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해결력 파악을 위한 투사적 검사 도구로 무인도 그림 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만 13세에서 15세까지의 중학생 280명이다. 연구도구는 무인도 그림검사와 문제해결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2018년 10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는 2022년 2월 24일부터 2022년 7월 30일까지 부산, 경남, 경북, 전북, 경기도 지역에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내용요소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무인도 그림의 평가척도의 구성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평가척도의 변별타당도를 위해서는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인도 그림에서 표현된 내용을 정리하여 사람과 나무요소, 생존과 관련된 요소인 의식주, 불, 도구 요소, 기타요소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내용요소 중에서 불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물, 집, 휴대폰, 옷, 도구 등이 표현되었다.

무인도 그림에서 내용척도는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도구 사용, 나무 활용, 의식주 사용, 인물 행위의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요소 중 도구사용과 의식주, 인물행위의 표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무인도 그림의 형식척도는 FEATS의 14문항 중 본 연구에 적절한 9문항을 채택하여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 중 색의 적절성, 사실성, 세부묘사, 선의질, 인물의 표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색칠정도, 공간의 사용, 통합성은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다.

청소년의 문제해결력 수준은 중간 이상(M=3.21)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무인도 그림의 평정자 간 신뢰도는 .775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평가항목의 문항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 .933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무인도 그림의 평가지표는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평가항목 전체와 각 항목 간 상관계수가 r=.51~.88 로 나타나 무인도 그림의 각각의 평가항목은 평가지표의 구성요인으로 적절하다할 수 있다. 또한 무인도 그림의 평가척도가 문제해결력 척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해결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무인도 그림의 반응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13개 항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문제해결력인 높은 집단이 색칠을 더 많이 하고, 색을 다양하고 적절하게 사용하며, 공간 사용이 많았고, 균형적이고 통합적이며, 논리적이고, 사실적인 그림을 더 많이 그리고, 세부묘사가 많았다. 또 선의 질이 잘 조절되었으며, 인물의 표현이 자세하고, 활용되어지는 도구가 많았고, 나무를 직접적인 자원으로 활용하였으며, 물'불 의식주를 많이 그렸고, 인물의 행위가 더 활동적이었다. 이 변인들이 문제해결력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69.4%이며, 문제해결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예측하고 변별하는 판별력은 91.6%이다. 따라서 무인도 그림검사는 청소년의 문제해결력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인도 그림을 구안하고 평가척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선행 자료들을 바탕으로 무인도의 의미와 이미지를 탐색하고 전문가의 자문과 4차례의 예비연구를 통하여 수정·보완과정을 거침으로써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청소년기에 직면하는 학업이나 문제를 해결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문제해결력을 파악하기 위한 투사적 그림검사를 개발하여 학교와 임상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무인도 그림검사는 청소년들의 상상력과 도전정신을 자극하는 무인도라는 이미지를 활용함으로써 저항감 없이 손쉽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