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2
제2절 연구의 방법, 대상 및 범위 16
제3절 논문의 구성 17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8
제1절 이론적 배경 18
1. 리더십 이론 18
2. 직무스트레스 26
제2절 선행연구 검토 34
1. 경찰조직의 리더십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34
2. 경찰조직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37
3. 선행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41
제3장 연구설계 43
제1절 연구모형 설계 43
제2절 가설 설정 44
제3절 연구 방법 48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48
2. 설문지의 구성 55
3. 자료의 수집 57
4. 분석 방법 57
제4장 연구결과 59
제1절 기초 통계분석 59
1.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9
2. 주요변수 기술통계 62
제2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63
1. 변수의 신뢰도 분석 63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 66
제3절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67
제4절 가설검증 70
1. 리더십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의 영향력 검증 70
2. 면담 조사 결과 82
제5절 근무부서별 영향력 차이 분석 87
제5장 결론 90
제1절 연구결과 요약 90
제2절 연구의 시사점, 정책적 함의 93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96
참고문헌 99
부록 108
Abstract 118
〈표 1〉 리더십의 정의 요약 18
〈표 2〉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정의 요약 27
〈표 3〉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
〈표 4〉 주요 선행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요약 40
〈표 5〉 리더십 유형에 대한 설문의 구성 50
〈표 6〉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의 구성 54
〈표 7〉 설문지의 구성 56
〈표 8〉 설문지 응답 현황 57
〈표 9〉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0
〈표 10〉 주요변수 기술통계 분석결과 63
〈표 11〉 초기 설문지 변수의 신뢰도 분석결과 65
〈표 12〉 수정된 설문지 변수의 신뢰도 분석결과 65
〈표 13〉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타당도 66
〈표 14〉 리더십에 대한 타당도 67
〈표 15〉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68
〈표 16〉 통제변수의 재분류 71
〈표 17〉 변혁적 리더십,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72
〈표 18〉 거래적 리더십,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74
〈표 19〉 자유방임형 리더십,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76
〈표 20〉 윤리적 리더십,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78
〈표 21〉 서번트 리더십,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80
〈표 22〉 가설검증 결과 요약 82
〈표 23〉 근무부서별 리더십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영향력 분석 결과 87
〈그림 1〉 The Loci and Mechanisms of Leadership 23
〈그림 2〉 연구모형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