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경찰조직 내에서 경찰관리자가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달라질 것인가'라는 의문점에서 시작하였다. 경찰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자유방임형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직무스트레스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전 경찰관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180부의 설문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카리스마, 이상적 영향, 영감적 동기화, 지적 자극, 개별 배려 등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들은 효과적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찰관리자의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소극적 예외관리를 제외한 연계 보상과 적극적 예외관리 등의 거래적 리더십 하위요인들은 긍적적으로 발휘될 경우에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경찰관리자의 자유방임형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리더십의 부재를 느끼고 업무환경에서의 역할모호와 신뢰관계 저하 등 자유방임형 리더십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는 결과를 얻었다.

넷째, 경찰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규범적 행위, 소통과 강화, 공정한 의사결정 등은 조직구성원들 사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상사가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였을 때 직무스트레스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경찰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기존의 권위적이고 위계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부하들을 위하고 배려하는 상사의 행동은 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근무부서별로는 수사부서가 타부서에 비해 리더십 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부서에 비해서 개인으로 처리하는 사건이 많은 수사부서의 특성을 고려하면 리더가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리더십 유형이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데 의의가 있다. 기존에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자유방임형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등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을 추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다른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보이는 경찰조직에서 효과적인 직무스트레스 감소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리더의 '태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거래적 리더십에 있어서는 리더의 '동기' 또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전략으로 상사의 적합한 리더십의 발휘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경찰관리자는 소극적인 리더십 발휘를 의미하는 자유방임형 리더십은 지양하고 나머지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을 상황에 맞게 발휘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조직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