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1

1. 이야기 열기: 무용수로서의 무대 경험 1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3. 연구문제 19

4. 연구의 제한점 20

II. 이론적 배경 22

1. 한국전통춤의 정의 및 특성 23

2. 한국전통춤의 무대 공간 26

3. 한국전통춤 무대 경험의 의미 28

4. 내러티브 탐구와 무용 33

1) 무대 경험 관련 연구 33

2) 한국전통춤 관련 연구 36

3) 내러티브 탐구 관련 연구 38

III. 연구 방법 43

1. 연구 절차 43

2. 내러티브 탐구 배경 45

1) 내러티브 탐구의 정의 및 목적 45

2) 내러티브 탐구의 철학적 배경 48

3)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탐색 51

3.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55

1) 현장에서 살아가기: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기 57

2)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이야기 속에 존재하기 59

3)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이야기 수집하기 60

4)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경험의 의미 찾기 61

5)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 62

4.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65

1) 연구자 65

2) 연구 참여자 65

5. 자료 수집 69

6. 자료 분석 절차 72

7. 연구의 정당성 및 윤리적 고려 74

1) 연구의 정당성 74

2) 윤리적 고려 76

IV.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 78

1.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 '가'의 이야기 :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해내는 질감 80

1) 한국전통춤 입문: 지도자의 권유에서 개인의 선택 80

2) 한국전통춤으로의 첫 무대 경험 : 노력, 그리고 감사함 84

3) 몰입의 과정: '정기신(精氣神)'이 하나로 85

4) 질감의 차이: 나의 개성이 담긴 춤의 질감 표현 87

5) 몸이 뚫리는 경험: 진실이 통했던 무대 89

6) 무대는 다양한 수용으로: 자신을 열 수 있는 공간 90

2.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 '나'의 이야기 : 무대는 나만의 자유로운 공간 92

1) 한국전통춤 입문: 언니의 권유에서 설득으로 이어진 인연 92

2) 춤선(鮮)의 아름다움: 시골길과 같은 정서 94

3) 무대는 실전: 준비된 무용수 96

4) 성공적인 무대: 고루 갖추어진 3박자 99

5) 맨손으로 추는 춤, 입춤: 나만의 자유로움 101

6) 예술적 발전: 끝이 없는 무궁무진한 길 103

3.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 '다'의 이야기 : 무대 위에서의 '현장인' 104

1) 한국전통춤 입문: 배움에 대한 갈증 104

2) 무대의 공포증: 타고난 근성, 성실함 106

3) 겸손하고 진솔한 무대: 손바닥으로 가려도 하늘이 안다. 107

4) 무대에서 교방굿거리춤: 자신만의 스토리가 담긴 춤 108

5) 앞으로의 무대: 재미있게 만들고 싶은 욕구 110

6) 조그마한 소망: 현장인으로 남고 싶다 113

4.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 '라'의 이야기 : 진화하는 무대를 위한 끊임없는 행보(行步) 115

1) 한국전통춤 입문: 무동의 역할에서 동경의 대상 115

2) 교학상장(敎學相長): 스스로 발전해 나가는 무대 117

3) '사풍정감'의 모티브: 드라마를 입힌 한량무 '춘설지몽' 119

4) 진화하는 무대: 다채로움을 고사(考査) 120

5) 무대 위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통한 감정표현 122

6) 전통춤의 가치 확장성: 독창적인 개성을 반영한 춤 123

5.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 '마'의 이야기 : 무대에서 시작하여 무대로 돌아가다 125

1) 한국전통춤 입문: '우물 안 개구리'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 125

2) 무용단 생활 이후의 무대: 나의 춤에 집중하는 시기 127

3) 그 시절의 무대: 직업무용수로서의 긴장감 129

4) 무대에서 나의 책임감: 춤의 멋과 맛을 전달 131

5) 무대 위에서의 행복감: 가장 오래된 인연, 살풀이춤 133

6) 무대에서 무대로: 믿고 보는 무용수 135

V. 다시 이야기하기 138

1. 시간적 내러티브: 무대 경험의 변화과정 139

1) 한국전통춤 청년무용수로의 무대 경험: 기예능(技藝能)의 무형적 행위예술 140

2)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로의 무대 경험: 시공간 상황에 따른 자유로운 춤 149

3) 한국전통춤 원로무용수로의 무대 경험: 자생적 전승의 보전 160

2. 공간적 내러티브: 무대 경험의 공간적 측면 164

1) 대극장에서의 무대 경험 165

2) 중·소극장에서의 무대 경험 169

3. 관계적 내러티브: 무대 경험의 관계적 의미 175

1) 무대 경험을 함께 이루는 스승과 동료 및 선후배 관계 176

2) 무대 경험을 통한 관객과의 관계 181

VI. 결론 및 제언 186

1. 결론 186

2. 제언 192

참고문헌 194

부록 203

1. 연구 참여자 기본 정보 204

2. 연구 참여 동의서 205

ABSTRACT 207

표 1. 내러티브 탐구 절차 64

표 2. 연구 참여자 선정기준 67

표 3. 연구 참여자 일반적 특성 68

표 4. 내러티브 탐구의 정당성 75

표 5.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 내러티브 범주화 79

그림 1. 연구 절차 44

그림 2.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탐색 53

그림 3. 삼차원적 탐구공간의 방향성 54

그림 4.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모형 56

그림 5. 내러티브 탐구의 순환과정 57

그림 6. 자료 수집 과정 72

그림 7. 자료 분석 절차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