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의 목적 17

3. 연구의 가설 17

4. 용어의 정의 19

가. 공기업 근로자 19

나. 직무특성 19

다. 내재적 동기 19

라. 무형식 학습 20

마. 긍정적 실책관리문화 20

바. 경력개발지원 20

5. 연구의 제한 20

II. 이론적 배경 21

1. 공기업 근로자 21

가. 공기업의 정의 21

나. 공기업 근로자의 정의 25

다. 공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 28

2. 무형식 학습 32

가. 무형식 학습의 개념 32

나. 무형식 학습 관련 이론 36

3.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46

가. 직무특성 46

나. 내재적 동기 51

4. 긍정적 실책관리문화, 경력개발지원 62

가. 긍정적 실책관리문화 62

나. 경력개발지원 69

5. 무형식 학습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 74

가. 직접적 영향관계 74

나. 매개효과 79

다. 조절효과 80

III. 연구 방법 88

1. 연구 모형 88

2. 연구 대상 89

3. 조사 도구 91

가. 무형식 학습 측정도구 93

나. 직무특성 측정도구 94

다. 내재적 동기 측정도구 96

라. 긍정적 실책관리문화 측정도구 97

마. 경력개발지원 측정도구 99

4. 자료 수집 100

5. 자료 분석 103

가. 분석방법 103

나. 동일방법 편의에 대한 검증 106

IV. 연구 결과 108

1. 연구변인의 기술통계량 108

가. 기술통계량 108

나. 공기업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무형식 학습 수준 111

다. 학력에 따른 차이 112

라.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 112

마. 직군에 따른 차이 113

바. 직급에 따른 차이 113

2. 직접효과 114

가. 무형식 학습에 대한 직무특성의 직접효과 114

나. 내재적 동기에 대한 직무특성의 직접효과 115

다. 무형식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의 직접효과 116

3. 매개효과 117

가. 직무특성과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117

4. 조절효과 118

가.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118

나.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125

5.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133

가. 직접효과에 대한 논의 133

나. 매개효과에 대한 논의 135

다. 조절효과에 대한 논의 137

V. 결론 및 제언 141

1. 요약 141

2. 결론 143

2. 제언 145

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45

나. 실천적 제언 147

참고문헌 149

별첨 1. 내용타당도 검토 184

부록_조사도구 190

Abstract 196

〈표 II-1〉 공기업 분류기준 및 지정현황 22

〈표 II-2〉 경영평가 유형에 따른 공기업 분류 23

〈표 II-3〉 공기업 수입지출 현황 23

〈표 II-4〉 공기업 임직원 정원 현황 24

〈표 II-5〉 2021년 인천국제공항공사 하반기 일반직 신입직원 채용공고 26

〈표 II-6〉 인천국제공항공사 일반직 직무 예시 27

〈표 II-7〉 무형식학습 개념 주요논의 34

〈표 II-8〉 경험학습과정 및 학습성과 38

〈표 II-9〉 직무특성이론의 초기 연구흐름 48

〈표 II-10〉 동기에 관한 개념 정의 52

〈표 II-11〉 경력개발의 기대효과 70

〈표 II-12〉 변인간 관계 종합 87

〈표 III-1〉 2020년-2022년 공기업 지정 수 90

〈표 III-2〉 조사도구 구성 91

〈표 III-3〉 무형식 학습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93

〈표 III-4〉 무형식 학습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4

〈표 III-5〉 직무특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95

〈표 III-6〉 직무특성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5

〈표 III-7〉 내재적 동기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96

〈표 III-8〉 내재적 동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7

〈표 III-9〉 긍정적 실책관리문화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98

〈표 III-10〉 긍정적 실책관리문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8

〈표 III-11〉 경력개발지원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99

〈표 III-12〉 경력개발지원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9

〈표 III-13〉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02

〈표 III-14〉 가설별 분석방법 105

〈표 IV-1〉 변인의 기술통계량 108

〈표 IV-2〉 정규성 검증 결과 109

〈표 IV-3〉 다중 공선성 검증 결과 110

〈표 IV-4〉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110

〈표 IV-5〉 성별에 따른 무형식 학습 수준 차이 111

〈표 IV-6〉 연령에 따른 무형식 학습 수준 차이 111

〈표 IV-7〉 학력에 따른 무형식 학습 수준 차이 112

〈표 IV-8〉 근무기간에 따른 무형식 학습 수준 차이 112

〈표 IV-9〉 직군에 따른 무형식 학습 수준 차이 113

〈표 IV-10〉 직급에 따른 무형식 학습 수준 차이 113

〈표 IV-11〉 직무특성과 무형식 학습의 직접적 영향관계 114

〈표 IV-12〉 직무특성과 내재적 동기의 직접적 영향관계 115

〈표 IV-13〉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직접적 영향관계 116

〈표 IV-14〉 직무특성과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결과 117

〈표 IV-15〉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개별경로 분석 결과 119

〈표 IV-16〉 내재적 동기에 대한 직무특성-긍정적 실책관리문화 상호효과의 유의성 분석 120

〈표 IV-17〉 무형식 학습에 대한 직무특성-긍정적 실책관리문화 상호효과의 유의성 분석 121

〈표 IV-18〉 직무특성과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에 의한 조건부 직접효과 탐색 123

〈표 IV-19〉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된 매개지수 부트스트래핑 결과 123

〈표 IV-20〉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에 의한 조건부 간접효과 탐색 124

〈표 IV-21〉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개별경로 분석 결과 126

〈표 IV-22〉 무형식 학습에 대한 직무특성-경력개발지원 상호효과의 유의성 128

〈표 IV-23〉 무형식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경력개발지원 상호효과의 유의성 분석 128

〈표 IV-24〉 직무특성과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에 의한 조건부 직접효과 탐색 130

〈표 IV-25〉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된 매개지수 부트스트래핑 결과 131

〈표 IV-26〉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에 의한 조건부 간접효과 탐색 131

〈표 IV-27〉 연구가설 채택여부 132

[그림 II-1] 경험학습이론 모형 37

[그림 II-2] 활동체계 41

[그림 II-3] 일터학습 3P 모형 43

[그림 II-4] Hackman & Oldham(1976)의 직무특성모형 49

[그림 II-5] 자기결정성에 따른 동기유형 54

[그림 II-6] Eccles & Wigfield의 기대-가치모형(2002) 59

[그림 II-7] Lewin(1951) & Kilmann(1989) 통합모형 67

[그림 III-1] 직무특성, 내재적 동기 및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와 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연구모형 88

[그림 IV-1]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그래프 120

[그림 IV-2] 긍정적 실책관리문화 상호효과의 유의성 그래프 122

[그림 IV-3] 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그래프 127

[그림 IV-4] 경력개발지원 상호효과의 유의성 그래프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