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2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1.2. 연구 문제 15

1.3. 용어의 정의 16

1.3.1.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16

1.3.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16

2. 이론적 배경 17

2.1.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17

2.1.1.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개요 17

2.1.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참여 청소년 및 실무자 20

2.2. 청소년지도사 22

2.2.1. 청소년지도사 역할과 책임 22

2.2.2.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27

2.3. 역량과 역량모델 29

2.3.1. 역량과 역량모델의 개념 29

2.3.2. 청소년지도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31

2.3.3.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32

3. 연구방법 35

3.1. 연구의 절차 35

3.2. 연구의 대상 37

3.2.1. 초점집단인터뷰 참여자 37

3.2.2. 행동사건인터뷰 참여자 38

3.2.3. 타당성 검증 설문참여자 39

3.2.4. 역량모델 적합성 설문참여자 40

3.3. 자료 수집 41

3.3.1. 초점집단인터뷰 자료수집 41

3.3.2. 행동사건인터뷰 자료수집 44

3.3.3. 전문가 타당성 검토 자료수집 45

3.3.4.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설문조사 자료수집 46

4. 연구결과 및 해석 48

4.1. 초점집단인터뷰와 행동사건인터뷰 결과 48

4.1.1. 팀장 잠정적 역량모델 행동사례 48

4.1.2. 담임 잠정적 역량모델 행동사례 57

4.2. 잠정적 역량모델 도출 결과 65

4.3. 잠정적 역량모델 타당성 검증 68

4.3.1. 팀장의 잠정적 역량모델 타당성 검증 69

4.3.2. 담임의 잠정적 역량모델 타당성 검증 73

4.4.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직급별 최종 역량모델 76

4.4.1. 팀장의 최종 역량모델 77

4.4.2. 담임의 최종 역량모델 81

4.4.3. 최종 역량모델 신뢰도 분석 84

4.5. 최종 역량모델에 대한 역량 적합도 인식 분석 85

4.5.1. 적합도 인식분석 설문 참여자 현황 86

4.5.2. 기관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 분석 90

4.5.3. 실무자의 근로형태 변인 93

4.5.4. 운영 교급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 분석 96

4.5.5. 연령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 분석 98

4.5.6. 근무 경력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 분석 102

4.5.7. 학력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 분석 104

5. 논의 및 제언 108

5.1. 요약 및 논의 108

5.1.1. 요약 108

5.1.2. 논의 110

5.2. 시사점 113

5.2.1. 이론적 시사점 113

5.2.2. 실천적 시사점 115

5.3. 제한점 및 제언 117

참고문헌 118

Abstract 124

부록 11

〈부록 1〉 인터뷰 참여자 동의서 127

〈부록 2〉 전문가 검토지 128

〈부록 3〉 팀장 적합도 설문지 149

〈부록 4〉 담임 적합도 설문지 155

〈표 3.1〉 초점집단인터뷰 대상자 38

〈표 3.2〉 행동사건인터뷰 대상자 39

〈표 3.3〉 타당성 검증 설문참여자 40

〈표 3.4〉 전국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기관현황(기본형, 농산어촌형) 및 연구참여기관 수 41

〈표 3.5〉 초점집단인터뷰 사전 질문지 구성 43

〈표 3.6〉 초점집단인터뷰 진행 안내문 구성 43

〈표 3.7〉 행동사건 인터뷰 질문 내용 44

〈표 3.8〉 전문가 검토지(예시) 46

〈표 3.9〉 적합도 설문 참여기관 및 참여 실무자 현황 47

〈표 4.1〉 잠정적 역량모델 구성과 역량별 정의 67

〈표 4.2〉 잠정적 역량모델의 행동지표 68

〈표 4.3〉 잠정적 팀장 역량모델 검토 결과 69

〈표 4.4〉 잠정적 담임 역량모델 검토 결과 73

〈표 4.5〉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최종 역량모델 구성 76

〈표 4.6〉 팀장의 최종 역량모델 77

〈표 4.7〉 담임의 최종 역량모델 81

〈표 4.8〉 직급별, 역량 신뢰도 84

〈표 4.9〉 설문 참여 실무자 업무수행 기관 유형 현황 86

〈표 4.10〉 설문 참여 실무자 근로 형태 현황 86

〈표 4.11〉 설문 참여 실무자 운영 교급 현황 87

〈표 4.12〉 설문 참여 실무자 성별 및 연령 현황 87

〈표 4.13〉 설문 참여 실무자 근무 경력 현황 88

〈표 4.14〉 설문 참여 실무자의 학력 현황 89

〈표 4.15〉 실무자의 자격 보유 현황 89

〈표 4.16〉 팀장의 근무기관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90

〈표 4.17〉 담임의 근무기관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92

〈표 4.18〉 팀장의 근로형태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93

〈표 4.19〉 담임의 근로형태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94

〈표 4.20〉 팀장이 운영하는 교급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96

〈표 4.21〉 담임이 운영하는 교급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97

〈표 4.22〉 팀장의 연령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99

〈표 4.23〉 담임의 연령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100

〈표 4.24〉 팀장의 근무경력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 분석 102

〈표 4.25〉 담임의 근무경력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103

〈표 4.26〉 팀장의 학력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105

〈표 4.27〉 담임의 학력에 따른 역량 적합도 인식 차이분석 106

[그림 3.1] 연구절차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