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4
1. 연구 범위 14
2. 연구 방법 15
제3절 논문의 동기 16
제4절 논문의 구성 17
제2장 이론적 고찰 19
제1절 공예활동의 이론적 고찰 19
1. 공예의 개념과 변화 19
2. 공예활동의 이해와 의미 24
3. 공예활동의 유형과 특성 30
4. 공예활동의 역할과 효과성 47
제2절 공예활동의 체험요소 56
1. 교육적 체험 61
2. 심미적 체험 63
3. 오락적 체험 65
4. 일탈적 체험 66
제3절 중년여성의 이론적 고찰 68
1. 중년여성의 이해와 특성 71
2.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92
3.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지 95
4. 중년여성의 심리적 웰빙 100
제3장 중년여성의 공예활동 운영사례 분석 103
제1절 공예활동 사례 연구의 설계 103
1. 사례 연구의 과제 103
2. 인터뷰 구성 104
제2절 분석대상과 참여자 선정 106
1. 공예활동 분석 대상 선정 106
2. 공예활동 참여자 선정과 연구윤리 107
제3절 사례분석 결과 110
1. 종이공예 활동의 운영분석 110
2. 섬유공예 활동의 운영분석 118
3. 도자기공예 활동의 운영분석 125
4. 금속공예 활동의 운영 사례분석 133
제4장 연구 설계와 분석 결과 141
제1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141
1. 연구모형 142
2. 연구가설 144
제2절 설문의 구성 및 자료 수집 방법 146
1. 설문의 구성 146
2. 자료 분석 방법 150
제3절 분석 결과와 논의 151
1.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151
2. 구조방정식 모형 검정 결과 154
3.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164
제5장 결론 173
제1절 요약 173
제2절 제언 176
제3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177
참고문헌 178
설문지 192
ABSTRACT 198
〈표 1〉 공예의 분류 24
〈표 2〉 중년기 구분에 대한 선행연구 69
〈표 3〉 공예활동 인터뷰 질문 105
〈표 4〉 공예활동 연구 대상 설정 현황 106
〈표 5〉 연구참여자 선정 현황 108
〈표 6〉 한지 공예 활동 나비장 만들기 111
〈표 7〉 섬유공예 활동 퀼트 가방 만들기 119
〈표 8〉 도자기공예 활동 127
〈표 9〉 칠보공예 활동 135
〈표 10〉 설문 문항 구성 150
〈표 1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N=301) 152
〈표 12〉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155
〈표 13〉 변수 간 상관관계 및 판별 타당성 검정 156
〈표 14〉 공예활동 체험요소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설검정 결과 159
〈표 15〉 공예활동 체험요소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가설검정 결과 161
〈표 16〉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통한 심리적 웰빙의 가설검정 결과 163
〈표 17〉 가설검정 요약 164
〈표 18〉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통한 심리적 웰빙 검정 결과 요약 166
〈표 19〉 사례분석 결과 요약 167
[그림 1] Pine & Gilmore(1999)의 체험경제이론 요소 58
[그림 2] 연구모형 143
[그림 3] 연구 결과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