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4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6
제3절 연구의 동기 18
제2장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이론적 배경 20
제1절 영화 사운드의 역할 21
1. 움직임의 확인 22
2. 정보 제공 24
3. 심리상태 이해 28
4. 의미 전달 33
제2절 영화 사운드의 특성 36
1. 예술성 40
2. 상업성 47
3. 전문성 54
4. 창의성 59
제3절 영화 사운드디자인 제작과정 64
1. 기획단계 64
2. 제작단계 80
3. 믹싱단계 98
제3장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 사운드디자인 제작사례 114
제1절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 작품의 이해 114
1. 작품배경 115
2. 작품의 철학과 미학적 접근 118
3. 시퀀스 구조 122
4. 작품 컨셉 124
제2절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 사운드디자인 제작 128
1. 기획단계 128
2. 제작단계 149
3. 믹싱단계 180
제4장 사례연구 설계와 분석결과 196
제1절 연구의 모형과 연구의 접근 196
1. 연구의 모형 196
2. 연구의 접근 198
제2절 인터뷰 구성과 연구 참여자 선정 200
1. 인터뷰 구성 200
2. 연구 참여자 선정 203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06
1. 자료 수집 206
2. 분석방법 207
3.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208
제4절 분석결과와 논의 210
1. 분석결과 210
2. 논의 238
제5장 결론 252
제1절 요약 252
제2절 제언 257
제3절 향후 연구과제 259
참고문헌 261
부록 272
1. 연구 참여 동의서 272
2.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 작품 개요 273
Abstract 274
〈표 01〉 영화 사운드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요약 39
〈표 02〉 예술성 하위요소에 대한 선행연구 요약 41
〈표 03〉 상업성 하위요소에 대한 선행연구 요약 48
〈표 04〉 전문성 하위요소에 대한 선행연구 요약 55
〈표 05〉 창의성 하위요소에 대한 선행연구 요약 60
〈표 06〉 영화 〈스틸 라이프〉 음악 큐시트 내용 75
〈표 07〉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 등장인물 117
〈표 08〉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 제작기획서 130
〈표 09〉 주요헌팅 장소 132
〈표 10〉 주위환경 헌팅장소 133
〈표 11〉 스파팅 제3차 회의록 139
〈표 12〉 템프트랙 회의록 143
〈표 13〉 동시녹음에 사용된 물품 155
〈표 14〉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 시나리오 157
〈표 15〉 대사 후시녹음 리스트 158
〈표 16〉 기존 효과음 사용 리스트 162
〈표 17〉 씬(#) 리스트 별 큐시트 목록 173
〈표 18〉 주인공과 인물테마 175
〈표 19〉 영화사운드 예술성의 인터뷰 질문 201
〈표 20〉 영화사운드 상업성의 인터뷰 질문 202
〈표 21〉 영화 사운드 전문성의 인터뷰 질문 202
〈표 22〉 영화사운드 창의성의 인터뷰 질문 203
〈표 23〉 연구 참여자 현황 204
〈표 24〉 기획단계 분석결과 요약 239
〈표 25〉 제작단계 분석결과 요약 243
〈표 26〉 믹싱단계 분석결과 요약 247
〈그림 01〉 하드디스크 레코더 TASCAM HD-P2 151
〈그림 02〉 마이크 젠하이저 416 152
〈그림 03〉 후시 대사녹음 장면 158
〈그림 04〉 마이크의 선택과 위치 159
〈그림 05〉 나레이션 장면 160
〈그림 06〉 큰 사이즈의 영상화면 164
〈그림 07〉 폴리가 제작된 장면 165
〈그림 08〉 폴리의 소품사진 165
〈그림 09〉 창의적 녹음을 위한 모델링 166
〈그림 10〉 창의적 녹음재료 167
〈그림 11〉 창의적 녹음기법 168
〈그림 12〉 심리를 표현한 배경음악 179
〈그림 13〉 거시적 내러티브 182
〈그림 14〉 원근감과 사운드디자인 184
〈그림 15〉 뎁스 조절과 사운드 디자인 186
〈그림 16〉 공간 현장감과 사운드 디자인 187
〈그림 17〉 공간 입체감과 사운드 디자인 189
〈그림 18〉 다이나믹 레인지 콘트롤과 사운드 디자인 190
〈그림 19〉 내러티브와 연계한 다이나믹의 시퀀스 191
〈그림 20〉 사운드 믹싱 현장 193
〈그림 21〉 사운드 시사회 195
〈그림 22〉 연구의 모형 197
〈악보 01〉 Goldmund의 〈words〉 171
〈악보 02〉 〈Receives〉의 선율 구조 175
〈악보 03〉 키스 케니프의 〈Receives〉 177
〈악보 04〉 헬리오스의 〈Jaguar Sun〉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