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4
1. 연구의 배경 34
2. 연구의 주제와 목적 38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4
1. 연구의 범위 44
2. 연구의 구성 50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5
제1절 정책결정 55
1. 정책결정 55
2. 외교정책 결정 59
3. 정책조정 76
제2절 국가안전보장회의 79
1. NSC 제도에 대한 선행연구 79
2. NSC를 통한 정책조정에 대한 선행연구 83
3. NSC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 87
4. NSC 위기관리에 대한 선행연구 89
제3절 선행연구의 한계와 본 연구의 주요 내용 90
제3장 국가안전보장회의 제도 분석 93
제1절 연구질문 93
제2절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94
제3절 제도 비교 분석 96
1. 미국 National Security Council 96
2.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113
3. 우리나라 국가안전보장회의 124
4. 소결 134
제4절 제도 변동 분석 136
1. 조직환경 상황요인(contingency element) 136
2. 조직규모 상황요인(contingency element) 155
3. 조직전략 상황요인(contingency element) 164
제5절 조직 변화 이후 전개 186
1. 노무현 정부 하반기 186
2. 이명박 정부 195
3. 박근혜 정부 200
4. 문재인 정부 207
제6절 소결 211
제4장 국가안전보장회의 기능 분석 218
제1절 연구질문 218
제2절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220
1. NSC 관계자들의 심층 인식분석 220
2. Q 진술문 구성 224
3. 분석틀 243
제3절 연구결과 245
1. Q 방법론 분석결과 245
2. 심층 인식분석 256
3. 소결 265
제5장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례 분석 270
제1절 연구질문 270
제2절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271
1. 사례분석 연구방법 271
2. 연구설계 273
제3절 연구결과 301
1. 유형1 : 대통령 정책의지 집행 기제 - 이라크 추가 파병 정책결정 301
2. 유형2 : 독립적인 정책결정 행위자 기제 - 사드 3불 합의 322
3. 유형3 : 부처 간 정책조정 기제 - 주한미국대사관 청사 이전 문제 342
4. 소결 : NSC 기제의 상황적합적 활용 401
제6장 결론 404
제1절 연구의 요약 404
제2절 연구의 함의 408
1. 이론적 함의 408
2. 정책적 함의 409
제3절 연구의 한계 413
제4절 본 연구의 결론 414
참고문헌 417
부록 25
〈부록 1〉 1947년 미국 국가안보법(제101조) 438
〈부록 2〉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설치법 442
〈부록 3〉 국가안전보장회의 운영등에 관한 규정 신구조문 대비표 450
〈부록 4〉 국가안전보장회의 운영등에 관한 규정 신구조문 대비표 455
〈부록 5〉 국가안전보장회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 신구조문 대비표 465
〈부록 6〉 국가안전보장회의법 신구조문 대비표 469
〈부록 7〉 Q 방법론 요인 수 비교 471
〈부록 8〉 요인 수 3개 분석 결과 476
〈부록 9〉 국방부 보도자료. 한미, 주한미군 사드 배치 부지 발표 508
〈부록 10〉 국방부 보도자료. 주한미군 THAAD 체계 배치 제3부지 평가결과 발표 510
〈부록 11〉 이명박 정부 NSC 보도자료 512
1. 을지 안전보장회의 및 을지 국무회의 주재 512
2.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을지 국무회의 주재 514
〈부록 12〉 박근혜 정부 NSC 보도자료 516
1. 일 NSC사무국장 방한 516
2. 야치 방한 관련 517
3. 주한미대사피습 519
4. NSC상임위개최(150821) 520
5. NSC상임위개최(170405) 521
6. NSC상임위개최(170416) 522
〈부록 13〉 문재인 정부 NSC 보도자료 523
1. NSC보도자료(170727) 523
2. NSC보도자료(170907) 524
3. NSC보도자료(170914) 525
4. NSC보도자료(171026) 526
5. NSC보도자료(171103) 527
6. NSC보도자료(171130) 528
7. NSC보도자료(171221) 529
8. NSC보도자료(180104) 530
9. NSC보도자료(180111) 531
10. NSC보도자료(180125) 532
11. NSC보도자료(180206) 533
12. NSC보도자료(180315) 534
13. NSC보도자료(180517) 535
14. NSC보도자료(180527) 536
15. NSC보도자료(181004) 537
16. NSC보도자료(181025) 538
17. NSC보도자료(181109) 539
18. NSC보도자료(181122) 540
19. NSC보도자료(181220) 541
20. NSC보도자료(190103) 542
21. NSC보도자료(190110) 543
22. NSC보도자료(190117) 544
23. NSC보도자료(190124) 545
24. NSC보도자료(190131) 546
25. NSC보도자료(190207) 547
26. NSC보도자료(190214) 548
27. NSC보도자료(190307) 549
28. NSC보도자료(190314) 550
29. NSC보도자료(190321) 551
30. NSC보도자료(190322) 552
31. NSC보도자료(190328) 553
32. NSC보도자료(190405) 554
33. NSC보도자료(190418) 555
34. NSC보도자료(190517) 556
35. NSC보도자료(190523) 557
36. NSC보도자료(190605) 558
37. NSC보도자료(190620) 559
38. NSC보도자료(190704) 560
39. NSC보도자료(190718) 561
40. NSC보도자료(190725) 562
41. NSC보도자료(190731) 563
42. NSC보도자료(190808) 564
43. NSC보도자료(190816) 565
44. NSC보도자료(190830) 566
45. NSC보도자료(190910) 567
46. NSC보도자료(190911) 568
47. NSC보도자료(190919) 569
48. NSC보도자료(191002) 570
49. NSC보도자료(191004) 571
50. NSC보도자료(191018) 572
51. NSC보도자료(191024) 573
52. NSC보도자료(191031) 574
53. NSC보도자료(191108) 575
54. NSC보도자료(191114) 576
55. NSC보도자료(191121) 577
56. NSC보도자료(191128) 578
57. NSC보도자료(191205) 579
58. NSC보도자료(191212) 580
59. NSC보도자료(191219) 581
60. NSC보도자료(191226) 582
61. NSC보도자료(200106) 583
62. NSC보도자료(200109) 584
63. NSC보도자료(200116) 585
64. NSC보도자료(200123) 586
65. NSC보도자료(200130) 587
66. NSC보도자료(200206) 588
67. NSC보도자료(200213) 589
68. NSC보도자료(200220) 590
69. NSC보도자료(200227) 591
70. NSC보도자료(200306) 592
71. NSC보도자료(200312) 593
72. NSC보도자료(200319) 594
73. NSC보도자료(200326) 595
74. NSC보도자료(200402) 596
75. NSC보도자료(200409) 597
76. NSC보도자료(200416) 598
77. NSC보도자료(200423) 599
78. NSC보도자료(200507) 600
79. NSC보도자료(200514) 601
80. NSC보도자료(200604) 602
81. NSC보도자료(200618) 603
82. NSC보도자료(200625) 604
83. NSC보도자료(200702) 605
84. NSC보도자료(200709) 606
85. NSC보도자료(200716) 607
86. NSC보도자료(200723) 608
87. NSC보도자료(200730) 609
88. NSC보도자료(200806) 610
89. NSC보도자료(200813) 611
90. NSC보도자료(200820) 612
91. NSC보도자료(200903) 613
92. NSC보도자료(200910) 614
93. NSC보도자료(200917) 615
94. NSC보도자료(200929) 616
95. NSC보도자료(201008) 617
96. NSC보도자료(201011) 618
97. NSC보도자료(201022) 619
98. NSC보도자료(201112) 620
99. NSC보도자료(201119) 621
100. NSC보도자료(201126) 622
101. NSC보도자료(201203) 623
102. NSC보도자료(201210) 624
103. NSC보도자료(201217) 625
104. NSC보도자료(201229) 626
105. NSC보도자료(210107) 627
106. NSC보도자료(210114) 628
107. NSC보도자료(210128) 629
108. NSC보도자료(210210) 630
109. NSC보도자료(210218) 631
110. NSC보도자료(210225) 632
111. NSC보도자료(210304) 633
112. NSC보도자료(210311) 634
113. NSC보도자료(210325) 635
114. NSC보도자료(210401) 637
115. NSC보도자료(210408) 638
116. NSC보도자료(210415) 639
117. NSC보도자료(210422) 640
118. NSC보도자료(210429) 641
119. NSC보도자료(210506) 642
120. NSC보도자료(210513) 643
121. NSC보도자료(210520) 644
122. NSC보도자료(210527) 645
123. NSC보도자료(210603) 646
124. NSC보도자료(210610) 647
125. NSC보도자료(210617) 648
126. NSC보도자료(210624) 649
127. NSC보도자료(210701) 650
128. NSC보도자료(210707) 651
129. NSC보도자료(210715) 652
130. NSC보도자료(210722) 653
131. NSC보도자료(210729) 654
132. NSC보도자료(210805) 655
133. NSC보도자료(210812) 656
134. NSC보도자료(210819) 657
135. NSC보도자료(210826) 658
136. NSC보도자료(210902) 659
137. NSC보도자료(210908) 660
138. NSC보도자료(210915) 661
139. NSC보도자료(210916) 662
140. NSC보도자료(210923) 663
141. NSC보도자료(210928) 664
142. NSC보도자료(210930) 665
143. NSC보도자료(211007) 666
144. NSC보도자료(211014) 667
145. NSC보도자료(211019) 668
146. NSC보도자료(211022) 669
147. NSC보도자료(211104) 670
148. NSC보도자료(211110) 671
149. NSC보도자료(211118) 672
150. NSC보도자료(211125) 673
151. NSC보도자료(211202) 674
152. NSC보도자료(211209) 675
153. NSC보도자료(211223) 677
154. NSC보도자료(211230) 678
155. NSC보도자료(220105) 680
156. NSC보도자료(220111) 681
157. NSC보도자료(220114) 682
158. NSC보도자료(220117) 683
159. NSC보도자료(220120) 684
160. NSC보도자료(220127) 685
161. NSC보도자료(220127) 686
162. NSC보도자료(220203) 687
163. NSC보도자료(220210) 688
164. NSC보도자료(220217) 689
165. NSC보도자료(220224) 690
166. NSC보도자료(220305) 691
167. NSC보도자료(220310) 693
168. NSC보도자료(220317) 694
169. NSC보도자료(220421) 695
〈부록 14〉 서울시와 주한미대사관간 재산교환(1986년) 696
〈부록 15〉 주한미대사관 청사 이전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간 양해각서(2005년) 713
〈부록 16〉 주한미대사관 청사, 직원숙소 및 기타 시설 건설에 관한 서울특별시와 미합중국 정부 간의 양해각서(2011년) 717
〈부록 17〉 (주한미대사관 청사) 부지교환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문화재청)과 미합중국 정부간 양해각서(국·영문, 2011년) 721
〈부록 18〉 대한민국 정부(문화재청)와 미합중국 정부간 주한미대사관저와 정동 부지간의 경계벽 설치에 관한 합의서(국·영문, 2011년) 737
〈부록 19〉 국토부보도자료. 용산공원정비구역종합기본계획 확정 고시(111010) 744
〈부록 20〉 국토부보도자료. 주한미대사관 직원숙소이전양해각서체결 768
〈부록 21〉 외교부보도자료. 용산기지순차적반환추진 770
Abstract 774
〈표 1〉 1947년 미국 국가안보법(제101조) 주요 조문 99
〈표 2〉 1986년 일본 법률 제71호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법 주요조문 118
〈표 3〉 국가안전보장회의 개최 실적 127
〈표 4〉 김대중 정부 국가안전보장회의법 (법률 제5543호, 1998년 5월 25일 일부개정) 128
〈표 5〉 김대중 정부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별표 개정(1998년 2월 28일) 130
〈표 6〉 김대중 정부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별표 전부개정(1998년 6월 8일) 130
〈표 7〉 대통령비서실 공무원 정원표(대통령비서실 직제) 149
〈표 8〉 대통령비서실 직제 개정 비교 151
〈표 9〉 김대중 정부 시기 대통령비서실 정원표 152
〈표 10〉 노무현 정부 출범에 따른 대통령비서실 정원표 개정 152
〈표 11〉 국가안전보장회의법(법률 제5681호, 1999년 1월 21일., 타법개정) 156
〈표 12〉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대통령령 제17944호, 2003.3.22.) 신구조문 대비표 주요 조문 158
〈표 13〉 김대중 정부 시기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원표 159
〈표 14〉 노무현 정부 출범 시기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원표 160
〈표 15〉 2004 외교백서 발간사(외교부 홈페이지) 175
〈표 16〉 2004 국방백서 발간사 178
〈표 17〉 대통령비서실 직제 일부개정 비교 188
〈표 18〉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주요내용 비교 189
〈표 19〉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주요내용 비교 192
〈표 20〉 국가안전보장회의법 일부개정 비교 192
〈표 21〉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주요내용 비교 193
〈표 22〉 국가안전보장회의법 일부개정 비교 195
〈표 23〉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전부개정 주요내용 비교 197
〈표 24〉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비교 199
〈표 25〉 정부조직법 일부개정 (법률 제9932호, 2010. 1. 18.) 199
〈표 26〉 정부조직법 전부개정 200
〈표 27〉 국가안보실 직제 신설(대통령령 제24427호, 2013. 3. 23. 제정) 201
〈표 28〉 국가안전보장회의법 일부개정 비교 203
〈표 29〉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비교 204
〈표 30〉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주요내용 비교 204
〈표 31〉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비교 206
〈표 32〉 대통령비서실 직제 일부개정 비교 207
〈표 33〉 국가안보실 직제 일부개정 비교 208
〈표 34〉 국가안전보장회의운영등에관한규정 일부개정 비교 210
〈표 35〉 우리나라-미국-일본 NSC 변화에 대한 비교 216
〈표 36〉 우리나라-미국-일본 NSC 변화의 공통점 및 차이점 217
〈표 37〉 국가안전보장회의법 개정 비교 227
〈표 38〉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제도에 대한 진술문 230
〈표 39〉 국가안전보장회의 논의 주체 및 객체에 대한 진술문 232
〈표 40〉 국가안전보장회의법 일부개정 비교 주요 조문 234
〈표 41〉 국가안전보장회의법 신구조문 대비표 235
〈표 42〉 국가안보실 직제 (대통령령 제32648호, 2022. 5. 12., 일부개정) 238
〈표 43〉 국가안전보장회의 운영에 대한 진술문 239
〈표 44〉 국가안전보장회의 기대 역할에 대한 진술문 243
〈표 45〉 아이겐값과 설명된 분산값, 누적 분산값 246
〈표 46〉 Q 설문 요인분석표(Factor Loading) 250
〈표 47〉 유형 간 상관관계(Correlations Between Factor Scores) 252
〈표 48〉 진술문에 따른 요인가(Factor Q-Sort Values for Each Statement) 253
〈표 49〉 유형 1 주요 특성 257
〈표 50〉 유형 1 부수적인 특성 258
〈표 51〉 유형 2 주요 특성 260
〈표 52〉 유형 2 부수적인 특성 261
〈표 53〉 유형 3 주요 특성 263
〈표 54〉 유형 2 부수적인 특성 264
〈표 55〉 차별성이 적은 견해 266
〈표 56〉 분석대상 자료 273
〈표 57〉 노무현 정부 NSC 논의 안건 목록 280
〈표 58〉 노무현 정부 시기 NSC 관련 외교안보정책 결정 사례 282
〈표 59〉 이명박 정부 NSC 논의 안건 목록 283
〈표 60〉 이명박 정부 시기 NSC 관련 외교안보정책 결정 사례 284
〈표 61〉 박근혜 정부 NSC 논의 안건 목록 286
〈표 62〉 박근혜 정부 시기 NSC 관련 외교안보정책 결정 사례 287
〈표 63〉 문재인 정부 NSC 공식 보도자료 목록 289
〈표 64〉 추가 NSC 논의 의제 목록 298
〈표 65〉 문재인 정부 시기 NSC 관련 외교안보정책 결정 사례 298
〈표 66〉 2003~2021년 간 외교안보정책 결정 사례 300
〈표 67〉 이라크 추가 파병 동의안 의결 현황 319
〈표 68〉 한한령 피해 사례 330
〈표 69〉 사드 경제보복조치 332
〈표 70〉 용산공원정비구역(2011년 5월 고시) 현황 363
〈표 71〉 용산공원 추진경과 366
〈표 72〉 덕수궁터미대사관신축철회권고결의안 380
〈표 73〉 정부조직법 제30조(외교부) 383
〈표 74〉 우리 정부(문화재청)-미국 정부(주한미국대사관) 간 부지교환 양해각서 주요내용 390
〈표 75〉 우리 정부(문화재청)-미국 정부(주한미국대사관) 간 주한미대사관저와 정동 부지간의 경계벽 설치에 관한 합의서 주요내용 392
〈표 76〉 서울시-주한미국대사관 간 미대사관 청사 건축 MOU 주요 내용 393
〈그림 1〉 본 연구 진행과정 92
〈그림 2〉 부시행정부 시기 NSC 조직도(1992) 110
〈그림 3〉 오바마 행정부 시기 NSC 조직도(2015) 112
〈그림 4〉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관련 조직도 122
〈그림 5〉 일본 국가안전보장국(NSS) 조직도(2020년 4월 1일 기준) 123
〈그림 6〉 김대중 정부 국가안전보장회의 조직 131
〈그림 7〉 노무현 정부 NSC 사무처 조직도(2004년) 163
〈그림 8〉 Q 방법론 분석과정 224
〈그림 9〉 Q 방법론 설문조사 배포 답변지 245
〈그림 10〉 스크리 도표 (Scree Plot) 248
〈그림 11〉 심층 인식유형에 대한 변수 스펙트럼 268
〈그림 12〉 사드(THAAD) 포대 구성 323
〈그림 13〉 주한미군 사드체계 배치 324
〈그림 14〉 사드 안전거리 327
〈그림 15〉 용산공원 정비구역 현황 349
〈그림 16〉 2005년 양해각서로 돌려받은 덕수궁 부지 350
〈그림 17〉 미 대사관 이전 관련 업무 네트워크 351
〈그림 18〉 용산공원 조성 추진 업무 네트워크 353
〈그림 19〉 용산기지 미 국무부 사용지역 355
〈그림 20〉 아세아아파트 부지 357
〈그림 21〉 용산 주한미대사관 위치도 358
〈그림 22〉 신축 예정 미 대사관 조감도 358
〈그림 23〉 용산공원 정비구역 364
〈그림 24〉 서울시의 용산 군이적지 활용방안과 기본계획 구상안(1991년) 371
〈그림 25〉 서울시 구상안(2005) 376
〈그림 26〉 문화재청 주요업무계획(2022년) 379
〈그림 27〉 2004년도 외교부 주요업무계획 385
〈그림 28〉 2006년도 외교부 주요업무계획 385
〈그림 29〉 2007년도 외교부 주요업무계획 386
〈그림 30〉 2008년도 외교부 주요업무계획 386
〈그림 31〉 2021년 기준 용산공원 조성도 397
〈그림 32〉 서울 용산 주한미군기지 반환 현황 399
〈그림 33〉 NSC 기제의 상황적합적 활용 스펙트럼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