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 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 내용 21

3. 용어 정의 22

1) 초심 청소년 상담자 22

2) 소진 22

3) 소진 회복 22

4)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 22

II. 이론적 배경 23

1. 소진 23

1) 소진의 개념과 구성요소 23

2) 소진의 증후 25

3) 소진의 원인과 결과 28

4) 심리적 소진 회복 모델 30

5) 선행연구 32

2. 현실치료 38

1) 현실치료의 개요 38

2) 선택이론 39

3) 현실치료 상담과정 43

4) 현실치료 상담과정과 소진의 회복 과정 46

5) 선행연구 47

3. 요리치료 53

1) 요리치료의 개요 53

2) 요리치료와 통찰 55

3) 요리치료 과정 58

4) 요리치료의 장점 60

5) 선행연구 61

4. 요리치료와 현실치료 64

5. 프로그램 개발 및 절차 66

1) Dick과 Carey의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 66

2) 변창진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68

3) 박인우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69

4) Sussman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70

5) 김창대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71

III. 연구방법 74

1.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 구성 74

1)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의 목적(Goal) 및 세부 목표(Objectives) 74

2)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 개발과정 및 절차 76

2.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83

1) 실험설계 83

2) 연구 참여자 및 절차 84

3) 측정도구 88

4) 자료 분석 92

IV. 연구결과 93

1.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93

2.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이 초심 청소년 상담자의 소진 회복에 미치는 영향 98

1)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분석 98

2) 연구 참여자의 경험 101

V. 논의 및 결론 112

1. 연구의 논의 및 결론 112

2. 연구의 한계와 제언 119

참고문헌 120

부록 147

〈부록1〉 척도 148

〈부록2〉 프로그램 계획안 161

〈부록3〉 현실치료 활동지 175

〈부록4〉 프로그램 평가지 194

〈부록5〉 연구참여자용 동의서 및 설명서 196

〈부록6〉 연구참여자 공지문 203

〈부록7〉 서면인터뷰 질문 내용 205

〈부록8〉 프로그램 결과물 사진 207

Abstract 212

〈표1〉 연구 참여자 정보 84

〈표2〉 소진 척도 하위요인과 신뢰도 89

〈표3〉 우울 척도 하위요인과 신뢰도 90

〈표4〉 분노표현 척도 하위요인과 신뢰도 91

〈표5〉 자아통제력 척도 하위요인과 신뢰도 92

〈표6〉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 93

〈표7〉 1회기 내용 96

〈표8〉 2회기 내용 97

〈표9〉 기술통계 결과(평균, 표준편차) 98

〈표10〉 Paired T-test 결과 99

〈표11〉 Wilcoxon Signed Rank Test 결과 99

[그림1]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 및 목표 75

[그림2] 프로그램 개발 절차와 주요 내용 82

[그림3] 단일 집단 사전-사후설계 83

[그림4] 요리 활동을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 실시 절차 87

[그림5] 사전-사후 결과 비교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