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1

제1장 서론 13

1.1. 배경 13

1.1.1. 병원 밖 심정지 현황 13

1.1.2. 병원 밖 심정지 성과를 향상하는 데이터 15

1.2. 연구의 필요성 16

1.2.1.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 16

1.2.2.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예후 예측 18

1.2.3. 병원 밖 심정지 환자 대상 시각화 툴 18

1.3. 연구 목적 20

제2장 응급실 내 심폐소생 시 데이터 기록을 위한 기록자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평가 22

2.1. 배경 22

2.2. 목적 23

2.3. 방법 24

2.3.1. 어플리케이션 개발 24

2.3.2. 연구 방법 29

2.4. 결과 33

2.4.1.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 33

2.4.2. 사용성 평가 결과 35

2.5. 논의 39

2.6. 결론 41

제3장 대한민국 국가 코호트를 활용한 시간 개념이 적용된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예후 예측 모델 개발 42

3.1. 배경 42

3.2. 목적 43

3.3. 방법 44

3.3.1. 데이터셋 44

3.3.2. 예측 인자와 환자 결과 45

3.3.3. 데이터 처리 46

3.3.4. 예측 모델 개발 46

3.3.5. 통계적 평가 51

3.3.6. 모델 구현 51

3.4. 결과 53

3.4.1. 환자 대상 선정 53

3.4.2. 환자 특성 54

3.4.3. 연구 코호트 56

3.4.4. 모델 성능 57

3.5. 논의 60

3.6. 결론 62

제4장 응급실 내 심폐소생술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대시보드 개발 63

4.1. 배경 63

4.2. 목적 64

4.3. 방법 66

4.3.1. 대시보드 화면 구성 66

4.3.2. 대시보드 시스템 구성 67

4.3.3. 연구 방법 68

4.4. 결과 72

4.4.1. CTS 평가 결과 72

4.4.2. TAM 기반 설문 평가 결과 74

4.4.3. 사용성 평가 결과 75

4.4.4. 사용자 인터뷰 76

4.5. 논의 80

4.6. 결론 82

제5장 결론 83

5.1. 논의 83

5.2. 제언 86

5.3. 결론 87

참고문헌 88

ABSTRACT 94

Table 1. CPR 기록 방식에 따른 내용 정확도 비교표 33

Table 2. CPR 기록 방식에 따른 시간 정확도 비교표 34

Table 3. 참여자별 시스템 사용성 평가 점수 35

Table 4. 시간 개념을 적용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의 3가지 다른 알고리즘에 대한 AUROC 결과 48

Table 5. max_depth에 따른 AUROC 결과 49

Table 6. num_leaves에 따른 AUROC 결과 49

Table 7. min_data_in_leaf에 따른AUROC 결과 50

Table 8.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기본 특성 55

Table 9. 0분부터 30분까지의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예후 예측 모델의 AUROC 및 AUPRC 점수 59

Table 10. Clinical Teamwork Scale 예시 69

Table 11. TAM 기반 설문지 71

Table 12. CTS 평가 결과 73

Table 13. TAM 평가 결과 75

Table 14. 대시보드 연구 참여자 별 시스템 사용성 평가 점수 75

Figure 1. 질병관리청 병원 밖 심정지 환자 건강통계자료 14

Figure 2. Utstein 기반의 필수, 선택 데이터 목록 17

Figure 3. 데이터 기반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심폐소생술 플랫폼의 연구 범위 20

Figure 4. CPR recoder 어플리케이션 초기 와이어프레임 화면 구성 24

Figure 5. CPR recorder 어플리케이션 초기 프로토타입 화면 구성 25

Figure 6. CPR recorder 어플리케이션 가로 레이아웃 화면 구성 26

Figure 7. CPR recorder 어플리케이션 최종 화면 구성 27

Figure 8. System Usability Scale (SUS) 설문지 30

Figure 9.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 수 및 실험한 케이스 수 32

Figure 10.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한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52

Figure 11. 연구에 포함된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환자 대상 선정 다이어그램 53

Figure 12. 분 별 Time cohort에 포함된 환자 수 56

Figure 13.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 및 CPR 지속시간을 학습인자로 사용한 모델의 생존 퇴원에 대한 예측 확률 57

Figure 14. 응급실 도착 2분 째의 병원 밖 심정지 환자 예후 예측 모델의 outcome 별 AUROC와 AUPRC 58

Figure 15. 데이터 기반의 대시보드 화면 구성 66

Figure 16. 대시보드 연구 플로우 차트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