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헬스케어산업 전반에 있어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전자의무기록(EMR)의 도입으로,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은 병원의 헬스케어 업무 전반의 효율성을 개선하였다. 모바일 기기의 등장과 생활 전반에 보급으로 인해, 모바일 전자의무기록(mEMR) 역시 점차 주목받고 사용되었다. 하지만 의사들의 모바일 전자의무기록 사용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편인데, 이는 모바일 전자의무기록 사용이 업무에 이익이 된다는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이전에 모바일 전자의무기록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시뮬레이션 연구로 이루어지거나, 실사용과 연관성이 떨어지는 설문이 대다수인 실정이다. 실제 현장에서 의료종사자들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자의무기록과 대비되는 양적, 질적의 이익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들의 모바일 전자의무기록 사용과 업무흐름의 개선 효과를 기존 전자의무기록과 비교해 확인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4개의 순차적으로 연결된 연구로 구성했으며, 제 2장에서는 이전의 모바일 전자의무기록의 의료종사자들의 사용에 관한 연구들을 리뷰했으며, 연구의 절대 숫자가 많지않고, 논문의 내용에서도 참가자의 규모나 기간이 충분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모바일 전자의무기록의 사용근거를 확인하기 위해 2개의 실제적인 시나리오로 구성된 시뮬레이션 연구를 계획했다. 시뮬레이션연구는 실제 의료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병원 현장에서 수행했으며, 기존의 사용하는 전자의무기록과 업무수행 시간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했다. 이 연구에서 모바일 전자의무기록 사용이 기존의 전자의무기록에 비해 시간적으로 효율적임을 확인했다. 제4장에서는 응급실 내 의사협진업무와 의사의 모바일 전자의무기록 사용빈도와의 상관관계를 7개월 간의 로그데이터 분석을 시행했고, 모바일 전자의무기록의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의사협진업무를 빠르게 수행하는 것을 확인했다. 제 5장에서는 범위를 넓혀 1년 간 의사인턴의 모바일 전자의무기록 사용빈도와 업무수행속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했으며, 이 연구에서도 역시 모바일 전자의무기록의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속도가 빠른 경향성을 확인했다. 또한 Systemic usability score (SUS)를 이용한 사용성 평가에서는 우수한 사용성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병원 내에서 의료진의 모바일 전자의무기록의 사용이 좋은 사용성을 보이며 업무흐름 개선에 기여함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