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5

1. 연구목적 15

2. 연구방법 및 범위 16

II. 수묵의 전통성과 역사성 18

1. 필묵의 변화와 발전 20

2. 필묵의 풍격과 시대적 계승 29

III. 수묵의 현대화 실험과 모색 44

1. 전통의 재해석-수묵의 새로운 흐름과 묵림회 46

2. 1970년대 말, 80년대 초의 수묵화 운동 49

3. 수묵 매재의 다양성과 확산 62

IV. 현대 수묵으로의 연구자 표현연구 67

1. 한지의 수용과 배채법의 변용 69

2. 필묵의 새로운 표현과 적묵법의 응용 75

3. 추상표현으로의 수묵 탐구 88

V. 연구자의 작품세계 96

1. 연구자의 작품배경 96

1) 동양 자연관의 상생과 순환 96

2) 우주 순환작용으로의 나무 해석 99

2. 연구자의 작품분석 106

1) 대상의 인상을 수용한 조형표현 107

2) 가시적 대상을 통한 비가시적 정취표현 114

3) 형상의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추상표현 124

VI. 결론 127

참고문헌 131

Abstract 138

도 1. 작가미상, 〈인물용봉백화(人物龍鳳帛畵)〉, 전국(戰國), 비단에 수묵, 31.2x23.2cm, 호남성박물관 소장 20

도 2. 고개지(顧愷之), 〈여사잠도(女史箴圖)〉(부분), 동진(東晉), 당 모본, 비단에 채색, 25x349.5cm, 런던대영박물관 소장 21

도 3. 고개지(顧愷之), 〈낙신부도(洛柛賦圖)〉(부분), 동진(東晉), 비단에 채색, 27.1x572.8cm, 북경고궁박물원 소장 21

도 4. 장승요(張僧繇), 〈오성이십팔수신형도(五星二十八宿神形圖)〉(부분), 양(梁), 비단에 수묵채색, 27.5x489.7cm, 오사카시립박물관 소장 22

도 5. 오도자(吳道子), 〈천왕송자도(天王送子圖)〉(부분), 당(唐), 종이에 수묵, 35.3x338cm, 오사카시립미술관 소장 23

도 6. 이공린(李公麟), 〈면주도(免冑圖)〉(부분), 송(宋), 종이에 수묵, 32.3x223.8cm, 대북고궁박물원 소장 25

도 7. 양해(梁楷), 〈발묵선인도(潑墨仙人圖)〉, 남송(南宋), 종이에 수묵, 48.7x27.7cm, 교토양족원 소장 27

도 8. 서위(徐渭), 〈모란초석도(牡丹蕉石圖)〉, 명(明), 종이에 수묵, 58.4x20.6cm, 상해박물관 소장 28

도 9. 오창석(吳昌碩), 〈모란목련도(牡丹木蓮圖)〉, 1924년, 종이에 수묵 채색, 136.5x67.5cm 28

도 10. 고개지(顧愷之), 〈낙신부도(洛柛賦圖)〉(부분), 동진(東晉), 비단에 채색, 27.1x572.8cm, 북경고궁박물원 소장 30

도 11. 예찬(倪瓚), 〈용슬재도(容膝齋圖)〉,1372년, 종이에 수묵, 74.7x35.5cm, 대북고궁박물원 소장 31

도 12. 심주(沈周), 〈책장도(策杖圖)〉, 명(明), 종이에 수묵, 159.1x72.2cm, 대북고궁박물원 소장 31

도 13. 팔대산인(八大山人), 〈팔팔조도(叭叭鳥圖)〉, 1694년, 종이에 수묵, 31.8x29.7cm, 교토천옥박고관 소장 32

도 14. 석도(石濤), 〈위우노도형작산수책(爲禹老道兄作山水柵)〉 제3도, 청(淸), 종이에 수묵채색, 24x28cm 34

도 15. 제백석(齊白石), 〈부도옹(不倒翁)〉, 1953년, 종이에 수묵채색, 116x41.5cm 37

도 16. 반천수(潘天壽), 〈소게(小憩)〉, 1954년, 종이에 수묵채색(지두화), 224x105.5cm 37

도 17. 장대천(張大千), 〈여산도(廬山圖)〉, 1983년, 종이에 수묵채색, 180x1080cm 38

도 18. 이가염(李可染), 〈춘우강남도(春雨江南圖)〉, 1984년, 종이에 수묵채색, 68.5x45.8cm 39

도 19. 오관중(吳冠中), 〈청기고괴(淸奇古怪)〉, 1988년, 종이에 수묵채색, 68.1x137.8cm 40

도 20. 이응노(李應魯), 〈군상(群像)〉, 1986년, 종이에 수묵, 167x266cm 41

도 21. 황창배(黃昌培), 〈무제(90-4)〉, 1990년, 종이에 수묵채색 42

도 22. 서세옥(徐世鈺), 〈정오(正午)〉, 1956년, 종이에 수묵, 180x80cm 48

도 23. 《한국현대수묵화전》 도록 53

도 24. 송수남(宋秀南), 〈만경강〉, 1978년, 종이에 수묵, 동산방화랑 소장 54

도 25. 이종상(李鍾祥), 〈독도의 기II〉, 1982년, 종이에 수묵, 89x89cm 55

도 26. 이철주(李澈周), 〈눈오는 거리〉, 1983년, 종이에 수묵채색, 53x58cm 55

도 27. 홍순주(洪淳珠), 〈도시일각-서울역〉, 1983년, 종이에 수묵, 154x255cm 56

도 28. 조환(趙桓). 〈01-여명(黎明)〉, 1987년, 종이에 수묵채색, 195x600cm, 부산시립미술관 소장 58

도 29. 박대성(朴大成), 〈상림(霜林)〉, 1979년, 종이에 수묵채색, 180x180cm 63

도 30. 김호석(金鎬䄷), 〈아파트〉, 1979년, 종이에 수묵 63

도 31. 김선두(金善斗), 〈외길〉, 1985년, 종이에 수묵채색, 115x111cm 64

도 32. 정종미(鄭鍾美), 〈적벽부〉, 1988년, 종이에 수묵채색, 145x142cm 64

도 33. 한지의 섬유 원료와 표면 조직 70

도 34. 삽합한지를 낱장으로 떼어낸 경우 71

도 35. 남빛, 〈장면(場面)V-1〉, 2004년, 종이에 수묵, 85x60cm 72

도 36. 남빛, 〈장면(場面)V-2〉, 2004년, 종이에 수묵, 89x78cm 72

도 37. 남빛, 〈의식과 무의식의 사유II〉, 2016년, 종이에 수묵채색, 108x149.5cm(each) 74

도 38. 남빛, 〈의식과 무의식의 사유I〉, 2016년, 종이에 수묵, 69x200cm(each) 74

도 39. 이공린(李公麟), 〈오마도(五馬圖)〉(부분), 송(宋), 종이에 수묵, 29.3cmx225cm 76

도 40. 정선(鄭敾),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1751년, 종이에 수묵, 79.2x138cm, 리움미술관 소장 78

도 41. 남빛, 〈그날의 장면(場面)II〉, 2004년, 한지에 수묵, 48x72cm 79

도 42. 남빛, 〈잔상(殘像)II〉, 2004년, 종이에 수묵, 72x48cm 80

도 43. 남빛, 〈잔상(殘像)I〉, 2004년, 종이에 수묵, 72x48cm 80

도 44. 남빛, 〈장면(場面)III〉, 2004년, 종이에 수묵, 44x33cm 81

도 45. 남빛, 〈날개짓하다〉, 2007년, 종이에 수묵, 73x73cm 82

도 46. 남빛, 〈날개짓하다〉, 2007년, 종이에 수묵, 73x73cm 82

도 47. 남빛, 〈날개짓하다〉, 2007년, 종이에 수묵, 44x33.5cm(each) 83

도 48. 남빛, 〈PresentI〉, 2017년, 종이에 수묵채색, 20x14.5cm 84

도 49. 남빛, 〈PresentII〉,2017년, 종이에 수묵, 20x14.5cm 84

도 50. 남빛, 〈object-a No.17w-003〉, 2017년, 종이에 수묵, 40x40cm 84

도 51. 남빛, 〈object-a No.17w-001〉, 2017년, 종이에 수묵, 40x40cm 84

도 52. 남빛, 〈object-a No.17w-004〉, 2017년, 종이에 수묵, 40x40cm 84

도 53. 남빛, 〈경계에서〉(부분), 2020년, 종이에 수묵, 194x130.3cm 85

도 54. 남빛, 〈경계에서〉(부분), 2020년, 종이에 수묵, 194x130.3cm 86

도 55. [도 54]를 음영 반전한 경우 86

도 56. 남빛, 〈movementII〉, 2016년, 종이에 수묵, 151x211cm 89

도 57. 남빛, 〈movementI〉, 2016년, 종이에 수묵, 70x200cm 90

도 58. 남빛, 〈movementIII〉, 2016년, 종이에 수묵, 79x138.5cm 90

도 59. 남빛, 〈movementIV〉, 2016년, 종이에 수묵, 140x88cm 92

도 60. 남빛, 〈movementV〉, 2016년, 종이에 수묵, 140x86cm 92

도 61. 남빛, 〈Absence of Ego No.17w-03〉, 2017년, 종이에 수묵, 천, 73x73cm 93

도 62. 남빛, 〈Absence of Ego No.17w-01〉, 2017년, 종이에 수묵, 천, 73x73cm 94

도 63. 남빛, 〈Absence of Ego No.17w-04〉, 2017년, 종이에 수묵, 천, 73x73cm 94

도 64. 북유럽 신화의 이그드라실 101

도 65. 각저총 씨름도 102

도 66. 파울 귀스타브 루이스 크리스토프 디오레(Paul Gustave Louis Christophe Doré), 〈최초의 인간이 적었노라. 오라, 오, 죽음이여〉, 1891년, 동판화 105

도 67. 남빛, 〈개와 늑대의 시간I〉, 2019년, 종이에 수묵, 145.5x112cm 107

도 68. 남빛, 〈개와 늑대의 시간 II〉, 2019년, 종이에 수묵, 130x194cm 109

도 69. 남빛, 〈자연의 소리II〉, 2019년, 종이에 수묵, 91x117cm 111

도 70. 남빛, 〈자연의 소리I〉, 2019년, 종이에 수묵, 91x117cm 111

도 71. 에곤 쉴레(Egon Schiele), 〈밝은 햇빛을 배경으로 한 숲〉, 1907년, 캔버스에 유화, 33.5x42cm 112

도 72. 에곤 쉴레(Egon Schiele), 〈푸크시아 넝쿨과 가을나무〉, 1910년, 캔버스에 유화, 50x57cm, 다름슈타트 헤센 주립박물관 소장 112

도 73. 작품 〈자연의 소리I〉(부분) 113

도 74. 남빛, 〈경계에서II〉, 2019년, 종이에 수묵, 44x90cm 115

도 75. 남빛, 〈경계에서I〉, 2019년, 종이에 수묵, 44x90cm 115

도 76. 남빛, 〈경계에서III〉, 2020년, 종이에 수묵, 130.3x162cm 116

도 77. 남빛, 〈The sceneI〉, 2020년, 종이에 수묵, 72.7x91cm 116

도 78. 남빛, 〈The sceneII〉, 2020년, 종이에 수묵, 72.7x91cm 116

도 79. 남빛, 〈The dancing II〉, 2019년, 종이에 수묵, 91x72.7cm 118

도 80. 남빛, 〈The dancing I〉, 2019년, 종이에 수묵, 91x72.7cm 118

도 81. 남빛, 〈The dancing III〉, 2020년, 종이에 수묵, 91x72.7cm 118

도 82. 남빛, 〈경계에서_마주하다I〉, 2020년, 종이에 수묵, 194x651.5cm 121

도 83. 남빛, 〈경계에서_마주하다II〉, 2020년, 종이에 수묵, 157.5x651.5cm 121

도 84. 남빛, 〈경계에서_마주하다I〉(부분), 2020년, 종이에 수묵, 194x651.5cm 122

도 85. 남빛, 〈열 개의 하루〉, 2020년, 종이에 수묵, 35x300cm 125

도 86. 남빛, 〈여섯 개의 엿새〉, 2020년, 종이에 수묵, 35x180cm 125

도 87. 남빛, 〈무제(無題)〉, 2020년, 종이에 수묵, 210x600cm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