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2
Ⅰ.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내용 및 연구문제 19
3. 용어정리 20
Ⅱ. 이론적 배경 22
1. 치유환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 22
1) 치유의 개념 22
2) 치유환경의 개념과 역사 23
3) 치유환경의 요인 33
4) 노인 대상 치유환경의 중요성 44
2. 미술관의 치유 환경적 고찰 50
1) 미술과 치유, 그리고 미술관 50
2)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변화와 치유적 기능 고찰 59
3)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과 잠재력에 대한 논의들 69
4) 환경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 75
5) 치유를 위한 미술관의 다각적 접근들 79
3. 고령화 사회와 노인 85
1) 고령화 사회의 개념 85
2)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 86
3) 고령화 사회의 특징과 문제점 89
4)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우리나라의 정책과 문화예술 92
5) 고령화 사회의 과제 98
4. 고령화 사회에서 미술관 이용객으로서의 노인 100
1) 잠재적 이용객으로서의 노인 101
2) 프로그램 참여자로서의 노인 104
3) 치료적 관점에서 복지 수혜자로서의 노인 108
Ⅲ. 미술관의 치유환경 요인 분석 111
1. 미술관 치유환경진단을 위한 요인 도출 111
2. 미술관의 치유환경요인 사례분석 113
1) 지역 사립미술관의 특성 114
2) 인천·경기지역의 사립미술관 136
3) 지역 사립미술관의 치유환경요인 분석 및 사례 140
4) 지역 사립미술관의 치유환경요인 진단 173
3. 소결 181
Ⅳ. 노인을 위한 지역 사립미술관의 치유환경 진단 184
1.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도구 개발 및 조사 184
1) 지역 사립미술관의 치유환경 진단도구 개발 184
2) 연구대상 193
3)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93
4) 측정 도구 193
5) 연구결과 및 분석 194
2. 미술관 치유환경에 대한 노인 및 전문가 대상 표적 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 206
1) 조사방법 206
2) FGI 참여자 선정 및 정보 206
3) 표적 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결과 207
3. 소결 225
1)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 사립미술관에 대한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결과 225
2) 노인 표적 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결과 228
3) 전문가 표적 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결과 228
Ⅴ. 결론 230
1. 연구의 요약 230
2. 제언 236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239
참고문헌 241
부록 261
〈부록〉 1. 전문가 1차 내용 타당도검사 261
〈부록〉 2. 전문가 2차 내용 타당도검사 264
〈부록〉 3. 전문가 2차 내용 타당도검사 결과 267
〈부록〉 4.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 도구 개발과정 269
〈부록〉 5.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을 위한 설문조사 270
〈부록〉 6. (사)사립미술관 협회 인천·경기지역 사립미술관 정보 273
Abstract 284
〈표 2-1〉 치유환경의 기원과 발전 30
〈표 2-2〉 국외 연구자들의 치유환경요인 체크리스트 36
〈표 2-3〉 선행연구에 의한 치유환경영역 분류 및 세부요인(국외) 37
〈표 2-4〉 국내 연구자들의 치유환경요인 체크리스트 40
〈표 2-5〉 선행연구에 의한 치유환경영역 분류 및 세부요인(국내) 41
〈표 2-6〉 선행연구를 통한 치유환경요인 및 내용 도출 43
〈표 2-7〉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 인구 90
〈표 2-8〉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전문대 이상)취학률 92
〈표 2-9〉 노인계층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103
〈표 3-1〉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물리적·심리적·사회적 분류에 따른 미술관 환경과 치유환경요인 112
〈표 3-2〉 우리나라 미술관 수 130
〈표 3-3〉 인천경기지역 사립미술관 138
〈표 3-4〉 연 면적에 따른 미술관 규모 구분 142
〈표 3-5〉 인천 경기지역 사립미술관 교육프로그램 167
〈표 3-6〉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을 위한 치유환경요인과 세부내용 174
〈표 3-7〉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진단 기준 175
〈표 3-8〉 인천 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의 물리적 치유환경요인 체크리스트 175
〈표 3-9〉 심리적 환경에 대한 진단기준 177
〈표 3-10〉 인천·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의 심리적 치유환경요인 178
〈표 3-11〉 사회적 환경에 대한 진단기준 179
〈표 3-12〉 인천·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의 사회적 치유환경요인 180
〈표 4-1〉 미술관 치유환경진단 도구개발을 위한 항목선정 187
〈표 4-2〉 내용 타당도검사를 위한 전문가 정보 189
〈표 4-3〉 1차 전문가 내용 타당도검사 결과 189
〈표 4-4〉 1차 전문가 내용 타당도검사를 반영한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 도구 항목 192
〈표 4-5〉 2차 내용 타당도검사를 위한 전문가 정보 192
〈표 4-6〉 물리적 환경에 대한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결과 195
〈표 4-7〉 심리적 환경에 대한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결과 196
〈표 4-8〉 사회적 환경에 대한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결과 197
〈표 4-9〉 성별에 따른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결과 198
〈표 4-10〉 연령에 따른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결과 200
〈표 4-11〉 방문목적에 따른 미술관 치유환경 진단결과 202
〈표 4-12〉 표적 집단면접(FGI) 참여노인 정보 206
〈표 4-13〉 표적 집단면접(FGI) 참여전문가 정보 207
〈표 4-14〉 노인 대상 표적 집단면접(FGI) 분석결과 208
〈표 4-15〉 전문가집단 표적 집단면접(FGI) 분석결과(노인을 위한 치유환경) 217
〈표 4-16〉 전문갖비단 표적 집단면접(FGI) 분석결과(미술관 환경에 대한 전문가 평가) 221
그림 1-1) 연구모형도 21
그림 2-1) 아스클레피온 복원도 25
그림 2-2) 아스클레피온- 치유의 터널 25
그림 2-3) 중세 수도원 26
그림 2-4) 영국 왕립 어린이병원 29
그림 2-5) 텍사스 델(Dell) 어린이 의료 센터의 치유 정원 29
그림 2-6) 분당서울대병원 갤러리 29
그림 2-7) 전남대 병원 로비 29
그림 2-8) 해양자원을 활용한 치료 32
그림 2-9) 녹색교육센터 와숲 프로그램 책 표지 32
그림 2-10) 울산 반구대 암각화 고래 임신 사진 51
그림 2-11) The Flower Seller(Diego Rivera) 52
그림 2-12) 국립중앙박물관의 울산 반구대 암각화 모형 53
그림 2-13) 비엔나 미술사 박물관 (1). 55
그림 2-14) 비엔나 미술사 박물관 (2). 55
그림 2-15) 미술관 공간을 이용한 노인들의 스트링 아트 작업 56
그림 2-16) 메슬로우의 욕구 5단계 58
그림 2-17)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변화과정 76
그림 2-18) 미술관의 환경 심리학적 관점-인간과 미술관의 상호작용의 변화 78
그림 2-19) 국립중앙 박물관 Magazine Vol.44 p40-41 80
그림 2-20) Claude Monet(1840-1926)의 지베르니의 건초더미 81
그림 2-21) 관람객들을 위한 감상적 접근. 81
그림 2-22) 〈노인-오랜 경험〉의 전시 포스터 105
그림 2-23) 노인들의 미술관 작품 전시 106
그림 2-24) 미술관 방문 노인이 미술관에 기증한 골동품 시계 107
그림 3-1) 양평 구 하우스 미술관 144
그림 3-2) 가평 가일미술관 145
그림 3-3) 용인 마가미술관 145
그림 3-4) 지역 사립미술관의 안내표시 147
그림 3-5) 인천 경기지역 사립미술관들의 다양한 상징적 조형물 149
그림 3-6) 같은 공간에서 작품에 따른 색채 변화 151
그림 3-7) 미술관 내 시설에 맞게 설치된 조명들 153
그림 3-8) 작품감상을 위한 자율적인 공간 I 154
그림 3-9) 작품감상을 위한 자율적인 공간 II 155
그림 3-10) 노인드르이 미술관 관람 모습 157
그림 3-11) 미술관에서의 감상 활동 157
그림 3-12) 미술관 동선 158
그림 3-13) 기억재생을 위한 미술관의 환경 159
그림 3-14) 남양주 모란미술관의 야외 조각 전시장 159
그림 3-15) 인간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조형 요소 160
그림 3-16)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인천 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의 다양한 공간들 161
그림 3-17) 미술관에서 진행되는 가족 미술 활동 프로그램. 162
그림 3-18) 파주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백색전시공간) 162
그림 3-19) 미누 현대미술관의 미디어아트 163
그림 3-20) 구 하우스 옥상의 의자들 163
그림 3-21) 남양주 한강 뮤지엄의 미술 활동 키트 163
그림 3-22) 사회적 소통 및 상호작용을 위한 집단 스트링 아트 활동 165
그림 3-23) 노인을 위한 염색 프로그램 활동 165
그림 3-24) 미술관의 다양한 교육공간 166
그림 3-25) 인천 경기지역 사립미술관의 다양한 휴게공간 169
그림 3-26) 더리미미술관 한옥 서점 170
그림 3-27) 미술관 안내서 및 리플렛 170
그림 3-28) 한강 뮤지엄의 명화의 방 171
그림 3-29) 전시를 통한 다양한 정보제공 171
그림 3-30) 미술관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이벤트와 공간들 172
그림 3-31) 미술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이벤트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