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개혁신학의 입장을 따라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관점을 6가지로 정의하여 그 관점에 따라 바빙크의 성화론을 분석한 것이다. 칼빈의 전통을 따르는 개혁신학은 칭의와 성화를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에 따른 이중적 은혜로 이해한다.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관점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서철원 교수의 박사 학위 논문인 The Creation-Mediatorship of Jesus Christ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를 이끌어가는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관점 6가지는 다음과 같다.

관점 1. '구원협약'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관점 2. '그리스도가 구원중보자이심'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관점 3. 그리스도의 '다 이루신 의'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관점 4. '의의 전가'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사역, 관점 5.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관점 6. '삼중직'에 따른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사역.

기독론 중심의 개혁신학자인 바빙크의 저서 『개혁교의학』에서 성화론에 해당하는 53장 '성화와 견인'을 대상으로 삼아 앞서 제시한 6개의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바빙크가 성화를 그리스도의 계속적인 중보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였음을 밝힌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하나님의 주권과 사람의 역할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하나님과 사람사이의 영원한 중보자이신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아래서 성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성화론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인 상급론도 공로주의자들과 바빙크의 입장을 비교하여 다루었는데, 이를 통해 상급론 마저도 그리스도의 계속적 중보 아래에서 성화를 이해한 바빙크의 일관된 견해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