 1인가구 지원사업은 세대별 맞춤형 정책이라기보다는 복지 차원의 보편적인 사업들 그리고 일회성으로 끝나는 사업들이 많으며 1인가구이지만 1인가구 지원사업이 운영되는지 모르고 있는 서울 시민들이 많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 하에 1인가구 사각지대로 불리는 중장년층 대상의 1인가구 지원사업에 주목하였으며 사업의 활성화 차원에서 서울시 중장년 1인가구 지원사업의 만족도와 목표달성도에 어떤 요인들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 어떤 요인들을 강화시키면 좋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에 사업의 만족도와 목표달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설정하였으며 그 요인들이 사업의 만족도와 목표달성도에 긍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서울시 중장년 1인가구 지원사업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이고자 서울시에 거주하는 1인 및 다인가구 40~64세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초통계분석, 차이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시 중장년 1인가구 지원사업의 사업인식요인의 인식 수준을 살펴보면 필요성을 제외하고 인지도와 이해도는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고 사업제공요인에서는 공정성, 지속성, 포괄성, 접근성 또한 낮음과 보통 수준 사이의 인식 수준으로 두 요인 모두 지원사업에 대해 대체적으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여주었다. 효과성을 나타내는 만족도와 목표달성도는 동일한 평균값이 나왔지만 마찬가지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여주었다. 사업인식요인과 만족도 및 목표달성도의 관계에서는 필요성만 목표달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라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나머지 인지도와 이해도는 모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제공요인과 사업의 만족도 및 목표달성도의 관계 분석 결과는 사업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정성, 지속성, 접근성이었고 사업 목표달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속성, 포괄성,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서울시가 1인가구 지원사업에 투자했던 예산 대비 사업 인지도 및 이해도면에서 매우 낮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다양한 홍보 수단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중장년 1인가구만의 특징이 있고 소득, 주거, 고용 등의 여러 방면에서 취약점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중장년 1인가구의 전반적인 상황과 실제 필요로 하는 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중장년 1인가구를 위한 전체적인 지원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 중장년 1인가구를 위한 일상생활 지원, 식생활 개선 및 관계형성 등에 집중한 프로그램들이 있으나 이 외에도 실질적인 욕구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다양한 방면에서 종합적 정책지원 등이 필요하다. 넷째, 사업의 관리적 측면에서 만족도 및 목표달성도를 제고하기 위해 공정성, 지속성, 접근성, 포괄성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증가하는 1인가구의 장기적인 지원 및 취약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뿐 아니라 중앙정부 차원에서 법령이나 제도를 보완하여 새로운 사회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사업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실제 사업에 참여했던 대상자의 표본이 다소 부족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며, 이는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