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2

1. 연구 동기 및 목적 12

2. 연구 방법 및 한계 24

II. 개혁신학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관점 26

1. '중보자 그리스도론'과 '그리스도의 중보론' 26

1) 중보자 그리스도론: 그리스도의 인격(위격적 연합)에 관하여 27

2) 그리스도의 중보론: 그리스도의 사역(위격적 감수)에 관하여 28

2. 창조중보자와 구원중보자 29

1) 창조중보자 그리스도 30

2) 구원중보자 그리스도 31

3. 구원: 그리스도의 영으로서 성령의 임재 32

4. 본 논문을 이끌어가는 중보자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관점 33

III.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협약(pactum salutis)에 따른 구원중보자 그리스도 35

1. (관점 1) '구원협약'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35

1) 삼위 하나님의 영원한 구원 작정인 구원협약 35

2) 구원협약과 성화 37

3) (관점 1)에 따라 분석한 바빙크의 성화론 38

2. (관점 2) '그리스도가 구원중보자이심'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44

1) 구원협약에 따라 '구원중보자'로 정해진 그리스도 44

2) 구원중보자 그리스도의 '구속사적 성취'와 '구원론적 적용' 47

3) (관점 2)에 따라 분석한 바빙크의 성화론 49

IV. 구원중보자 그리스도의 '다 이루신 의'와 '그 의의 전가' 53

1. (관점 3) 그리스도의 '다 이루신 의'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53

1) 하나님의 이중적 요구를 만족시킨 그리스도 54

2) 완전한 순종으로 다 이루신 '그리스도의 의' 56

3) (관점 3)에 따라 분석한 바빙크의 성화론 60

2. (관점 4) '의의 전가'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62

1) '의의 전가' 방식으로서의 성령을 통한 신비한 연합 63

2) '의의 전가'에 있어서 그리스도와 성령의 관계 67

3) (관점 4)에 따라 분석한 바빙크의 성화론 71

V. 구원중보자 그리스도의 '두 본성'과 '세 직분' 76

1. (관점 5)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76

1)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이신 중보자 그리스도 77

2) 신성에 따라 참 하나님이 인성을 취하여 참 사람이 되신 이유 78

3) (관점 5)에 따라 분석한 바빙크의 성화론 79

2. (관점 6) '삼중직'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84

1) 그리스도의 중보 방식으로서의 '삼중직' 85

2) 참된 선지자, 제사장, 왕이신 구원중보자 그리스도 87

3) (관점 6)에 따라 분석한 바빙크의 성화론 93

VI. 바빙크의 상급론 97

1. 성도의 선행에 따른 '상급'에 대한 입장들 97

1. 공로주의자들의 입장: 인간의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서 상급이 있음 97

2. 바빙크의 입장 1: 구원에 관한 인간의 공로가 전혀 없음 99

3. 바빙크의 입장 2: 선행에 대한 보상을 요구할 수 없음 102

4. 바빙크의 입장 3: 은혜로 상급을 주심 103

VII. 결론: 바빙크는 성화를 하나님의 주권에 따른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의'를 전가 받은 자들이 중보자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아래 이루어 가는 구원서정 중 하나로 이해했다 108

(관점 1) '구원협약'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109

(관점 2) '그리스도가 구원중보자이심'에 따른 계속적 중보 사역 109

(관점 3) 그리스도의 '다 이루신 의'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109

(관점 4) '의의 전가'에 따른 계속적 중보 사역 110

(관점 5)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110

(관점 6) '의의 전가'에 따른 계속적 중보 사역 111

참고문헌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