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4

2. 연구 범위 및 방법 15

II. 내러티브 이미지(Narrative Image)에 대한 이론적 고찰 17

1. 내러티브(Narrative)의 정의 및 개념 17

2. 내러티브의 구조 21

1) 이야기(내용) 23

2) 표현(담론) 24

3. 하이퍼 텍스트(Hyper text)의 개념과 특성 25

1) 비선형성 26

2) 상호작용성 28

3) 무경계성 29

4. 현대미술에서의 내러티브 이미지(Narrative Image)의 귀환 30

III. 불안에 대한 사회학 및 철학적 고찰 37

1. 현대사회에 불안한 존재로서의 인간 37

1) 과열된 경쟁으로 인한 불안 37

2)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불안 39

2. 불안에 대한 철학적 이해 41

1)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근본기분'에 의한 불안 41

2) 장-폴 사르트르(Jean-Pual Sartre)의 '무'에 의한 불안 44

IV. 비교 작가 연구 47

1.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 1901-1966): 소거법으로 실존적 인간상을 구현 47

2. 앤토니 곰리(Antony Gormly, 1950-): 작품의 공간적 내러티브(Narrative) 확장 55

3. 수신핑(Su Xinping, 1960-): 내면적 심상을 비선형적 내러티브 이미지(Narrative Image)로 표현 66

4.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 여성공간의 내러티브 이미지(Narrative Image) 75

V. 연구자 작품 분석 83

1. 작품 형성 배경과 주제 분류 83

1) 작품 형성 배경 83

2) 작품 주제 분류 84

2. 〈Homage〉 연작: 86

1) 내용적 측면: 문학 속의 불안과 파편적 내러티브 86

2) 형식적 측면: 평면과 일루전(Illusion)의 유희적 공간 90

3. 〈Fall down〉 연작: 92

1) 내용적 측면: 자서전적 내러티브(Narrative) 속의 불안 92

2) 형식적 측면: 시간성을 도입한 회화적 공간 94

4. 〈Solitary〉 연작: 98

1) 내용적 측면: 불안을 치유하는 비선형적 내러티브 98

2) 형식적 측면: 현실과 비현실 공간의 혼합 102

VI. 결론 106

참고문헌 108

ABSTRACT 115

[표 1] 채트먼의 내러티브 구조 22

[표 2] 하이퍼텍스트 구조 26

[표 2] 고등교육기관 취업통계 38

[도판 1]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벽화, 460x879㎝, 1495-1498, 이탈리아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 그라피에 수도원 20

[도판 2]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 〈너의 금빛 머리, 마가레트(Your Golden Hair Margarethe)〉, 캔버스에 유채, 41.6x55.6㎝, 1980. 32

[도판 3] 그레이엄 와인브렌, 〈소나타(Sonata)〉, 혼합재료, 가변 크기, 1991-1993 35

[도판 4] 알베르토 자코메티, 7인의 형상과 한 개의 두상의 컴포지션, 브론즈에 채색, 1950 45

[도판 5] 알베르토 자코메티, 〈제임스 로드James Lord〉, 드로잉, 1964 51

[도판 6] 〈제임스 로드James Lord〉 작품 부분 이미지 51

[도판 7] 알베르토 자코메티, 〈small figure〉, 브론즈, 1940-41. 53

[도판 8] 알베르토 자코메티, 〈흔들리는 남자〉, 브론즈, 1950. 54

[도판 9] 앤토니 곰리, 〈틀(Mould)〉, 철주조, 1981 57

[도판 10] 앤토니 곰리, 〈Another Place〉, 철주조, 1997, 100개의 형상 설치 풍경, 쿡스하펜 59

[도판 11] 앤토니 곰리, 〈Total Strangers〉, 철주조, 1997 60

[도판 12] 앤토니 곰리, 〈Critical Mass〉, 철주조, 2002 62

[도판 13] 수신핑, 〈먼 곳을 바라보다〉, 목판화, 10.5x14.5㎝, 1980 67

[도판 14] 수신핑, 〈고요한 마을-II〉, 석판화, 52x69㎝, 1991 70

[도판 15] 수신핑, 〈그림자II〉, 석판화, 49.5x66㎝, 1989 71

[도판 16] 수신핑, 〈누운 남자와 멀리 가는 백마〉, 석판화, 62x50.5㎝, 1989 72

[도판 17] 루이즈 부르주아, 〈무제〉, 동판화, 23.6x18.2㎝, 1941 77

[도판 18] 루이즈 부르주아, 〈집-여자〉, 캔버스에 유채, 91x35.5㎝(x3), 1947 79

[도판 19] 부르주아 〈거미〉, 종이에 수채, 25.4x20.3㎝, 1994 81

[도판 20] 영화 〈Burning〉 예고편 87

[도판 21] 중국의 전통 민속놀이 그림자 극(皮影) 92

[도판 22]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생-리자르역 뒤에서〉, 사진, 1932 96

[도판 23] 〈Solitary-4〉 드로잉 과정 103

[작품 1] Wang Xia, 〈Solitary-3〉 부분 이미지 53

[작품 2] Wang Xia, 〈Fall down-1〉, 석판화, 60x90㎝, 2019 55

[작품 3] Wang Xia, 〈Solitary-Iceberg〉, 석판화, 39x27㎝, 2020 64

[작품 4] Wang Xia, 〈Solitary-1〉, 석판화, 39x27㎝, 2020 65

[작품 5] Wang Xia, 〈Don't Say〉, 목판화, 122x244㎝, 2014 69

[작품 6] Wang Xia, 〈Solitary-2〉, 석판화, 39x27㎝, 2020 71

[작품 7] Wang Xia, 〈해변의 카프카I〉, 스크린 판화, 60x90㎝, 2019 74

[작품 8] Wang Xia, 〈Fall down-3〉 부분 이미지 78

[작품 9] Wang Xia, 〈Solitary-4〉 부분 이미지 81

[작품 10] Wang Xia, 〈Burning〉, 목판화, 90x90㎝, 2022 88

[작품 11] Wang Xia, 〈해변의 카프카II〉, 스크린 판화, 60x90㎝, 2019 89

[작품 12] Wang Xia, 〈해변의 카프카III〉, 스크린 판화, 60x90㎝, 2019 91

[작품 13] Wang Xia, 〈Fall down-2〉, 목판화, 60x90㎝, 2019 93

[작품 14] Wang Xia, 〈Fall down-3〉, 목판화, 60x90㎝, 2019 94

[작품 15] Wang Xia, 〈Fall down-4〉, 목판화, 60x90㎝, 2019 97

[작품 16] Wang Xia, 〈Solitary-3〉, 석판화, 39x27㎝, 2020 100

[작품 17] Wang Xia, 〈Solitary-5〉, 석판화, 39x27㎝, 2020 101

[작품 18] Wang Xia, 〈Solitary-6〉, 석판화, 39x27㎝, 2020 104

[작품 19] Wang Xia, 〈Solitary-7〉, 석판화, 39x27㎝, 2020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