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stage experience)에 대한 경험중심의 내러티브를 통해 그들의 체험과 진정성이 담긴 이야기를 도출하여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이야기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시점까지 무대 경험에 대한 과정을 알아보고, 이로부터 지닌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내러티브 탐구에서 고려해야 할 3차원적 탐구공간인 시간적 내러티브(시간성), 공간적 내러티브(공간), 관계적 내러티브(관계성)로 구분하여 연구 참여자의 현장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이야기적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 39세 이상 만 60세 이하(주민등록기준 1960. 12. 31 출생자까지)인 무용분야 관력학과 재학 및 졸업자로서 현재에도 예술인으로 활동중이며, 첫 활동 이후 20년 이상 한국전통춤 무대 경험의 경력을 지닌 한국 전통춤 중견무용수 5인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첫째,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들은 무대 경험을 겪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로서 무대 경험에 대한 의미는 무엇인가?의 연구문제에 대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가 무대 경험을 겪는 과정에 있어 기예능(技藝能)의 무형적 행위예술에서 시공간 상황에 따른 자유로운 춤을 추구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으로부터 자율성(autonomy)은 높게 나타났고, 관계성(relatedness)은 안정적으로 형성되어졌으며, 유능성(competence)은 유동적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셋째, 한국 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에 대한 해석은 자생적 전승의 보전으로 분석 되었다. 넷째, 무대 경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따라 대극장과 중·소극장의 공간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에 있어 중·소극장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소통과 공감의 장(場)인 의미로 바라보고 있었다. 다섯째,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을 관계적 측면에서 살펴볼 때 무대를 이루는 주요 주체인 스승, 동료 및 선후배의 관계는 심리적 안정감 및 동행(同行)의 의미로, 무대에서의 관객과의 관계는 감정을 교감하는 의미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며, 이러한 경험을 겪는 과정에서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는 무대 경험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전 및 진화하는 무대를 위한 끊임없는 행보(行步)를 하고 있었다. 이에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에 대한 의미와 경험으로서의 틀을 제시함에 있어 앞으로 문화트랜드를 선도하는 한국전통춤 청년 및 신진 무용가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에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니며, 자신의 독창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앞으로의 '개척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