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및 주제어 10
I. 들어가는 글 11
A. 문제 제기 16
B. 몰트만 교회론의 토대와 차원들 22
C. 선행 연구 27
D. 논문의 범위와 방법 그리고 한계 39
II. 몰트만의 해방·역사적 차원의 교회론 44
A. 해방을 향한 메시야적 실천 공동체 49
1. 종말론적 부활의 약속과 희망 위에 서 있는 교회 53
2. 십자가 아래에 서 있는 교회 59
3. 정의와 평화를 향한 출애굽 공동체 64
4. 구원과 해방을 향한 실천 공동체 67
B. 삼위일체적 사귐과 친교의 열린 공동체 72
1. 몰트만 교회론의 삼위일체적 구조 77
2. 삼위일체 하나님의 개방성과 역사에 참여하는 교회 82
3. 삼위일체적 사귐과 친교의 아름다움 85
C. 역사 참여와 관계를 향한 선교 공동체 91
1. 변증법적 개방성과 유대성 94
2. 이스라엘의 미래를 위한 희망의 교회 97
3. 세계종교를 향한 선교적 교회 99
4. 교회와 세계의 삶의 과정들 104
D. 성령의 능력과 현재 안에 있는 성령 공동체 108
1. 회상과 희망을 잇는 성령의 능력 110
2. 메시아적 삶의 친교 안에 있는 성례전적 교회 114
3.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카리스마적 공동체 119
4. 자유의 영 안에서의 형제자매 공동체 123
E. 해방과 역사를 위한 교회의 표지들 129
1. 가난한 자들과의 친교와 하나 됨 131
2. 보편성과 가난한 자들을 향한 당파성 134
3. 가난을 통한 거룩함 136
4. 가난한 자를 위한 사도적 증언과 고난 140
III. 몰트만의 자연·우주적 차원의 교회론 145
A. 종말론적 기다림의 공동체 149
1. 오시는 하나님을 기다리는 적극적인 기다림 151
2. 새창조 공동체 : 만유의 화해를 위한 고난의 기다림 156
3. 하나님의 우주적 쉐히나 : 모든 것의 모든 것 되시기까지 안식의 기다림 160
4. 찬송과 영광의 공동체 163
B. 삼위일체론적 만유의 관계와 사귐의 교회 167
1. 아버지, 아들, 성령의 상호 순환적 사랑과 열린 공동체 173
2. 세계와의 상호관계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 178
3. 우주적 페리코레시스 : 삼위일체적 인격과 사귐의 공동체 183
4. 삼위일체적 거주 공간들과 초대하는 공간 공동체 186
C. 우주적 그리스도론과 보편적 교회 192
1. 몰트만의 삼중적 창조론과 범재신론 196
2. 그리스도 존재의 확장과 교회 개념의 확장 199
3.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 : 그리스도와 우주의 상호성, 그리고 개방적 교회 205
D. 성령론적 생명 공동체 209
1. 카리스마적 역동성 가운데 있는 은사 213
2. 만물의 새 창조의 지평 안에 있는 생명의 선교 217
3. 삶을 향해 해방하는 성령의 경험 221
4. 성령의 사귐 안에 있는 우주적 친교 223
E. 환경·생태적 공동체 227
1. 세계 속에 계시는 하나님 228
2. 생태학적 창조론과 성만찬 공동체 231
3. 생태학적 종말론과 자연의 희망 234
4. 생태학적 교회론과 창조의 축제로서의 안식일 239
IV. 해방·역사적 차원과 자연·우주적 차원의 교회론의 비교와 종합 246
A. 해방·역사적 차원의 교회론에 대한 정리와 평가 246
B. 자연·우주적 차원의 교회론에 대한 정리와 평가 254
C. 연합과 연대 : 두 차원의 교회론의 비교와 종합 261
V. 맺는 글 265
A. 요약 및 평가 265
B. 제언 : 해방과 역사·자연과 우주의 구원을 품는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 269
참고문헌 272
Abstract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