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및 주제어 9

I. 서론 10

A. 연구 동기와 목적 10

B. 연구 방법과 범위 11

II. 한국교회의 예배 진단 13

A. 예배현장의 위기 진단 13

1. 탈교회 현상과 예배 13

2. 탈육신 현상과 예배 15

3. 한국 교회와 현대적 예배 16

B. 예배신학적 대안 모색 18

1. 예배신학적 대안의 기준 18

2. 시대적 상황에 응답하는 축제로서의 예배신학 정립 20

III. 구원의 축제로서의 예배신학 22

A. 축제의 의미와 특징 22

1. 축제의 정의와 유래 22

2. 축제의 사회적 의미와 기능 24

3. 축제의 특징: 종교성, 신체성, 유희성 26

B. 위르겐 몰트만의 메시아적 축제의 신학 29

1. 창조의 축제와 부활의 축제 29

2. 메시아적 축제로서의 예배 31

3. 메시아적 축제의 삶 33

C. 장자끄 폰 알멘의 축제와 예배 36

1. 구원의 축제와 예배 36

2. 세상을 변화시키는 축제로서의 예배 38

3. 소통과 화합의 축제와 예배 40

IV. 축제와 몸의 예배신학 43

A. 몸의 의미와 통전적 이해 43

1. 몸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43

2. 포스트휴먼 신체론 45

3. 몸에 대한 통합적 관점 47

B. 위르겐 몰트만의 몸의 신학 49

1. 창조론과 신체성 49

2. 성육신과 몸의 부활 51

3. 감각의 영성 53

C. 장자끄 폰 알멘의 몸과 예배 55

1. 예배의 성육신적 기초 56

2. 예배의 표현양식과 몸의 감각 57

V. 축제와 놀이의 예배신학 60

A. 놀이의 의미와 특징 60

1. 놀이의 정의와 특징 60

2. 놀이의 형태와 사회적 작용 62

3. 놀이와 종교 64

B. 위르겐 몰트만의 놀이의 신학 65

1. 몰트만의 놀이 66

2. 놀이하는 하나님과 인간 67

3. 놀이의 장 69

C. 장자끄 폰 알멘의 놀이와 예배 70

1. 놀이의 규칙과 예배의 형식 70

2. 놀이의 비일상성과 예배의 시, 공간 72

3. 재현의 놀이와 성만찬 75

VI. 축제로서의 예배신학 정립을 위한 방향성 78

A. 축제로의 초대와 선포 78

1. 축제로의 초대 78

2. 축제의 선포 80

B. 감각과 초월이 감응하는 성육신적 예배 81

1. 예전의 언어인 몸의 적극적 활용 81

2.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에 대한 전인적 감응 83

C. 창조적 기쁨이 드러나는 놀이의 예배 85

1. 예배의 놀이 양식으로서의 예술 85

2. 비일상성 속의 창조적 기쁨 87

VII. 결론 89

A. 요약 89

B. 제언 90

참고문헌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