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IT기반 통합예술치료(Integrative Arts Therapy)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단계를 거쳤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목표로 하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둘째,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을 적용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치료과정에서 연구참여자의 반응은 어떠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통합예술치료 진단법인 "게임놀이 검사(IT-GPT)"를 통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직접관찰, 참여관찰, 인터뷰, 심층분석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 8명은 K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청소년이다. 프로그램은 예비연구 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에 4명씩 배치하여, 두 집단 모두 주 1회, 100분씩 16회기로 진행되었다. 질적연구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특수학급 담임교사와의 면담자료, 프로그램 동영상 촬영본, 임상진행안, 회기일지, 관찰일지, 활동결과물, 설문지이다. 연구 도구는 IT진단 법인 게임놀이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 설계의 주안점, 치료 모델의 효과성, 진단법의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IT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진행을 통하여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타르시스 모델의 "게임놀이 기법"은 참여자에게 놀이 규칙을 제공하고 실행케 함으로써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이완기법"은 긴장을 완화시켜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으로 이끄는 작용을 하였다. 투사 모델은 무용/동작매체와 음악매체가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무용/동작매체는 신체조절 능력 강화, 음악매체는 공감적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반응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연구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사회적 시작행동과 사회적 반응행동으로 구분하여 관찰하였다. 사회적 시작행동에서는 '상대에게 자신이 원하거나 필요한 것을 요청하거나 요구하는 행동'인 '요구하기'에 변화가 가장 컸다. 사회적 반응행동에서는 '상대가 나를 부르거나 이야기할 때 몸과 눈빛으로 응답해주는 행동'인 '쳐다보기'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넷째, 게임놀이 검사의 하위 항목인 "부탁해요 게임 검사"와 "아이컨택 게임 검사"를 통하여 연구참여자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부탁해요 게임 검사를 통해서는 상대의 거절 혹은 수락의 반응을 기다릴 수 있게 된 것과, 상대의 거절에 공격적인 반응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이컨택 게임 검사를 통해서는 눈동자의 좌우 움직임이 둔화 되어 불안한 모습이 소거된 점과, 눈맞춤 지속 시간이 증가된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었던 변화 요인으로는 자기표현력 향상, 인정욕구 충족, 자존감 증진으로 확인되었다. 변인의 배경에는 참여자들이 즐거운 예술체험을 하면서 통합예술치료의 핵심 개념인 "웃음카타르시스"로 인한 긍정의 힘이 강화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