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5

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2. 연구 방법 및 절차 19

II. 동시대 미술에서 불완전성의 표현 양상 23

1. 완전성의 형식으로서 통일성 24

2. 불완전성의 형식으로서 지리멸렬함의 미학 29

2.1. 포스트모던의 미학적 원리로서 비결정성 29

2.2. 원리들의 사례화 34

3. 동시대의 불완전 형식 43

3.1. 이접적 종합(Disjunctive Synthesis): 분열이 아닌, 공명과 생성의 입장에서 43

3.2. 카오스(Chaos)로서의 불완전성: 질서의 완전과 완결이 아닌 질서의 태동적인 관점에서 53

3.3. 이동과 연결의 불완전성: 래디컨트(Radicant) 59

4. 연구작품에서 관계성 사유와 불완전성 표현 66

III. 분석 방법으로서 게슈탈트 심리학 75

1. 게슈탈트 심리학의 기본원리 75

2. 게슈탈트 심리학의 분석 원리 77

2.1 집단화 원리(Law of Grouping) 77

2.2. 형태-배경의 원리(Law of Figure-Ground) 83

2.3. 프래그난츠 원리(Law of Prägnanz) 89

3. 표본 선정 및 분석 방법 97

IV. 연구작품에서 불완전성의 형식 원리의 분석 104

1. 연구작품의 통시적 분석 104

1.1. 2017-2018: 완전성으로서 관계성 사유 104

1.2. 2018-2019: 완전성의 회의 109

1.3. 2019~: 절단된 불완전성 113

2. 게슈탈트 심리학에 의한 형식적 분석 116

2.1. 집단화의 원리 분석 116

2.2. 형태-배경의 원리 분석 122

2.3. 프래그난츠 분석 128

3. 분석결과의 종합 136

3.1. 연구작품: 게슈탈트와 탈게슈탈트의 사이 136

3.2. 비교 분석: 로버트 맨골드(Robert Mangold) 142

3.3. 비교 분석: 가브리엘 오로즈코(Gabriel Orozco) 148

4. 해석: 완전성과 불완전성의 역동성 153

4.1. 사회심리학적 게슈탈트의 해석 153

4.2. 철학적 해석 : 부분과 전체의 역동성 159

V. 결론 164

참고문헌 168

Abstract 173

[그림 1] 오온누리, ONE이 되어가는 圓(A circle becoming one), 2017, 컬러 마스킹 테이프, 120x100cm. 17

[그림 2] 오온누리, Being Incomplete II, 2021, 포맥스보드 위에 부직포, 150x850cm. 18

[그림 3] Piet Mondrian, Composition with Grid 9, 1919. 25

[그림 4] Piet Mondrian, Composition with Yellow, Red, Black, Blue, and Gray, 1920. 26

[그림 5] Pablo Picasso, Seated Woman-Jacqueline, 1962. 28

[그림 6] Christo and Jeanne-Claude, Running Fence, Sonoma and Marin Counties, California, 1972-76. 30

[그림 7] John Baldessari, The Fallen Easel, 1988. 35

[그림 8] John Baldessari, Sailing and Tennis, 1987. 36

[그림 9] John Baldessari, Blasted Allegories(Colorful Sentence), 1978. 37

[그림 10] David Salle, Coral Made, 1985. 39

[그림 11] David Salle, Miner, 1985. 40

[그림 12] David Salle, Mingus in Mexico, 1990. 42

[그림 13] Rachel Harrison, Huffy Howler, 2004. 47

[그림 14] Rachel Harrison, Alexander the Great, 2007. 48

[그림 15] Isa Genzken, AbendmahlIsa, 2008. 49

[그림 16] 뉴욕 맨하튼과 센트럴 파크의 페이드 오버(Fade-over) 51

[그림 17] 팔라디오-리트벨트 시나리오 52

[그림 18] M.C. Escher, Devils and Angels, 1960. 55

[그림 19] Frank Stella, Kastūra, 1979. 57

[그림 20] Frank Stella, Das Erdbeben in Chili [N#3], 1999. 58

[그림 21] Cady Noland, Misc. Spill, 1990. 61

[그림 22] Jason Rhoades, The Grand Machine/THEAREOLA, 2002. 62

[그림 23] Franz Ackermann, B. A.-Basement, 2014. 65

[그림 24] 원 기표를 활용한 작업들의 전개 이미지 개요 67

[그림 25] 오온누리, 관계들이 선을 이루다 (strike a balance between people), 2017, 컬러 마스킹 테이프, 나무 판넬, 100x120cm. 69

[그림 26] 오온누리, The touchable shadow, 2018, 부직포, 아크릴 물감, 색연필, 73x150cm. 71

[그림 27] 오온누리, The lost ONE, 2018, 포맥스보드 위에 부직포, 100x100cm. 73

[그림 28] 오온누리, BE FILLED, 2019.의 작업 전개 과정 74

[그림 29] 근접성의 원리 1. 78

[그림 30] 근접성의 원리 2. 78

[그림 31] 근접성의 원리 3. 78

[그림 32] Thomas Anshutz, Ironworkers' Noontime, 1880. 78

[그림 33] 위의 작업에 대비를 극명하게 준 예시 자료 79

[그림 34] 유사성의 원리 1. 79

[그림 35] 유사성의 원리 2. 79

[그림 36] 유사성의 원리 3. 80

[그림 37] Wayne Thiebaud, Pie Counter, 1963. 81

[그림 38] 연속성의 원리 1. 81

[그림 39] 연속성의 원리 2. 81

[그림 40] 연속성의 원리 3. 81

[그림 41] Carmen Lomas Garza, Barbacoa para Cumpleaños, 1993. 82

[그림 42] 〈바베큐 생일 파티〉 안의 나타나는 방향성을 보여주는 그림 자료. 82

[그림 43] 폐쇄성의 원리 1. 82

[그림 44] Susan Rothenberg, Untitled, 1978. 83

[그림 45] 형태-배경원리의 네 가지 유형 85

[그림 46] Vincent van Gogh, L'Arlésienne, 1888. 85

[그림 47] 루빈의 꽃병(Rubin vase, figure-ground vase), 루빈의 컵, 루빈의 얼굴(Rubin face) 86

[그림 48] M.C. Escher, Day and Night, 1938. 87

[그림 49] Pablo Picasso, Le pigeon aux petits pois, 1911. 87

[그림 50] Sherrie Levine, Postcard Collage #4, 1-24, 2000. 세부 이미지 89

[그림 51] 아모달 지각(Amodal Perception)의 원리 예시 1. 91

[그림 52] 아모달 지각(Amodal Perception)의 원리 예시 2. 92

[그림 53] Wassily Kandinsky, Composition VIII, 1923. 93

[그림 54] Wassily Kandinsky, Composition VIII, 1923.를 단순화의 원리로 분석. 93

[그림 55] Wassily Kandinsky, Composition VIII, 1923.의 일부분 94

[그림 56]Wassily Kandinsky, Composition VIII, 1923.의 일부분을 프래그난츠의 아모달 원리로 분석 1. 95

[그림 57] Wassily Kandinsky, Composition VIII, 1923.의 일부분을 프래그난츠의 아모달 원리로 분석 2. 96

[그림 58] 시기별로 연구작에서 나타나는 집단화의 원리 중 근접성과 유사성을 보여주는 도표 98

[그림 59] 시기별로 연구작에서 나타나는 집단화의 원리 중 연속성과 폐쇄성을 보여주는 도표 99

[그림 60] 시기별로 연구작에서 나타나는 프래그난츠의 원리 중 단순성을 보여주는 도표 99

[그림 61] 시기별로 연구작에서 나타나는 형태-배경의 원리 중 안정 유형을 보여주는 도표 100

[그림 62] 시기별로 연구작에서 나타나는 형태-배경의 원리 중 역전 유형과 애매 유형을 보여주는 도표 101

[그림 63] 시기별로 연구작에서 나타나는 형태-배경의 원리 중 역동 유형을 보여주는 도표 102

[그림 64] 시기별로 연구작에서 나타나는 프래그난츠의 원리 중 아모달지각을 보여주는 도표 102

[그림 65] 오온누리, 나와 나의 관계들(Me and my Relationship with People), 2017, 컬러 마스킹 테이프, 나무 판넬, 161.5x467cm. 105

[그림 66] 오온누리, For One, 2017, 컬러 마스킹 테이프, 나무 판넬, 60x60cm. 106

[그림 67] Frank Stella, Harran II, 1967. 107

[그림 68] 오온누리, 완벽하지 않은 완벽함(Imperfect Perfection), 2017, 컬러 마스킹 테이프, 나무 판넬, 120x282cm. 108

[그림 69] 오온누리, From your view, 2018. 109

[그림 70] 오온누리,Without starlight, 2018. 109

[그림 71] 오온누리,Beautify truth, 2018. 109

[그림 72] 오온누리,The Connection Link, 2018. 109

[그림 73] 오온누리,Looking for missing, 2018. 109

[그림 74] 오온누리,DOOR, 2018. 109

[그림 75] 오온누리, Desideratum, 2018, 부직포, 아크릴 물감, 색연필, 27.3x66cm. 110

[그림 76] 오온누리, Nothing is Permanent, 2019, 부직포, 아크릴 물감, 116.7x240.7cm. 111

[그림 77] 오온누리, Getting Close, 2019, 나무 캔버스 위에 부직포, 100x145cm. 114

[그림 78] 오온누리, Silently, 2019, 나무 캔버스 위에 부직포, 100x145cm. 115

[그림 79] 오온누리, Being Incomplete, 2021, 포맥스보드 위에 부직포, 150x850cm. 116

[그림 80] 〈나와 나의 관계들〉 집단화의 원리 분석 도표 117

[그림 81] 〈나와 나의 관계들〉 집단화의 원리 예시 1. 118

[그림 82] 〈나와 나의 관계들〉 집단화의 원리 예시 2. 118

[그림 83] 〈ONE이 되어가는 圓〉 집단화의 원리 분석 도표 119

[그림 84] 〈ONE이 되어가는 圓〉 집단화의 원리 예시 1. 120

[그림 85] 〈ONE이 되어가는 圓〉 집단화의 원리 예시 2. 120

[그림 86] 〈완벽하지 않은 완벽함〉 집단화의 원리 분석 도표 121

[그림 87] 〈완벽하지 않은 완벽함〉 집단화의 원리-위치적 근접성 분석 122

[그림 88] 〈그 밤의 냄새〉 형태-배경의 원리 분석 도표 123

[그림 89] 〈그 밤의 냄새〉 형태-배경의 원리 중 안정 유형, 애매 유형 분석 124

[그림 90] 〈BE〉 형태-배경의 원리 분석 도표 124

[그림 91] 〈BE〉 형태-배경 원리 분석 125

[그림 92] 〈Nothing is permanent〉 형태-배경의 원리 분석 도표 126

[그림 93] 〈Nothing is Permanent〉 형태-배경 원리 분석 126

[그림 94] 〈우리 중 한 명〉 형태-배경 원리 분석 도표 127

[그림 95] 〈우리 중 한 명〉을 형태-배경의 원리 중 역동 유형으로 분석 128

[그림 96] 〈A Thin Layer〉 프래그난츠의 분석 도표 129

[그림 97] 〈A Thin Layer〉 중 '원'형태를 아모달 지각의 원리로 분석 130

[그림 98] 〈Walking on Infinity〉 프래그난츠의 분석 도표 131

[그림 99] 〈Walking on Infinity〉 제작 과정 132

[그림 100] 〈Walking on Infinity〉 인식 과정 133

[그림 101] 〈Being Incomplete〉 프래그난츠 원리 분석 도표 134

[그림 102] 〈Being Incomplete〉 작업 과정을 아모달 지각의 원리로 분석 134

[그림 103] 〈Being Incomplete〉 작업 과정 135

[그림 104] 〈Being Incomplete〉 일부분 프래그난츠 원리로 분석 135

[그림 105] 게슈탈트와 탈게슈탈트의 정도: 2017년도의 연구작 도표 137

[그림 106] 게슈탈트와 탈게슈탈트의 정도: 2018년도의 연구작 도표 138

[그림 107] 게슈탈트와 탈게슈탈트의 정도: 2019년도의 연구작 도표 139

[그림 108] 게슈탈트와 탈게슈탈트의 정도: 2020~년도의 연구작 도표 140

[그림 109] 게슈탈트와 탈게슈탈트의 정도의 변화: 2017-2020~년도의 연구작 선형 그래프 141

[그림 110] Robert Mangold, Gray Ellipse / Yellow Frame, 1987. 142

[그림 111] 오온누리, 願하는 ONE(Desired ONE), 2017, 컬러 마스킹 테이프, 색유리, 120x60cm. 144

[그림 112] Robert Mangold, Ring Image H, 2009. 146

[그림 113] Ring Image H 를 옆에서 바라본 전경 146

[그림 114] 오온누리, Layered Circle, 2021, 부직포, 가변크기. 147

[그림 115] Gabriel Orozco, The Samurai Tree Invariants, 2006. 149

[그림 116] Gabriel Orozco, The Samurai Tree Invariants, 2006.의 한 부분 150

[그림 117] Gabriel Orozco, Dandelion, 2008. 151

[그림 118] Gabriel Orozco, Dandelion, 2008.의 작업 과정 151

[그림 119] 오온누리, Just Stop By, 2021. 152

[그림 120] 오온누리, Just Stop By, 2021.의 작업 과정 152

[그림 121] 하이더의 균형 상태와 불균형 상태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