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 문제 21
II. 이론적 배경 22
1. 장미덤불시각화 기법(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RVT) 22
1) 정신통합(Psychosynthesis) 이론 22
2) 장미의 상징과 역사 25
3) RVT의 특성 28
4) RVT 관련 선행연구 31
2. 심리적 환경 36
1) 가정의 심리적 환경 36
2) 학교의 심리적 환경 39
III. 연구방법 41
1. 연구 대상 41
2. 연구절차 42
1) RVT의 평가기준 개발과정 42
2) 기초연구 실시 44
3) RVT의 안내문 구성과 평가지표 및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예비연구 50
4) 최종 RVT 평가지표(형식척도와 내용척도)와 평가기준 구축 55
5) 본 조사 실시 58
3. 연구도구 59
1) 가정의 심리적 환경 척도 59
2) 학교의 심리적 환경 척도 59
3)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osebush Visualization Technique: RVT) 60
4. 자료분석 65
IV. 연구 결과 67
1. 장미덤불시각화 기법(RVT) 평가기준의 신뢰도 67
2.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VT) 평가기준의 구성타당도 68
3.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VT)의 수렴타당도 71
4. 장미덤불 시각화 기법(RVT)의 변별타당도 73
1)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RVT 반응특성 74
2)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RVT 반응특성 86
V. 논의 및 결론 99
참고문헌 111
부록 121
[부록 1] 인적사항 질문지 122
[부록 2] 가정의 심리적 환경 척도 123
[부록 3] 학교의 심리적 환경 척도 125
[부록 4] 최종 RVT의 내용척도 평가요소 및 평가기준(18개 항목) 126
[부록 5] 형식요인과 학교와 가정의 심리적 환경간의 상관 127
[부록 6] 내용요인과 학교와 가정의 심리적 환경간의 상관 127
[부록 7] RVT의 원문 (Allan (1988)이 발표한 대본) 128
[부록 8] RVT 평가기준 예시그림 (형식척도 - 채색정도, 색의 적절성) 130
[부록 9] RVT 평가기준 예시그림 (형식척도 - 통합성, 공간) 131
[부록 10] RVT 평가기준 예시그림 (형식척도 - 논리성, 사실성) 132
[부록 11] RVT 평가기준 예시그림 (형식척도 - 주변 환경 및 세부묘사, 선의 질) 133
[부록 12] RVT 평가기준 예시그림 (내용척도 - 꽃의 수, 꽃의 크기) 134
[부록 13] RVT 평가기준 예시그림 (내용척도 - 잎의 크기, 잎의 양) 135
[부록 13] RVT 평가기준 예시그림 (내용척도 - 줄기의 길이, 줄기의 굵기) 136
Abstract 137
〈표 II-1〉 RVT 연대별 연구동향 34
〈표 III-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N=548) 42
〈표 III-2〉 기초연구 결과 49
〈표 III-3〉 예비연구 RVT의 형식 척도 평가기준 53
〈표 III-4〉 예비연구 RVT의 내용 척도 평가기준 55
〈표 III-5〉 가정의 심리적 환경 검사의 구성 및 신뢰도 59
〈표 III-6〉 학교의 심리적 환경검사의 구성 및 신뢰도 60
〈표 III-7〉 RVT의 형식척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 63
〈표 III-8〉 RVT의 내용척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 65
〈표 IV-1〉 RVT의 평가기준 신뢰도 67
〈표 IV-2〉 RVT의 형식척도 간 상관분석 69
〈표 IV-3〉 RVT의 내용척도 간 상관분석 70
〈표 IV-4〉 형식척도와 가정과 학교의 심리적 환경 간의 상관 71
〈표 IV-5〉 내용척도와 학교와 가정의 심리적 환경간의 상관 72
〈표 IV-6〉 가정의 심리적 환경의 수준에 따른 RVT의 형식척도 반응특성 77
〈표 IV-7〉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형식척도 판별분석 79
〈표 IV-8〉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형식척도 분류결과 79
〈표 IV-9〉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내용척도 반응특성 83
〈표 IV-10〉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내용척도 판별분석 85
〈표 IV-11〉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내용척도 분류결과 86
〈표 IV-12〉 학교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형식척도 반응특성 88
〈표 IV-13〉 학교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형식척도 판별분석 90
〈표 IV-14〉 학교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형식척도 분류결과 91
〈표 IV-15〉 학교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내용척도 반응특성 95
〈표 IV-16〉 학교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내용척도 판별분석 97
〈표 IV-17〉 학교의 심리적 환경 수준에 따른 RVT의 내용척도 분류결과 98
〈그림 II-1〉 Assagioli의 인간의 정신구조 모델 23
〈그림 III-1〉 RVT 척도 개발 과정 43
〈그림 III-2〉 장애아 어머니의 RVT 45
〈그림 III-3〉 장애아 어머니의 RVT 45
〈그림 III-4〉 취약계층 청소년RVT 45
〈그림 III-5〉 취약계층 청소년RVT 45
〈그림 III-6〉 가해자의 RVT 46
〈그림 III-7〉 피해자의 RVT 46
〈그림 III-8〉 결손가정의 청소년 47
〈그림 III-9〉 결손가정의 청소년 47
〈그림 III-10〉 유치원 부모 RVT 47
〈그림 III-11〉 유치원 부모 RVT 47
〈그림 III-12〉 사회부적응 대학생 RVT 48
〈그림 III-13〉 사회부적응 대학생 RVT 48
〈그림 III-14〉 수감중인 수용자 RVT 48
〈그림 III-15〉 수감중인 수용자 RVT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