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I. 서론 16

1. 연구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 방법 및 범위 18

II. 시대적 환경 변화 22

1. 산업혁명과 공예사적 변화 22

2. 4차 산업혁명 27

III. 메이커 운동과 개인 제작 35

1. 메이커 운동의 전개와 현황 36

1) 메이커 운동의 세계적 전개 36

2) 한국의 메이커 운동 42

3)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의 조성과 운영 44

2. 개인 제작의 문화적 확산 51

1) 메이커 운동 이전의 대안적 개인 제작 51

2) 메이커 운동을 통한 개인 제작의 문화적 확산 54

IV. 개인 제작문화 59

1. 개인 제작과 문화 59

1) 개인 제작과 개인 제작문화 용어 59

2) 가치·감성·창의성 중심의 융합 61

3)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본 감성 융합 62

4) 개인 제작문화의 의미와 5가지 가치 70

2. 개인 제작문화의 융합모델 75

1)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유형 75

2) 확장 유형 I (Convergence Type I) 77

3) 확장 유형 II (Convergence Type II) 79

V. 작품 사례 연구 84

1. 공예 분야 융합 사례 84

1) 개인 제작문화 : 기록과 기억의 기념 84

2) 기록을 위한 확장 유형 I 86

3) 기억의 기념을 위한 확장 유형 II 90

4) 사례 제작을 위한 확장 유형 구성 체계 93

2. 확장 유형I 기반의 기록을 위한 작품 사례 연구 94

1) 작품 사례 1 94

2) 작품 사례 2 97

3) 작품 사례 3 99

4) 작품 사례 4 101

5) 작품 사례 5 104

3. 확장 유형 II 기반의 기억의 기념을 위한 작품 사례 연구 109

1) 작품 사례 6 109

2) 작품 사례 7 111

3) 작품 사례 8 114

4) 작품 사례 9 117

5) 작품 사례 10 119

VI. 결론 125

참고문헌 128

ABSTRACT 134

부록_현장 전문가 대상 설문지 138

[표 1] 산업혁명 기술과 공예의 대응 관계도 27

[표 2] 4 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30

[표 3] 메이커 스페이스 수요자 분포 (2018~2020) 48

[표 4] 메이커 스페이스 전문가 심층 인터뷰 1 65

[표 5] 메이커 스페이스 전문가 심층 인터뷰 2 66

[표 6] 기록을 위한 확장 유형 I의 4 가지 기능적 특징 87

[표 7] 기억의 기념을 위한 확장 유형 II의 4 가지 기능적 특징 90

[표 8] 작품 사례 1의 제작정보 94

[표 9] 확장 유형 I의 3D 프린터와 레이저 기기 활용작업 96

[표 10] 작품 사례 2의 제작정보 97

[표 11] 작품 사례 3의 제작정보 99

[표 12] 작품 사례 4의 제작정보 101

[표 13] 작품 사례 5의 제작정보 104

[표 14] 작품 사례 6의 제작정보 109

[표 15] 작품 사례 7의 제작정보 111

[표 16] 작품 사례 8의 제작정보 114

[표 17] 작품 사례 9의 제작정보 117

[표 18] 작품 사례 10의 제작정보 119

〈그림 1〉 연구흐름도 21

〈그림 2〉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기술융합 31

〈그림 3〉 4차 산업의 4C 와 공예의 확장성 33

〈그림 4〉 메이커 페어 (Maker Faire) 전시 로고 36

〈그림 5〉 메이커의 단계 및 성장 과정 39

〈그림 6〉 메이커 운동의 확산 구조 41

〈그림 7〉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유형 46

〈그림 8〉 메이커 스페이스 지역별 구축 수 (2018~2020년) 47

〈그림 9〉 한국형 메이커 운동 5 가지 가치 50

〈그림 10〉 융합의 시대 (The Age of Convergence) 62

〈그림 11〉 전문가 심층 면접 장면 63

〈그림 12〉 메이커 스페이스 감성적 제작사례 우드버닝. 정크아트 (맹글마루 제공) 67

〈그림 13〉 개인 창작 표현 보완구조 68

〈그림 14〉 전문가 심층 인터뷰 결과 69

〈그림 15〉 개인 제작과 개인 제작문화 이행과정 71

〈그림 16〉 개인 제작문화의 5가지 가치 72

〈그림 17〉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와 개인 제작문화의 가치 관계 73

〈그림 18〉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유형 기반 확장모델 76

〈그림 19〉 융합모델 확장 유형 I 78

〈그림 20〉 확장 유형 I 사용자 중심 협력체계 79

〈그림 21〉 융합모델 확장 유형 II 80

〈그림 22〉 확장 유형 II 사용자 중심 협력체계 81

〈그림 23〉 개인 제작문화의 융합모델 구조도 83

〈그림 24〉 상품시장에서 제작된 기록과 기념의 상품 예시 85

〈그림 25〉 기록과 기억의 기념을 위한 융합모델 적용 체계도 86

〈그림 26〉 융합구조도 : 확장 유형 I 87

〈그림 27〉 유튜브에 공개한 손글씨 3D 출력물 활자 제작 과정 89

〈그림 28〉 융합구조도 : 확장 유형 II 90

〈그림 29〉 1-Day 공예체험 사례와 참여자 성취도 기준 예시 91

〈그림 30〉 사례 연구와 확장 유형 관계 92

〈그림 31〉 사례 연구와 확장 유형 시스템 특징 93

〈그림 32〉 작품 사례 1. '크고 작은 일의 기록' 1 94

〈그림 33〉 참여자의 기록들 95

〈그림 34〉 작품 사례 2. 우리 사이의 약속 1 97

〈그림 35〉 손글씨 성혼선언문 98

〈그림 36〉 아연판 성혼성언문 98

〈그림 37〉 레터 프레스 세부 98

〈그림 38〉 작품 사례 3. 'ㄱ'의 공간 1 99

〈그림 39〉 참여자의 추억이 담긴 소장품 100

〈그림 40〉 도시 이미지 스케치 100

〈그림 41〉 작업 스케치 100

〈그림 42〉 플렉소 필름 100

〈그림 43〉 핸드프린팅 프레스 100

〈그림 44〉 작품 사례 4. 엄마 1 101

〈그림 45〉 출력된 필름 102

〈그림 46〉 참여자의 추억이 담긴 소장품 유아기 아이의 그림 102

〈그림 47〉 아이의 인물화 103

〈그림 48〉 아이가 그린 그림 '엄마' 103

〈그림 49〉 작품 사례 5. 손녀에게 1 104

〈그림 50〉 문화예술 활동 장면 105

〈그림 51〉 참여자가 손글씨로 작성한 갱시기 요리법 106

〈그림 52〉 참여자 그림 - 의대생이 된 손주를 생각하며 그린 밥상 106

〈그림 53〉 참여자 그림 - 딸을 대신해 돌보던 외손주를 생각하며 그린 그림 107

〈그림 54〉 참여자 그림 - 군대에 간 손주가 좋아하던 피자 107

〈그림 55〉 참여자 그림 - 양파 된장이라고 써 놓은 찌개 그림 108

〈그림 56〉 작품 사례 6. '크고 작은 일의 기록' 2 109

〈그림 57〉 홈파기와 각접기 원리 110

〈그림 58〉 홈파내기 갈기 110

〈그림 59〉 적층 구조를 위한 레이저 도안 110

〈그림 60〉 완성 MDF 110

〈그림 61〉 작품 사례 7. 우리 사이의 약속 2 111

〈그림 62〉 서약서와 오리 실루엣 디자인 112

〈그림 63〉 망치 성형 과정 112

〈그림 64〉 입체성형을 위한 모루 112

〈그림 65〉 작품 사례 7. 우리 사이의 약속 II 세부 113

〈그림 66〉 작품 사례 8. 'ㄱ'의 공간 2 114

〈그림 67〉 목재함 디자인 115

〈그림 68〉 함구조 및 칠보판 세팅 구조 115

〈그림 69〉 부식용 필름 사진 116

〈그림 70〉 칠보 작업 과정 116

〈그림 71〉 금속 난집 제작 과정 116

〈그림 72〉 작품 사례 8. 'ㄱ'의 공간 2 세부 116

〈그림 73〉 작품 사례 9. 엄마 2 117

〈그림 74〉 시계 무브먼트 고정을 위한 뒷판 디자인 118

〈그림 75〉 금속 부식용 데이터 118

〈그림 76〉 칠보 가마에서 굽는 과정 118

〈그림 77〉 작품 사례 10. 손녀에게 2 119

〈그림 78〉 접시 결합 구조 121

〈그림 79〉 스피닝 작업을 위한 접시 도면 121

〈그림 80〉 메탈 엠보싱 삽입 121

〈그림 81〉 레시피를 보관할 수 있는 굽의 구조 122

〈그림 82〉 작품 사례별 참가자가 성취한 감성적 가치 123

〈그림 83〉 개인 제작문화의 5 가지 가치와 작품 사례별 성취 가치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