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4

2. 연구 문제 18

3. 용어 정의 18

1) 발달장애 18

2) 청소년 19

3) 사회적 상호작용 19

4) IT기반 통합예술치료 20

4. 연구의 제한점 21

II. 이론적 배경 22

1. 발달장애 22

1) 장애 개념과 발달장애의 이해 22

2) 발달장애의 원인과 주요 심리치료 이론 26

2. 사회적 상호작용 31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의미 31

2)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33

3. 통합예술치료 35

1) 예술의 치료적 의미 35

2) IT매뉴얼의 개념 및 구조 41

4. 선행연구 45

1)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예술치료 46

2) 유사 연구의 설계 및 연구도구 비교 48

3) IT기반 통합예술치료 50

III. 연구 방법 52

1. 질적 사례연구 방법론 52

2. 연구설계 및 절차 56

1) 연구설계 56

2) 연구절차 59

3. 연구참여자 62

4. 연구도구 64

1) 예비연구 도구 64

2) 본연구 도구 64

5. 자료수집 및 분석 66

6. 윤리적 고려 68

IV. 연구 결과 70

1.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IT기반 통합예술치료 예비연구 70

1) 예비연구 프로그램 개발 70

2) 예비연구 프로그램 구성 및 평가 73

2. 카타르시스 모델, 투사 모델 중심의 IT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82

1) 프로그램 설계 82

2) 카타르시스 모델 89

3) 투사 모델 90

3. 치료과정에서 나타난 연구참여자 반응 분석 95

1) 사회적 시작행동 95

2) 사회적 반응행동 104

4. 게임놀이 검사를 통한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 분석 113

1) 부탁해요 게임 검사(IT-PGT) 113

2) 아이컨택 게임 검사(IT-EGT) 117

5. 연구자 요약 및 제언 121

V. 결론 127

참고문헌 130

ABSTRACT 142

부록 10

[부록 1] 연구설계도 145

[부록 2] 연구동의서 146

[부록 3] 연구참여자 사전 정보 설문지 147

[부록 4] 사회성 기술 체크리스트 149

[부록 5] 힐링드라마 모델 연구자 발표 장면 151

[부록 6] 임상 경력 및 자격인증 152

[표 1] 발달장애인법이 규정한 발달장애인의 정의와 구분 24

[표 2] 지적장애 장애등급 기준 24

[표 3] 자폐성장애 장애등급 기준 25

[표 4] 심리치료의 효과를 지속시키는 방법 28

[표 5] 연구에서 적용한 심리치료 이론 29

[표 6] 자폐성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흔한 사회성 기술 결손의 내용 32

[표 7]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기술 중재 목적의 선행연구 49

[표 8] 사례연구 절차에 따른 연구절차 61

[표 9] 연구참여자의 기본 인적정보 62

[표 10] 연구참여자의 개인별 특성 62

[표 11] 변화 분석 도구로 활용한 IT-GPT 진단기법 65

[표 12] 결과 분석에 활용한 실증적 자료 67

[표 13] IT기반 통합예술치료 예비 프로그램 77

[표 14] 본연구 프로그램 초반부 구성 85

[표 15] 본연구 프로그램 중반부 구성 86

[표 16] 본연구 프로그램 후반부 구성 88

[표 17] 사회적 시작행동의 세부 항목 96

[표 18] 사회적 반응행동의 세부 항목 104

[표 19] 부탁해요 게임 검사(IT-PGT) 참여자별 사전·사후 변화 내용 116

[표 20] 아이컨택 게임 검사(IT-EGT) 참여자별 사전·사후 변화 내용 120

〈그림 1〉 "예술치료의 과학적 체계화"의 조건에 매칭 시킨 IT기반 통합예술치료의 구조 39

〈그림 2〉 IT매뉴얼의 7가지 체계에 따른 구조 모형 44

〈그림 3〉 사례연구 절차 53

〈그림 4〉 연구 성격과 자료 종류 및 분석방법 54

〈그림 5〉 질적 자료분석 절차 55

〈그림 6〉 연구 모형 57

〈그림 7〉 연구설계도 58

〈그림 8〉 자료분석 모형 68

〈그림 9〉 예비연구 프로그램 개발 모형 70

〈그림 10〉 프로그램 초/중/후반부 단계별 소목표와 세부목표 72

〈그림 11〉 프로그램 주안점과 IT매뉴얼 매칭 모형 76

〈그림 12〉 치료 목적 달성을 위한 IT핵심 치료 모델과 기법 매칭 모형 82

〈그림 13〉 핵심 치료 모델에서 견인되는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 효과 94

〈그림 14〉 5회기 활동 창작물(왼쪽부터 A, B, C, D) 98

〈그림 15〉 C의 사회적 시작행동 '이야기 시작하기'를 일으킨 D의 창작물 98

〈그림 16〉 A의 '나누기' 시작행동이 발생한 4회기 창작물과 A의 활동모습 99

〈그림 17〉 B의 수정된 '요구하기' 시작행동이 발생한 9회기 활동 모습과 협동작품 101

〈그림 18〉 D의 '도움 청하기' 시작행동이 촉발된 3회기 창작물(왼쪽부터 A, B, C, D) 102

〈그림 19〉 A의 '도움 제안하기' 시작행동이 나타난 12회기 창작물(왼쪽부터 A, B, C, D) 103

〈그림 20〉 '쳐다보기' 반응행동이 활발하게 일어난 11회기 활동 창작물(왼쪽부터 A, B, C, D) 107

〈그림 21〉 '기다리기' 반응행동을 향상시킨 8회기 활동모습과 15회기 창작물 109

〈그림 22〉 13회기 대형 점묘 협동난화 작품 결과 110

〈그림 23〉 D의 '고마움/미안함 표현하기' 반응행동이 일어난 6회기 "닫기" 단계 활동 결과물(왼쪽부터 A, B, C, D)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