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3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1.2. 연구문제 16

1.3. 용어의 정의 16

1.3.1. Re-Skilling 프로그램 17

1.3.2. 적응수행 17

1.3.3. 학습 민첩성 17

2. 이론적 배경 19

2.1. Re-Skilling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과 선행연구 19

2.1.1. Kirkpatrick 4수준 평가모형의 개념 19

2.1.2. Kirkpatrick 4수준 평가모형의 선행연구 20

2.1.3. 직무전환과 Re-Skilling Program의 정의 21

2.2. 적응수행의 개념과 선행연구 25

2.2.1. 적응수행의 개념 25

2.2.2. 적응수행의 선행연구 30

2.3. 학습민첩성의 개념과 선행연구 33

2.3.1. 학습민첩성의 개념 33

2.3.2. 학습민첩성의 선행연구 34

2.4. 연구변인 간 관계 35

2.4.1. Re-Skilling 프로그램과 적응수행의 관계 36

2.4.2. Re-Skilling 프로그램과 학습민첩성의 관계 36

2.4.3. 학습 민첩성과 적응수행의 관계 37

2.4.4. 매개변수로서의 학습 민첩성 38

3. 연구방법 39

3.1. 연구모형 및 가설 39

3.1.1. 연구 가설 39

3.1.2. 연구모형 40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1

3.3. 연구방법 및 도구 42

3.3.1. 연구방법 42

3.3.2. 연구도구 43

4. 연구결과 47

4.1. Re-Skilling 프로그램 평가도구 47

4.2. 자료 검증 49

4.2.1. 동일방법편의(commom method bias) 49

4.2.2. 결측치와 이상치 50

4.3. 연구모형 검증 51

4.3.1.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결과 51

4.3.2. 기술통계량 분석결과 53

4.3.3.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55

4.3.4. 구조방정식 모델의 검증 61

4.3.5. 가설검증 결과 요약 65

4.3.6. 연구결과 요약 67

5. 논의 및 결론 68

5.1. 연구의 요약 68

5.2. 연구결과 논의 69

5.3. 시사점 및 제한점 74

5.3.1. 이론적 시사점 74

5.3.2. 실천적 시사점 75

5.3.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6

부록 89

〈표 2.1〉 직무전환의 다양성 22

〈표 2.2〉 P건설사 Re-Skilling 프로그램의 예시 24

〈표 2.3〉 적응수행에 대한 다양한 정의 26

〈표 3.1〉 연구절차 43

〈표 3.2〉 설문지 구성 46

〈표 4.1〉 Re-Skilling 프로그램 측정문항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N=52) 48

〈표 4.2〉 동일방법편의 오류 검증을 위한 단일요인분석 50

〈표 4.3〉 일반 기초통계 빈도분석 52

〈표 4.4〉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량 분석결과(N=342) 53

〈표 4.5〉 Re-Skilling 프로그램의 신뢰도 분석 결과 55

〈표 4.6〉 적응수행 문항의 신뢰도 분석 결과 56

〈표 4.7〉 학습 민첩성 문항의 CFA 및 신뢰도 분석 결과 57

〈표 4.8〉 측정모델별 적합도 검증결과 58

〈표 4.9〉 연구에 사용된 측정모델의 경로계수 추정치 59

〈표 4.10〉 잠재변수들의 상관계수 61

〈표 4.11〉 구조모델의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검증결과 62

〈표 4.12〉 구조모델의 경로계수 추정치 63

〈표 4.13〉 프로그램 교육 만족도와 적응수행 변수들의 직·간접효과 결과 64

〈표 4.14〉 연구가설 검증 결과 66

[그림 3.1] 연구모형 40

[그림 4.1] 구조모델 표준화 경로계수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