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3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3
1.2. 선행 연구 14
1.3. 연구 방법 17
2. 헤지 표현과 발표 담화 19
2.1. 헤지 표현의 개념 및 유형 19
2.1.1. 헤지 표현의 개념 19
2.1.2. 헤지 표현의 유형 21
2.2. 발표 담화에 나타나는 헤지 표현의 유형 29
2.2.1. 명제 내용에 대한 헤지 표현 32
2.2.2. 화자의 주장에 대한 헤지 표현 36
3.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교수·학습 현황 50
3.1. 한국어 교재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제시 양상 50
3.1.1. 분석 대상 교재 50
3.1.2. 교재 분석 기준 51
3.1.3. 교재 분석 결과 52
3.2. 한국어 학습자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사용 양상 74
3.2.1. 분석 자료 74
3.2.2. 분석 결과 75
4. 발표 담화에서의 헤지 표현 교육 방안 83
4.1.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교육 목표 83
4.2.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교육 내용 85
4.2.1. 맥락 제시 86
4.2.2. 기능 제시 86
4.2.3. 유형 제시 87
4.3.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교수 방법 90
1) 발표 주제 도입 91
2) 헤지 표현에 대한 인식 92
3) 헤지 표현에 대한 명시적 교수 94
4) 헤지 표현의 사용 95
5) 헤지 표현의 사용 확장 97
5. 결론 98
참고문헌 100
ABSTRACT 102
〈표 2.1〉 헤지 표현의 개념 20
〈표 2.2〉 신명선(2006)의 헤지 표현 유형 분류 22
〈표 2.3〉 이준호(2012)의 헤지 표현 유형 분류 23
〈표 2.4〉 장아남(2019)의 헤지 표현 유형 분류 23
〈표 2.5〉 신영주(2011)의 헤지 표현 유형 분류 25
〈표 2.6〉 이금희(2021)의 헤지 표현 유형 분류 26
〈표 2.7〉 헤지 표현의 유형 분류 27
〈표 2.8〉 분석 대상 말뭉치의 규모 30
〈표 2.9〉 발표 담화에 나타나는 헤지 표현의 유형 빈도 31
〈표 2.10〉 부정확한 수량 표현의 유형별 빈도 32
〈표 2.11〉 부정칭 표현의 유형별 빈도 33
〈표 2.12〉 부사어 또는 부사절의 유형별 빈도 34
〈표 2.13〉 간접인용문 및 그 대응형과 인지동사 구성의 유형별 빈도 36
〈표 2.14〉 간접인용문 및 그 대응형과 인지동사 구성의 자료별 유형 빈도 37
〈표 2.15〉 간접인용문과 주체를 드러내지 않는 피동 구성의 유형별 빈도 38
〈표 2.16〉 필요성을 언급하는 표현의 유형별 빈도 39
〈표 2.17〉 주체를 드러내는 경우의 유형별 빈도 40
〈표 2.18〉 추측 표현의 유형별 빈도 41
〈표 2.19〉 가능성 표현의 유형별 빈도 43
〈표 2.20〉 부정 표현의 유형별 빈도 44
〈표 2.21〉 부정의 간접의문문의 유형별 빈도 46
〈표 2.22〉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유형 분류 47
〈표 2.23〉 헤지 표현의 복합형 구성 빈도 48
〈표 3.1〉 분석 대상 교재 목록 51
〈표 3.2〉 한국어 교재 발표의 헤지 표현 분석 기준 52
〈표 3.3〉 「새연세말쓰4-1」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53
〈표 3.4〉 「새연세말쓰5-1」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54
〈표 3.5〉 「새연세말쓰5-2」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55
〈표 3.6〉 「한양4-2」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56
〈표 3.7〉 「한양6-1」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57
〈표 3.8〉 「성균어문기6-1, 6-2」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58
〈표 3.9〉 「서강5A」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59
〈표 3.10〉 「서강5B」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60
〈표 3.11〉 「이화6」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61
〈표 3.12〉 「경희말5」 발표에 나타난 헤지 표현 62
〈표 3.13〉 교재의 말하기 및 쓰기 영역에 제시된 헤지 표현의 유형 62
〈표 3.14〉 말하기 및 쓰기 영역에 제시된 명제 내용을 모호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63
〈표 3.15〉 말하기 및 쓰기 영역에 제시된 주장을 간접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63
〈표 3.16〉 말하기 및 쓰기 영역에 제시된 주장을 유연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64
〈표 3.17〉 교재의 듣기 및 읽기 영역에 제시된 헤지 표현의 유형 67
〈표 3.18〉 듣기 및 읽기 영역에 제시된 명제 내용을 모호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68
〈표 3.19〉 듣기 및 읽기 영역에 제시된 명제 내용을 보편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68
〈표 3.20〉 듣기 및 읽기 영역에 제시된 주장을 간접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69
〈표 3.21〉 듣기 및 읽기 영역에 제시된 주장을 객관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70
〈표 3.22〉 듣기 및 읽기 영역에 제시된 주장을 유연화하는 헤지 표현의 유형 70
〈표 3.23〉 듣기 및 읽기 영역에 제시된 헤지 표현의 유형 빈도 71
〈표 3.24〉 듣기 및 읽기 영역의 가능성 표현 유형별 빈도 72
〈표 3.25〉 듣기 및 읽기 영역의 추측 표현 유형별 빈도 72
〈표 3.26〉 분석 대상 학습자 발표 자료의 규모 75
〈표 3.27〉 한국어 학습자 발표 담화에 나타나는 헤지 표현의 유형 빈도 75
〈표 3.28〉 헤지 표현의 유형 빈도 순위 76
〈표 3.29〉 한국어 학습자의 가능성 표현 유형별 빈도 77
〈표 3.30〉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인용문 및 그 대응형과 인지동사 구성 유형별 빈도 78
〈표 3.31〉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표현 유형별 빈도 79
〈표 3.32〉 한국어 학습자의 부정의 간접의문문 유형별 빈도 80
〈표 3.33〉 한국어 학습자의 헤지 표현 복합형 구성 빈도 80
〈표 4.1〉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교육 목표 84
〈표 4.2〉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기능 제시 항목 87
〈표 4.3〉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유형 제시 항목 88
〈표 4.4〉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복합형 구성 제시 항목 89
〈그림 2.1〉 헤지의 유형 21
〈그림 4.1〉 발표 담화의 헤지 표현 교육 모형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