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 배경 10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범위 13
제2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14
제1절 역할스트레스 14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14
2. 역할스트레스의 개념 및 구성요인 16
제2절 재택근무 20
1. 재택근무의 개념 20
2. 재택근무의 도입 배경 및 분류 21
3. 재택근무의 양면성 23
제3절 세대 26
1. 세대의 개념 및 구분 26
2. 세대별 특징 28
3. 세대 차이(generation gap) 31
제3장 연구설계 33
제1절 연구방법 및 연구가설 33
1. 연구방법 및 연구 모형 33
2. 연구가설 34
제2절 분석자료 41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2
1. 독립변수 42
2. 종속변수 44
3. 조절변수 45
4. 통제변수 46
5.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성 48
제4절 분석방법 49
제4장 분석 결과 및 해석 51
제1절 표본의 특성 51
제2절 변수들의 기초통계 53
1. 독립변수의 기초통계량 53
2. 종속변수의 기초통계량 54
3. 조절변수의 기초통계량 54
4. 통제변수의 기초통계량 54
제3절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55
제4절 모형 평가 56
1. 다중공선성 검사 56
2. 동일방법편의 58
제5절 연구가설 검증 59
1. 역할스트레스가 재택근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9
2. 역할스트레스와 재택근무 만족도 간 관계에 대한 세대의 조절효과 63
제5장 결론 70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해석 70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72
제3절 연구의 한계 73
참고문헌 75
Abstract 86
[표 2-1] 재택근무의 장점 및 단점 25
[표 2-2] 세대 구분과 특성 27
[표 3-1] 역할스트레스 하위 설문 문항 44
[표 3-2] 재택근무 만족도 세부 설문 문항 45
[표 3-3] 세대 문항 45
[표 3-4] 근무환경 관련 세부 설문 문항 46
[표 3-5] 자원제공 관련 세부 설문 문항 47
[표 3-6]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9
[표 4-1] 응답자 특성별 분포 51
[표 4-2] 독립변수의 기초통계 53
[표 4-3] 종속변수의 기초통계 54
[표 4-4] 조절변수의 기초통계 54
[표 4-5] 통제변수의 기초통계 55
[표 4-6] 변수 간 Pearson 상관관계 분석 결과 56
[표 4-7] VIF 검정 결과 57
[표 4-8] Harman's Single Factor Test 결과 59
[표 4-9]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가설 검증 결과 60
[표 4-10] 역할갈등 61
[표 4-11] 역할모호성 62
[표 4-12] 역할과다 63
[표 4-13] 조절효과 가설검증 결과 64
[표 4-14] 세대의 조절효과에 대한 회귀분석 (독립변수: 역할갈등, 종속변수: 재택근무 만족도) 66
[표 4-15] 세대의 조절효과에 대한 회귀분석 (독립변수: 역할모호성, 종속변수: 재택근무 만족도) 67
[표 4-16] 세대의 조절효과에 대한 회귀분석 (독립변수: 역할과다, 종속변수: 재택근무 만족도) 68
[그림 2-1] 재택근무 상위개념 구분 23
[그림 3-1] 연구 모형 34
[그림 4-1] 세대의 조절효과 그래프 (역할갈등-재택근무 만족도) 69
[그림 4-2] 세대의 조절효과 그래프 (역할모호-재택근무 만족도)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