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IT기반 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 6명이고, 연구기간은 2016년 3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초기면담 자료, 치료사 일지, 녹취록, 참여자 인터뷰 전사 자료를 활용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설계과정과 둘째, IT기반 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먼저 기법연구와 예비프로그램 적용결과를 분석하여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증상개선 목표를 수립하였다. 증상개선을 위한 회기 목표는 고립감, 우울감, 불안감, 죄책감 완화로 설정하였고, 이후 적합한 치료 모델을 선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예비프로그램의 치료 모델 및 기법 적용에 따른 참여자의 반응 분석을 수정 보완하여 주 1회, 100분으로 총 30회기가 구성되었다. 초반부는 고립감 완화를 위해 카타르시스 모델의 게임놀이 기법을 적용하였고, 우울감 완화를 위해 카타르시스 모델의 감정표현 기법, 투사 모델의 연극매체, 시간여행자 모델의 왕의 의자 기법을 적용하였다. 중반부는 불안감 완화를 위해 투사 모델, 역할 모델, 가면아이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죄책감 완화를 위해 역할 모델, 투사 모델을 적용하였다. 후반부는 자아실현을 위해 힐링드라마 모델을 적용하여 변화된 인격체로서 삶을 강화하고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세라트(CERAT)" 단계별 참여자의 반응, "블라인드 게임 검사(IT-BGT)"에 따른 변화, 힐링드라마 모델의 적용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세라트 단계에 따른 참여자의 반응은 고립감, 우울감, 불안감, 죄책감이 완화됨으로써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을 돌보는 내적 능력이 강화되었고,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화가 확인되었다. 둘째, 블라인드 게임 검사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초반부에 비해 부모역할과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양육스트레스가 줄어 후반부에서 독립적인 주체로서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였으며, 책임과 의무 사이에서 균형감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언어와 행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힐링드라마 모델을 적용한 결과, 깊이 있는 자기 이해와 수용을 통해 새로운 인격체로의 삶을 시작하고자 하는 의식의 변화를 보였고, 양육스트레스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려는 태도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존재 가치의 자각과 긍정적 부모역할 체험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능력 증진과 문제해결능력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IT기반 통합예술치료 후속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