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3
1.1. 연구 목적 13
1.2. 선행연구 14
1.3. 연구 방법 18
2. 한국어 교육에서의 지역 문화와 문화 체험 19
2.1. 문화 교육에서 지역 문화의 의미와 성격 19
2.2.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 체험의 가치와 방법 23
3. 인천 지역 문화 자원과 문화 체험 프로그램 29
3.1. 인천 지역의 문화적 요소 29
3.2. 인천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 체험 31
3.2.1. 문화 체험 내용 선정 31
3.2.2. 보편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36
3.2.3. 특수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42
4. 학습자 요구 조사 및 결과 분석 51
4.1. 학습자 요구 조사 51
4.1.1. 조사 대상 및 방법 51
4.1.2. 연구 절차 53
4.2. 결과 분석 54
가. 학습자 변인 54
나. 지역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55
다.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 체험에 대한 인식 57
라. 현 기관의 체험 프로그램 실태 59
마.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61
5. 인천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 교육 방안 68
5.1. 인천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설계 68
5.2. 인천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실제 76
5.2.1. 프로그램 모형 76
5.2.2. 프로그램 실제 78
6. 결론 90
참고문헌 93
ABSTRACT 96
부록 99
〈표 2.1〉 문화 자원의 유형 24
〈표 2.2〉 문은주(2004)의 문화 체험 수업 단계 모형 27
〈표 2.3〉 윤상철(2004:52)의 현장 학습 운영 모형 27
〈표 3.1〉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4단계)의 문화 지식 내용 31
〈표 3.2〉 한국 문화 지식 내용에 따른 지역 문화 지식 내용 32
〈표 3.3〉 문화 지식 세부 기술과 인천 지역 문화 자원 33
〈표 3.4〉 보편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일상생활' 범주 37
〈표 3.5〉 보편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과학·기술' 범주 38
〈표 3.6〉 보편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예술' 범주 39
〈표 3.7〉 보편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문화유산' 범주 40
〈표 3.8〉 특수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일상생활' 범주 42
〈표 3.9〉 특수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역사' 범주 43
〈표 3.10〉 특수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사회' 범주 45
〈표 3.11〉 특수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지리' 범주 46
〈표 3.12〉 특수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예술' 범주 48
〈표 3.13〉 특수적 문화 체험 프로그램 '문화유산' 범주 49
〈표 4.1〉 설문지 내용 52
〈표 4.2〉 응답자의 국적 54
〈표 4.3〉 한국어 학습 목적 55
〈표 4.4〉 지역 문화에 대한 인식 56
〈표 4.5〉 지역 문화 학습과 한국어 습득의 관계 56
〈표 4.6〉 지역 문화 학습과 한국 문화 이해의 관계 56
〈표 4.7〉 지역 문화 학습과 생활적응의 관계 56
〈표 4.8〉 지역 문화 자원에 대한 관심도 57
〈표 4.9〉 지역 문화 체험에 대한 경험 여부 58
〈표 4.10〉 개인적으로 경험한 문화 체험의 종류(중복 선택 가능) 58
〈표 4.11〉 개인적으로 경험한 문화 체험의 만족도 58
〈표 4.12〉 문화 체험을 경험해 보지 않은 응답자들의 이유 59
〈표 4.13〉 교육기관에서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참여한 경험 60
〈표 4.14〉 교육기관에서 진행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빈도 60
〈표 4.15〉 교육기관에서 선정한 문화 체험 장소(주관식) 60
〈표 4.16〉 교육기관에서 진행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수준별 진행 여부 60
〈표 4.17〉 지역 문화 및 한국 문화 이해 여부 61
〈표 4.18〉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사 61
〈표 4.19〉 거부 시 이유(중복 선택 가능) 62
〈표 4.20〉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진행 방법 62
〈표 4.21〉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빈도 62
〈표 4.22〉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시간 수 62
〈표 4.23〉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수업 진행자 63
〈표 4.24〉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수준별 구성 여부 63
〈표 4.25〉 인천에서 체험하고 싶은 문화 내용(중복 선택 가능) 64
〈표 4.26〉 '일상생활 문화' 중 관심이 있는 것 64
〈표 4.27〉 '역사 문화 중' 관심이 있는 것 65
〈표 4.28〉 '지리 문화' 중 관심이 있는 것 65
〈표 4.29〉 '예술 문화' 중 관심이 있는 것 65
〈표 4.30〉 '문화유산' 중 관심이 있는 것 65
〈표 4.31〉 '과학·기술 문화' 중 관심이 있는 것 66
〈표 4.32〉 '사회 문화(다문화)' 중 관심이 있는 것 66
〈표 5.1〉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4단계)의 문화 교육 목표 70
〈표 5.2〉 초급 학습자들을 위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 내용 71
〈표 5.3〉 중급 학습자들을 위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 내용 73
〈표 5.4〉 고급 학습자들을 위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 내용 74
〈표 5.5〉 과제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지역 문화 체험 프로그램 모형 77
〈표 5.6〉 역사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 계획안 79
〈표 5.7〉 개항장 지도를 본 후 질문할 내용 83
〈표 5.8〉 문화 체험 활동 계획 및 유의 사항 83
〈표 5.9〉 문화 체험 활동지 84
〈표 5.10〉 역사 탐구 보고서 예시 86
〈표 5.11〉 문화 체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89
〈그림 5.1〉 개항장 거리와 관련된 사진 및 동영상 81
〈그림 5.2〉 개항장 지도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