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일러두기 14
약어표 16
국문초록 및 주제어 19
I. 서론 21
A. 문제제기 21
B. 연구동기와 목적 24
C. 연구방법과 범위 47
1. 최종본문에 대한 본문 분석 47
2. 고대 히브리 시문의 평행법(parallelism) 분석 48
3. 연구범위 62
II. 시편 119 편 연구사 65
A. 서론 65
B. 시편 119 편에 대한 양식 비평과 삶의 자리 연구의 한계 71
1. 장르의 문제 71
2. 삶의 자리(Sitz im Leben)의 연구와 한계 77
C. 시편 119 편 〈토라트 아도나이〉 개념이 갖는 확장성 연구 87
D. 시편 119 편에 나타나는 양극성에 대한 연구 95
1. 프리드만의 질서(order)-혼돈(chaos)의 대립 구조 95
2. 베스터만의 탄원-찬양의 진자운동 이론의 의의와 한계 99
3. 브루그만의 정위-혼미-재정위 운동 이론의 의의와 한계 105
E. 평가 : 말씀과 인간의 깊은 관계성을 담아낼 모델로서 "길항적 진자운동" 110
III. 시편 119 편 본문 주석을 위한 준비 114
A. 시편 119 편의 구조와 양식 파악하기 114
1. 알파벳 순서에 따르는 이합체 시로서의 구조 114
2. 알파벳마다 8 (1+7)개 절로 형성된 연 114
3. 각 연의 첫 절들이 해당 연의 도입문을 이루고 있는 구조 116
4. 강-약 사이의 어조적 움직임이 반영되어 있는 전체와 개별 구조 121
B. 시편 119 편의 배경과 내용 파악하기 124
1. 시편 119 편의 화자는 누구인가 124
2. 정경적 본문으로서 시편집에서 시편 119 편의 위치 129
C. 시편 119 편의 문법적 요소 파악하기 136
1. 어휘 용례 분석과 내용의 상관 관계 136
2. 인칭의 변화 : 3 인칭 선언적 진술에서 1-2 인칭의 대화체로의 전환 138
3. 화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청유형, 명령형, 지시법 문장의 빈번한 사용 139
IV. 시편 119 편의 본문 주석 146
A. 개인역과 본문비평 146
1. 개인역 146
2. 본문비평 169
B. 시편 119 편 주석 177
1. 전반부 - 고난 가운데서 토라트 아도나이를 믿고 따르는 삶(119:1-88) 177
2. 후반부(12-22 연) : 고난 가운데 토라트 아도나이를 사랑하는 삶 264
V. 시편 119 편의 히브리 시문적 의미와 특징 334
A. 서론 334
B. 시편 119 편의 개별 절들의 진술적 특징 335
1. 서두의 알파벳의 여덟 차례 반복적 사용 : 등가적 요소(1) 336
2. 여덟 개의 〈토라트 아도나이〉에 대한 상응어들 : 등가적 요소(2) 337
3. 동사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연결되고 있는 시인과 하나님의 관계 338
4. 〈토라트 아도나이〉와의 관련성 가운데 연결되는 시인과 주님의 관계 340
C. 시편 119 편의 전체 구조와 특징 341
1. 두 구조의 중첩된 형태로서 시편 119 편 341
2. 전반부(1-11 연) : "고난 가운데 토라트 아도나이를 신뢰하는 삶" 347
3. 후반부(12-22 연)의 "고난 가운데 토라트 아도나이를 사랑하는 삶" 351
4. 중심부(11-12 연) : 약함의 어조와 강함의 어조 사이의 길항(拮抗)적 진자운동 356
5. 시편 119 편 전체 구조에서 중요한 지점들 359
D. 개별 절들과 전체 구조 사이에 형성되는 해석학적 관계 368
1. 개별 진술들의 누적과 통합으로 형성되는 시편 전체의 흐름 368
2. 전체 구조와 개별 절들 사이에 형성되는 해석학적 관계 369
VI. 시편 119 편의 신학적-인간학적 의미 해석 372
A. 말씀과 인간의 결속관계를 드러내는 두 어조 372
1. 말씀을 갈망하는 전적 의존 : 약함의 어조 372
2. 말씀으로 일으켜진 확정된 마음 : 강함의 어조 375
3. 두 어조로 말씀을 지향하고 갈망하는 길항(拮抗)적 진자 운동 378
B. 시편 119 편과 〈토라트 아도나이〉를 따르는 경건의 길 382
1. 생명과 삶의 근원으로서 〈토라트 아도나이〉 382
2. 〈토라트 아도나이〉를 수용하고 갈망하는 주체로서 〈레바브〉와 〈네페쉬〉 388
3. 〈토라트 아도나이〉로 사는 삶의 출발점으로서 내면과 생각 391
4. 〈토라트 아도나이〉로 사는 삶의 지향점으로서 말과 실행 393
5. 시편 119 편과 〈토라트 아도나이〉를 따르는 경건의 길 395
VII. 결론 398
A. 요약 398
B. 제언 405
참고문헌 409
Abstract 424
표 1. 약함의 어조와 강함의 어조 33
표 2. 평행법의 다양한 차원들 58
표 3. 게르스텐베르거의 시편 119 편 양식 분석 80
표 4. 각 연별 시작하는 진술로서 첫 절들에 나타나는 토라 상응어 117
표 5. 연별 첫 절에서의 토라 용어 사용 119
표 6. 정경적 최종형태에서 시편집 제 5 권의 구성 134
표 7. 〈토라트 아도나이〉에 대한 상응어 용례 136
표 8. 시편 119 편에서 나타나는 청유형, 명령형 지시법(jussive) 문장 139
표 9. 청유형, 명령형 지시법(jussive)에서 사용된 동사 용례 빈도 분석 140
표 10. 평행적 구조와 교차대칭적 구조가 중첩된 시편 119 편의 전체 구조 343
표 11. 시편 119 편의 전체 구조와 주제 분석 346
표 12. 시편 119 편 전반부 1-11 연의 구성 347
표 13. 시편 119 편 전반부에서 나타나는 고난적 현실에 대한 언급 348
표 14. 시편 119 편 후반부 12-22 연의 구성 351
표 15. 시편 119 편 후반부에서 나타나는 고난적 현실에 대한 언급 353
표 16. 연별 첫 절에서의 토라 용어 사용 385
표 17. 시편 119 편에서 나타나는 〈레브/레바브〉의 용례 388
표 18. 시편 119 편에서 나타나는 〈네페쉬〉의 용례 390
표 19. 전인적, 총체적 차원에서 〈토라트 아도나이〉가 이끄시는 삶 391
그림 1. 두 어조의 길항적 진자운동 도식 37
그림 2. 전반부 각 연 첫 절에서의 토라 용어 분포 120
그림 3. 후반부 각 연 첫 절에서의 토라 용어 분포 120
그림 4. 전체 구조에서의 약함의 어조와 강함의 어조의 길항적 진자운동 122
그림 5. 고대 이집트 아비도스(Abydos) 지역에서 발굴된 상아세공품 266
그림 6. 개별 절들에서 나타나는 평행법적인 등가의 요소들 336
그림 7. 전체 구조에서의 약함의 어조와 강함의 어조의 길항적 진자운동(=그림 4.) 356
그림 8. 개별 절들에서 나타나는 평행법적인 등가의 요소들(=그림 6.) 369
그림 9. 〈토라트 아도나이〉로 귀결되는 개별 절들과 전체 구조의 해석학적 관계 371
그림 10. 약함의 어조와 강함의 어조의 길항적 진자운동 도식(=그림 4./그림 1.)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