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4

1. 탐구를 시작하며 14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7

3. 연구 문제 21

II. 이론적 배경 22

1. 삶 22

1) 실존적 삶 22

2) 중년의 상생적 삶 25

2. 공생과 상호주관성 28

1) 공생 (Symbiosis) 28

2)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 30

3. 자발화 그림과 이야기 33

1) 자발화, 자발적 그림 33

2) 사람과 그림의 중간대상 36

3)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37

III. 연구 방법과 절차 40

1. 내러티브 탐구 40

2. 내러티브 탐구 절차 42

1) 현장으로 들어가기 43

2) 현장 텍스트 쓰기 50

3) 현장텍스트로 연구텍스트 쓰기 54

3. 신뢰성 확보 55

4. 윤리적 고려 및 연구자 준비과정 56

1) 연구의 윤리성 56

2) 연구자의 준비 과정 57

5.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글쓰기 58

6. 내러티브 탐구에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맺음 59

7. 자전적 내러티브: 나의 이야기 60

IV. 집단의 중심으로: 그녀들의 동행(同行) 이야기 76

1. 익숙함과 낯섦의 공존 76

2. 피할 수 없는 것과의 조우- 갱년기 84

3. 미적 체험으로 드러나는 삶 89

4. '나'로 살기를 돕는 중간대상들 95

5. 그 엄마의 그 딸로 98

6. 남편을 기다리다. 103

7. 상생의 삶을 꿈꾸다 109

8. 중년여성의 미래, 노년, 피할 수 없는 죽음 114

V. 중년여성이 경험에서 찾은 삶의 의미 120

1. 자발화가 중년여성에게 주는 의미는 심리적 자유다. 120

1) 자발적 행동은 감정의 자유로움 120

2) 자발화(이미지)는 중년여성들의 삶의 모습 123

3) 안정적인 분화를 돕는 중간대상(transitional object) 126

2. 상생하는 중년여성의 삶은 상호주관성에서 비롯된다. 127

1) 집단미술치료는 상호주관적인 공간이었다. 127

2) 상호주관성을 가진 중년여성들의 관계맺음 129

3. 중년여성의 삶에 가족은 희로애락(喜怒哀樂)의 본체(本體)다. 131

1) 어머니에게 배운 모성으로, 모성으로 이루어진 존재들을 키우는 어머니들 131

2) 돌보고 싶은 마음으로 기다리다. 132

3) 그녀들을 지지하는 사람들 134

4. 중년기 여성이 직면한 부모의 죽음은 삶의 유한성을 깨닫게 한다. 136

VI. 함의 138

VII. 여정을 마무리 하며 144

참고문헌 147

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158

Abstract 159

〈표 III-1〉 연구 참여자 정보 45

〈표 III-2〉 탐구의 절차 49

〈표 III-3〉 자료수집 절차 51

〈표 III-4〉 참여자 작품 자료 53

[그림 I-1] 새벽, 첫 움직임(2022) 14

[그림 III-1] 어머니의 여성성 62

[그림 III-2] 수평선(2008) 64

[그림 III-3] 길 잃은 자동차(2022) 66

[그림 III-4] 길을 떠나다(2021) 67

[그림 III-5] 보자기 안의 음식(2022) 68

[그림 III-6] 상처 속에서도 희망은 자란다(2019) 70

[그림 III-7] 가슴을 닮은 만다라(2022) 74

[그림 IV-1] 자기야 나 외출해!〈소영〉 79

[그림 IV-2] 나의 중년〈앤〉 81

[그림 IV-3] 복부비만〈소영〉 85

[그림 IV-4] 쉼 없이 달려온 자동차 86

[그림 IV-5] 외로움〈소영〉 87

[그림 IV-6] 일과 방황중인 자아실현〈앤〉 90

[그림 IV-7] 가면〈앤〉 91

[그림 IV-8] 책 읽어주는 선생님〈소영〉 93

[그림 IV-9] 빨간 구두를 사야 해!〈소영〉 96

[그림 IV-10] 인지의 재구조화〈앤〉 97

[그림 IV-11] 장작과 걱정〈소영〉 99

[그림 IV-12] 보름달〈앤〉 101

[그림 IV-13] 기다리는 나〈앤〉 102

[그림 IV-14] 소통 의자〈소영〉 104

[그림 IV-15] 마음정리〈소영〉 105

[그림 IV-16] 카스여야 한다〈소영〉 106

[그림 IV-17] 고요한 바다 그 틈〈앤〉 107

[그림 IV-18] 등대〈앤〉 109

[그림 IV-19] 엉망이 된 관계〈앤〉 111

[그림 IV-20] 가족여행〈소영〉 114

[그림 IV-21] 동행〈앤〉 116

[그림 IV-22] 천국〈소영〉 117

[그림 VII-1] 당신은 이미 미술치료전문가입니다(연구자)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