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20

3. 연구의 범위와 내용 25

4. 용어의 정의 26

가. 학교 컨설팅 26

나. Schein의 과정 컨설팅 27

다. 컨설턴트와 컨설티 27

라.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28

마.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29

II. 이론적 배경 30

1. 컨설팅의 역사와 개념 30

2. Schein의 과정 컨설팅 34

3. 학교 컨설팅의 역사와 개념 40

4.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50

가. 역량에 대한 논의 50

나.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공통역량 53

다. 학교 컨설턴트의 컨설팅 역량 61

5.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70

가. 학교 컨설턴트의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 75

나. 학교 컨설턴트의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80

6. 학교 컨설턴트의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진단 도구 88

III. 연구방법 93

1. 문헌연구 95

2. 행동사건면접 96

3. 전문가회의 100

4. 설문조사 101

5. 신뢰도 검증 101

6. 요인분석 102

7. IPA 분석 103

8.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105

IV. 연구결과 108

1.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108

가. 문헌연구 결과 108

나. 행동사건면접 결과 111

다. 학교 컨설턴트의 공통역량 118

라. 학교 컨설턴트의 컨설팅 역량 121

2.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123

가. 학교 컨설턴트의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 123

나. 학교 컨설턴트의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124

3.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모델 131

4. 학교 컨설턴트의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진단 문항 개발 136

가. 문항 개발 136

나. 전문가 검토 137

다.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 151

V. 요약 및 논의 170

1. 결과 요약 170

2. 논의와 한계 173

참고문헌 178

부록 194

부록 1. 행동사건면접(BEI) 기록(부분) 195

부록 2.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진단 문항(최종) 224

ABSTRACT 232

〈표 II-1〉 학교 컨설팅의 개념 49

〈표 II-2〉 K-CESA 핵심역량과 하위영역 56

〈표 II-3〉 K-CESA 핵심역량, 직업기초능력, NCS 역량 영역 비교 59

〈표 II-4〉 경영 컨설턴트의 역량 1 62

〈표 II-5〉 경영 컨설턴트의 역량 2 63

〈표 II-6〉 학교컨설턴트의 역량 1 65

〈표 II-7〉 학교컨설턴트의 역량 2 66

〈표 II-8〉 수업컨설턴트의 역량 1 67

〈표 II-9〉 수업컨설턴트의 역량 2 68

〈표 II-10〉 의사소통 역량의 개념 72

〈표 II-11〉 컨설턴트 직무분석 예시 74

〈표 II-12〉 K-CESA 의사소통 역량 76

〈표 II-13〉 NSC 의사소통능력 77

〈표 II-14〉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기술 79

〈표 II-15〉 수업컨설턴트의 의사소통 기술 80

〈표 II-16〉 적극적 탐색 질문의 종류 82

〈표 II-17〉 의도적 피드백의 원리와 지침 84

〈표 II-18〉 Rosenfield의 학교 컨설턴트의 컨설팅 기술 평가도구 90

〈표 II-19〉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진단 문항 구성 92

〈표 III-1〉 행동사건면접 대상 학교 컨설턴트 정보 98

〈표 III-2〉 학교 컨설턴트 행동사건면접 내용 99

〈표 III-3〉 역량 분야 전문가 배경 정보 100

〈표 IV-1〉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관련 선행연구 정리 109

〈표 IV-2〉 행동사건면접에서 도출된 역량 요소 111

〈표 IV-3〉 학교 컨설턴트의 공통역량 120

〈표 IV-4〉 학교 컨설턴트의 컨설팅 역량 122

〈표 IV-5〉 학교 컨설턴트의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 124

〈표 IV-6〉 학교 컨설턴트의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130

〈표 IV-7〉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134

〈표 IV-8〉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및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진단 문항(1차) 138

〈표 IV-9〉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및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진단 문항(2차) 141

〈표 IV-10〉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및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진단 문항(3차) 144

〈표 IV-11〉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및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진단 문항(최종) 147

〈표 IV-12〉 학교 컨설턴트 역량 진단 문항 수 150

〈표 IV-13〉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IPA 설문 응답자 배경변인 152

〈표 IV-14〉 학교 컨설턴트의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 요인분석 154

〈표 IV-15〉 학교 컨설턴트 의사소통 역량 진단 문항 신뢰도 159

〈표 IV-16〉 요인별 중요도(I), 실행도(P), 요구도(I-P) 160

〈표 IV-17〉 요인별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162

〈표 IV-18〉 컨설턴트 소속별 중요도(I), 실행도(P), 요구도(I-P) 164

〈표 IV-19〉 컨설팅 경력별 중요도(I), 실행도(P), 요구도(I-P) 165

〈표 IV-20〉 강의·연구 경력별 중요도(I), 실행도(P), 요구도(I-P) 166

[그림 I-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5

[그림 II-1] 컨설팅 참여자 간 관계 31

[그림 II-2] 컨설팅 참여자의 삼자관계 31

[그림 II-3] Dougherty의 컨설팅의 4단계 33

[그림 II-4] 역량의 빙산 모델, 핵심적 역량과 표면적 역량 51

[그림 III-1]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모델링과 진단 문항 개발 절차 94

[그림 III-2] IPA 매트릭스 104

[그림 III-3] The Locus for Focus 모델 107

[그림 IV-1]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모델(요인분석 전) 133

[그림 IV-2]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모델 157

[그림 IV-3]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학교 컨설턴트의 교육 요구도 분석 167

(III-1) Borich 요구도 계산식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