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 필요성 12
1.1. 폐경으로 인한 급격한 생리 및 신체조성의 변화 12
1.2. 여성호르몬 대체요법(estrogen replacement therapy)의 한계성 14
1.3. 운동 및 아세트산 섭취에 관한 대체요법의 필요성 15
2. 연구 목적 17
3. 연구 가설 17
1) 아세트산 섭취 및 운동 중재는 신체조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17
2) 아세트산 섭취 및 운동 중재는 전신 신진대사량을 높일 것이다. 18
3) 아세트산 섭취 및 운동 중재는 당내성을 높일 것이다. 18
4) 아세트산 섭취 및 운동 중재는 골격근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높일 것이다. 19
5) 아세트산 섭취 및 운동 중재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19
II. 이론적 배경 20
1. 폐경으로 인한 대사 장애 20
1.1. 폐경 정의 및 증상 20
1.2. 신체조성의 변화 23
1.3. 당 및 지질 대사의 변화 25
1.4.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저하 28
1.5.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의 변화 30
2. 폐경 여성에 대한 운동의 효과 33
3. 폐경 여성의 에너지 대사에 대한 아세트산 섭취의 효과 36
III. 연구 방법 39
1. 동물연구윤리위원회 39
2. 실험 설계 및 방법 39
2.1. 실험 동물 39
2.2. 사육 환경 41
2.3. 식이 사료 42
2.4. 운동 중재 43
2.5. 난소절제술로 유도된 폐경 모델 44
2.6. 신체조성 / 전신 신진대사량 / 당내성 45
2.7. 골격근 미토콘드리아 기능 46
2.8.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47
2.9. 주 차별 세부 절차 50
3. 연구 일정 51
4. 실험 및 측정 도구 52
5. 자료 및 통계 처리 53
IV. 연구 결과 54
1. 체중 54
2. 섭취 열량 55
3. 자발적 휠러닝 거리 57
4. 신체조성 58
5. 전신 신진대사량 59
6. 당내성 60
7. 골격근 미토콘드리아 기능 61
8.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63
V. 논의 65
VI. 결론 및 제언 79
참고문헌 80
ABSTRACT 107
표 1. 폐경 전·후 주기 및 내분비 특징 20
표 2. 처치 요인에 따른 실험동물의 집단 분류 40
표 3. 구입 및 처치 시점에 따른 실험동물의 집단 분류 41
표 4. 사료 주요영양성분 42
표 5. 사용된 염기 서열 48
표 6. 주 차별 세부 절차 50
표 7. 세부 연구 일정 51
표 8. 실험 및 측정 도구 52
표 9. 주당 아세트산 평균 섭취량 56
그림 1. 본 실험에서 사용된 자발적 휠러닝 장비(A) 및 거리측정계(B) 43
그림 2. 미토콘드리아 기능 분석화면 47
그림 2. O₂ concentration [(nmol*mL-1), 얇은 선]과 Oxygen flux [(pmol*s-1*mg-1), 굵은 선]으로 나타낸 미토콘드리아 기능 분석화면[이미지참조] 47
그림 3. 기간별 집단 간 체중 차이 54
그림 4. 13주간 집단별 섭취 열량 차이 55
그림 5. 13주간 집단별 휠러닝 거리 차이 57
그림 6. 집단 간 체지방량(A) 및 제지방량(B) 차이 58
그림 7. 집단 간 전신 신진대사량 차이 59
그림 8. IP-GTT 에 대한 집단 간 당흡수 변화 및 혈중 당흡수 저항성 차이 60
그림 9. 집단 간 가자미근 미토콘드리아 기능 차이 61
그림 10. 집단 간 비복근 미토콘드리아 기능 차이 62
그림 11. 알파 다양성의 지표인 Observed OTUs (A) 및 Shannon Index (B) 63
그림 12. 문 수준에서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 및 후벽균/의간균 비율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