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0
1.1. 연구의 필요성 10
1.2. 연구 목적 13
1.3. 연구 가설 14
1.4. 연구의 제한점 14
1.5. 용어의 정의 14
1) 안정화 시간 14
2) 하지 강성 15
2. 이론적 배경 16
2.1. 발목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16
2.2. 발목관절의 불안정성 19
2.3. 정적 및 동적 안정성 21
3. 연구방법 26
3.1. 기관생명윤리위원회 26
3.2. 연구대상 26
3.3. 연구 일정 27
3.4. 실험 도구 및 장비 28
3.5. 연구설계 및 절차 29
3.6. 자료산출 33
3.6.1. 운동학적 변인 33
3.6.2. 운동역학적 변인 34
3.7. 통계처리 37
4. 연구결과 38
4.1. 전방 점프 착지 시 운동학적 변인 38
4.1.1. 엉덩관절 각도 38
4.1.2. 무릎관절 각도 41
4.1.3. 발목관절 각도 44
4.1.4. COM-COP 기울기 각도 47
4.2. 전방 점프 착지 시 운동역학적 변인 49
4.2.1. 안정화 시간 49
4.2.2. 최대 수직 지면반력, 부하율 및 하지 강성 50
5. 논의 52
5.1. 전방 점프 착지 시 운동학적 변인 분석 52
5.2. 전방 점프 착지 시 운동역학적 변인 분석 58
6. 결론 및 제언 61
6.1. 결론 61
6.2. 제언 62
참고문헌 63
ABSTRACT 76
부록 77
부록 1.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한글 번역판 (CAIT-K) 77
부록 2.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한글 번역판(IdFAI-K) 79
Table 1. Participant demographics information 27
Table 2. Research Schedule 27
Table 3. Experiment equipment 28
Table 4. Anatomical plane and movement direction 33
Table 5. Hip Kinematic Variables 38
Table 6. Knee Kinematic Variables 41
Table 7. Ankle Kinematic Variables 44
Table 8. COM-COP angle 47
Table 9. TTS 49
Table 10. Kinetic Variables 50
Figure 1. Structure of the ankle joint 16
Figure 2. Lateral ankle ligament complex 17
Figure 3. COM-COP inclination angle 22
Figure 4. TTS point 23
Figure 5. TTB 24
Figure 6. Experiment design 29
Figure 7. Modified Helen Hayes markers set 30
Figure 8. Laboratory measurement environment 31
Figure 9. Forward jump landing 32
Figure 10. Event setting 36
Figure 11. Hip flexion angle 39
Figure 12. Hip abduction angle 40
Figure 13. Hip internal rotation angle 40
Figure 14. Knee flexion angle 42
Figure 15. Knee valgus angle 42
Figure 16. Knee internal rotation angle 43
Figure 17. Ankle dorsiflexion angle 45
Figure 18. Ankle eversion angle 45
Figure 19. Ankle external rotation angle 46
Figure 20. AP COM-COP angle 48
Figure 21. ML COM-COP angle 48
Figure 22. TTS 49
Figure 23. Peak vGRF 50
Figure 24. Loading rate 51
Figure 25. Leg stiffness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