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Ⅰ. 서론 15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5
1) 연구배경 15
2) 연구목적 18
2. 연구의 범위 19
1) 장소적 범위 19
2) 시간적 범위 23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4
1) 연구문제 24
2) 연구방법 24
4. 연구구성 30
Ⅱ. 연구의 이론적 고찰 33
1. 문화소비장소와 도시브랜드 33
1) 도시문화소비장소의 관점 34
2) 문화소비장소와 도시브랜드의 관계 54
2. 문화소비장소 방문의 의사결정과정과 유입요인 63
1) 방문자의 문화 소비장소 유입 의사결정과정과 특성 63
2) 문화소비장소 유입의 인적요인 69
3) 문화소비장소 유입의 환경적 요인 75
3. 소결 86
Ⅲ. 문화소비장소 사례지 연구 : 해방촌 88
1. 해방촌의 장소성 88
1) 장소의 개괄 88
2) 장소의 환경적 요소 93
3) 장소의 인적·문화적 요소 97
4) 장소의 인구·상권의 구성 105
2. 해방촌의 구조성 113
1) 개발계획 113
2) 건물의 다양성 114
3) 교통여건 116
3. 문화소비장소 해방촌의 매력요소 117
1) 낯선 거리풍경 117
2) 문화적 다양성 120
3) 해방촌의 무형·유형별 대표적 매력요소 분석 123
4. 해방촌 거주민 인터뷰를 통한 매력요소 분석 127
Ⅳ. 방문지 유입요인 분석 및 방법 130
1. 연구의 틀 130
2. 빅데이터 분석 132
1) 빅데이터 활용 장소분석 선행연구 132
2) 텍스트 마이닝 138
3) CONCOR(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altion)분석 140
3. 스몰데이터 분석: 근거이론 141
1)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구성 142
2) 연구참여자 선정(방문자) 146
3) 자료수집 및 분석 148
Ⅴ. 연구결과 150
1. 빅데이터 연구결과 및 분석 150
1) 기사검색을 통한 연관단어 돌출 150
2) 문화소비장소 유입요인에 대해 실제 단어빈도 분석 153
3) 문화소비장소 연관 주요 단어 의미연결망 구조 분석 164
2. 소결 177
3. 스몰데이터 연구의 결과 및 분석 180
1) 근거이론 180
2) 개방코딩: 방문자 유입요인 183
3) 개방코딩: 방문지 소비자 태도 201
4) 축코딩 212
5) 선택코딩 221
6) 상황모형(Conditional Matrix) 226
Ⅵ. 결론 231
1. 연구결과 요약 231
2. 연구의 함의 및 시사점 237
3. 연구의 한계점 239
참고문헌 241
부록 259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259
부록 2. 방문자 대상 심층 면접 질문지 260
부록 3. 해방촌 거주민 대상 심층면접 내용 정리 262
Abstract 272
〈표 1〉 해방촌 선행연구 22
〈표 2〉 빅데이터와 심층면접을 활용한 선행연구 25
〈표 3〉 언론기사 검색 솔루션 27
〈표 4〉 빅데이터 수집방법 정리 29
〈표 5〉 장소의 구성요소에 관한 선행연구 35
〈표 6〉 카플란스의 선호도 매트릭스 53
〈표 7〉 SNS를 활용한 공간연구 67
〈표 8〉 창조인이 선호하는 도시공간의 매력적 요인 72
〈표 9〉 시대별 대표상권 및 특징 77
〈표 10〉 핫플레이스 vs 번화가 79
〈표 11〉 TVn 드라마〈응답하라〉 시리즈 82
〈표 12〉 서울 골목길 여행 85
〈표 13〉 해방촌 인구수 105
〈표 14〉 외국인 추이 106
〈표 15〉 가구원에 따른 인구구조 106
〈표 16〉 음식업종 증감률 108
〈표 17〉 생활서비스 증감률 108
〈표 18〉 소매업 증감률 108
〈표 19〉 해방촌 매력요소별 콘텐츠 122
〈표 20〉 연구참여자 정보(거주자). 2019 128
〈표 21〉 해방촌 매력요소(거주자 의견) 129
〈표 22〉 오피니언 마이닝 연구자 133
〈표 23〉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마이닝 기법들 137
〈표 24〉 연구참여자 정보(방문자). 2020 147
〈표 25〉 문화소비장소 연도별 빈도 및 TF-IDF 155
〈표 26〉 문화소비장소 연도별 빈도: 지역 157
〈표 27〉 문화소비장소 연도별 빈도: 대상물 159
〈표 28〉 골목길 연도별 빈도 : 지역 161
〈표 29〉 해방촌길 연도별 빈도 162
〈표 30〉 경리단길 연도별 빈도 164
〈표 31〉 문화소비장소(2019): Density Matrix 166
〈표 32〉 문화소비장소(2015): Density Matrix 168
〈표 33〉 문화소비장소(2010): Density Matrix 169
〈표 34〉 문화소비장소 방문요인별 군집 173
〈표 35〉 언론에 노출된 연관단어 추출 177
〈표 36〉 문화소비장소 방문자 유입요인 및 소비자태도 연구결과 분석 182
〈그림 1〉 서울 전도에서의 해방촌 위치 20
〈그림 2〉 해방촌 주변 20
〈그림 3〉 연구의 구성 32
〈그림 4〉 공간과 장소의 구분 및 장소성의 관계 37
〈그림 5〉 필립 코틀러의 매장환경과 소비행동영향 52
〈그림 6〉 카플란스 소비장소 특성요인 54
〈그림 8〉 젠트리피케이션 연관단어 레이어 62
〈그림 9〉 밀레니엄세대 특징 도식화 75
〈그림 10〉 SNS에 나타난 핫플레이스와 번화가의 이미지 80
〈그림 11〉 핫플레이스와 번화가의 개념 도식화 81
〈그림 12〉 골목길 도식화 83
〈그림 13〉 SNS와 골목길 상단: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골목길... 84
〈그림 14〉 문화소비장소 기사검색량 90
〈그림 15〉 해방촌 전경(2018) 93
〈그림 16〉 해방촌 표고. 경사 현황 94
〈그림 17〉 해방촌 이미지 96
〈그림 18〉 용도 구역 및 지구도 97
〈그림 19〉 삼판통 지도(일제강점기) 98
〈그림 20〉 해방촌 도시 변천 과정 100
〈그림 21〉 해방촌 주거지 변화 104
〈그림 22〉 해방촌 상권 분석지구 110
〈그림 23〉 해방촌 단독주택 1층을 개조한 점포 110
〈그림 24〉 해방촌 부동산 상가 전환 111
〈그림 25〉 해방촌 생활밀착형 상가 전환 112
〈그림 26〉 해방촌 개발계획 113
〈그림 27〉 해방촌 건축물 현황(노후화와 용도) 114
〈그림 28〉 해방촌 건축물 현황(층수와 구조) 115
〈그림 29〉 해방촌 교통체계 현황 117
〈그림 30〉 해방촌 연관단어 워드클라우드 120
〈그림 31〉 해방촌 신흥시장 내. 외관 124
〈그림 32〉 해방촌 신흥시장 내부 저층 용도 125
〈그림 33〉 연구의 틀 131
〈그림 34〉 빅데이터 분석절차 136
〈그림 35〉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 144
〈그림 36〉 골목길 1990년~2000년 연관단어 검색결과 151
〈그림 37〉 골목길 2018년~2020년 연관단어 검색결과 151
〈그림 38〉 문화소비장소(2019) 의미연결망 분석 시각화 167
〈그림 39〉 문화소비장소(2015) 의미연결망 분석 시각화 170
〈그림 40〉 문화소비장소(2010) 의미연결망 분석 시각화 170
〈그림 41〉 문화소비장소(2019) CONCOR분석 결과 174
〈그림 42〉 문화소비장소(2015) CONCOR분석 결과 175
〈그림 43〉 문화소비장소(2010) CONCOR분석 결과 176
〈그림 44〉 문화소비장소 인식변화 178
〈그림 45〉 문화소비장소 유입요인 및 브랜드 소비 유형 181
〈그림 46〉 방문지 브랜드 자산가치 패러다임모형 221
〈그림 47〉 도시브랜드 자산가치 형성과정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