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환자는 유방암 치료 후 인지 장애를 자주 보고한다. 인지 기능 저하는 암 자체의 영향, 화학 요법, 우울증 및 불안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복잡하다. 호르몬 요법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폐경 전 및 폐경 후 유방암 환자가 혼합 되어있거나 다양한 호르몬 약물들이 합쳐져 있는 등의 방법론적 차이로 인하여 각 연구에서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것은 호르몬 요법 사용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의 해석을 어렵게 하였다.
유방암을 원발암으로 진단받은 19세 이상의 폐경 전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1,190명의 연구대상자를 호르몬 요법과 화학 요법 모두 받지 않은 군, 호르몬 요법만 받은 군, 호르몬 요법과 화학 요법을 모두 받은 군, 화학 요법만 받은 군으로 나누었다. 인지 기능은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 (SMCQ) 및 EORTC-QLQ-C30(인지 기능)을 사용하였다.
총 1,190명의 유방암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호르몬 요법 및 화학 항암 요법을 모두 받지 않은 군 (N=62), 호르몬 요법만 받은 군 (N=683), 호르몬 및 화학 항암요법을 모두 받은 군 (N=270), 화학 항암 요법만 받은 군 (N=175)으로 분류하였다. 호르몬 요법 및 화학 항암 요법을 받지 않는 군과 비교하여 각 치료 군과의 인지 기능 (SMCQ)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0.471). 다변량 선형 회귀 모델에서 (연령, 병기, 교육 수준, 우울증 보정) 호르몬 요법 및 화학 항암 치료를 받지 않는 군과 비교하여 각 치료 군과의 인지 기능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단독 호르몬 요법 군 (β=0.18, 95% CI: -0.53, 0.89), 호르몬 치료 및 화학항암치료 요법을 모두 받은 군 (β=-0.02, 95% CI: -0.80, 0.77), 화학항암치료만 받은 군 (β=0.35, 95% CI: -0.46, 1.16). 또한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치료 군 간 인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74).
폐경 전 유방암 환자에서 호르몬 요법 사용과 인지 기능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 호르몬 요법의 인지 부작용은 점점 더 인식되고 있으며 삶의 질이나 치료 지속 및 결과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호르몬 용량과 규칙적인 섭취 정보 등을 고려하여 향후 대규모 종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