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대상 및 방법 11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11

2. 연구방법 12

제2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13

제1절 사회갈등에 관한 이론적 논의 13

1. 사회갈등 13

2. 사회갈등의 유형 및 원인 14

3. 사회갈등관련 주요 선행연구 16

제2절 신뢰에 관한 이론적 논의 18

1. 신뢰의 개념 및 효과 18

2. 사회신뢰와 정부신뢰 18

3.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19

제3절 행복에 관한 이론적 논의 22

1. 행복의 개념 22

2. 행복이론: 상향확산이론 23

3. 행복의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24

제4절 주요변수 간 선행연구 26

1. 사회갈등인식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26

2. 조절효과로서 신뢰에 대한 선행연구 28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0

제3장 연구설계 32

제1절 연구모형 32

제2절 연구가설 32

제3절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34

1. 연구자료 34

2. 변수의 개념화와 조작화 35

3. 분석방법 39

제4장 분석결과 40

제1절 기술통계분석 40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0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분석 및 신뢰도 분석 41

제2절 주요변수의 서울 시민들의 집단간 수준 43

1. 서울시민들의 종속·독립변수에 대한 집단간 수준 비교 43

2. 서울시민들의 조절변수에 대한 집단간 수준 비교 46

제3절 주요변수 간 상관분석 48

1. 행복감과의 상관관계 48

2. 사회갈등인식과의 상관관계 48

3.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의 상관관계 49

제4절 주요변수 간 위계적 회귀분석 및 연도별 비교 52

1. 주요변수 간 위계적 회귀분석 52

2. 연도별 위계적 회귀분석 비교 58

제5절 분석결과에 대한 토론 62

1. 사회갈등인식과 행복감에서의 사회신뢰의 중요성 62

2. 사회신뢰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63

3. 정부신뢰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64

제5장 결론 65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65

제2절 연구의 시사점 66

제3절 연구의 한계 68

참고문헌 69

Abstract 77

[표 1-1] 갈등유형에 관한 선행연구 15

[표 2-1]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의 효과 실증연구 21

[표 2-2] 사회갈등인식과 행복감에 관한 실증연구 28

[표 2-3] 신뢰의 조절효과 실증연구 30

[표 3-1] 변수의 측정 37

[표 4-1] 2021년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0

[표 4-2] 2021년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분석 42

[표 4-3] 2021년 주요변수의 신뢰도분석 43

[표 4-4] 서울시 종속·독립변수의 집단간 수준(분산분석) 44

[표 4-5] 서울시 조절변수의 집단간 수준(분산분석) 47

[표 4-6]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51

[표 4-7] 위계적 회귀분석 모형 요약 52

[표 4-8]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53

[표 4-9] 연도별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61

[그림 1-1] 사회갈등과 공공갈등 14

[그림 3-1] 연구모형 32

[그림 4-1]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의 조절효과 57

[그림 4-2] 연도별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의 조절효과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