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필리핀 차세대 리더를 위한 성경적 멘토링 방법에 제안하고자 문헌검토연구와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했다. 멘토링은 사람 간의 관계에서 경험자인 멘토의 지식, 지혜, 가치관, 기술 등을 멘토의 도움이 필요한 멘티에게 전수하여 멘티의 성장과 발전을 이끈다. 멘토는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역량을 지닌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여 키워갈 의무를 지닌다. 특히, 선교 현장에서 이러한 차세대 리더의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먼저 멘토링의 이해와 성경적 멘토링의 이해를 위해 문헌검토연구를 통해 멘토링 정의, 종류 및 성경 인물간의 멘토링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멘토링의 효과적인 진행을 위해 다섯 가지 역동성인 호감, 관계, 반응, 책무, 능력 부여의 역동성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실제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이 멘토링에 대한 이해가 있는지와 그들은 성경적 멘토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멘토와 멘토링을 원하는지에 대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멘토링을 원하며 그 멘토링이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설문에 참여한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멘토링에 대해 이미알고 있고 그 중 2/3의 참여자는 현재 멘토가 있다고 응답했다. 멘토가 없다는 응답자들도 앞으로 자신들에게 멘토가 있기를 바란다는 응답을 했고, 모든 참여자가 멘토링은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대답을 하며 멘토링에 대한 필요성과 유익에 관심을 나타냈다.

둘째,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성경적 멘토링을 원하며 특히 영적 지도자, 제자 훈련자의 멘토를 원했다. 성경적 멘토링을 그들의 삶에 적용하고 싶어하며, 자신들을 이끌어줄 영적 지도자, 제자 훈련자의 멘토를 원하고 있다. 구약 성경의 멘토링 관계에서 모세와 여호수아, 신약 성경의 멘토링 관계에서 예수님과 그 제자들을 가장 많은 수가 그들이 원하는 멘토링 관계로 선택했다는 것이 이를 입증해준다.

마지막으로,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은 성숙한 멘토와의 상향 멘토링을 통해 자기 발전을 이루기를 원했다. 그들이 원하는 멘토로 가장 많은 응답을 받은 '바울'이 이러한 상향 멘토링의 모델을 보여준다. 필리핀 차세대 리더들에게 성경적 멘토링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한국인 선교사는 '성숙한 멘토로서의 바울'과 '멘티에서 멘토로 성장하는 바울'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