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I. 서론 13

1. 연구의 배경 및 연구 목적 13

1.1. 연구 배경 13

1.2. 연구 목적 16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16

2.1. 연구 구성 16

2.2. 연구 방법 17

II. 이론적 배경 18

1. 추천시스템 18

1.1. 추천시스템의 정의 18

1.2. 추천시스템의 유형 19

1.3. 추천시스템의 사례 22

2. 도서추천시스템 24

3. 기술수용모델 27

3.1. 기술수용모델 27

3.2.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30

4. 선행연구 31

4.1. 도서추천시스템 선행연구 31

4.2. 기술수용모델 선행연구 35

III. 연구설계 37

1. 도서추천시스템의 시스템 특성 37

1.1. 신뢰성 37

1.2. 선호적합성 38

1.3. 다양성 39

1.4. 새로움 39

2. 연구모형의 주요 변수 40

2.1.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 40

2.2. 지속 이용의도 41

3. 연구모형 및 가설 42

3.1. 연구모형 42

3.2. 연구가설 43

4. 조사설계 44

4.1. 표본 대상 및 자료수집 44

4.2. 설문지 구성 45

4.3. 자료의 분석방법 46

IV. 실증분석 및 결과 49

1. 빈도분석 49

2. 신뢰도 분석 50

3. 분산분석 50

4. 상관관계분석 51

5. 회귀분석 결과 52

5.1. 신뢰성, 선호적합성, 다양성, 새로움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52

5.2. 신뢰성, 선호적합성, 다양성, 새로움이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53

5.3.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54

5.4.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지속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55

V. 결론 56

1. 분석결과의 요약 56

1.1. 기초통계 결과 요약 56

1.2. 분산분석 결과 요약 56

1.3. 가설검증 결과 요약 56

2. 결론 및 한계점 59

2.1. 결론 59

2.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62

참고문헌 64

부록 70

부록1. 도서 구매 시 설문지 70

부록2. 도서 대여 시 설문지 75

ABSTRACT 80

〈표1〉 추천시스템의 유형 22

〈표2〉 주요 변수 설문지 구성 47

〈표3〉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9

〈표4〉 신뢰도 분석 50

〈표5〉 도서획득경로에 따른 주요 변수 평균 비교 51

〈표6〉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52

〈표7〉 신뢰성, 선호적합성, 다양성, 새로움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53

〈표8〉 신뢰성, 선호적합성, 다양성, 새로움이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54

〈표9〉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54

〈표10〉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지속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55

〈표11〉 분석 결과 요약 59

〈그림1〉 계획된 행동 이론 28

〈그림2〉 초기 기술수용모델(TAM) 29

〈그림3〉 기술수용모델(TAM) 30

〈그림4〉 연구 모형 43

〈그림5〉 가설 검증 결과 요약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