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5G와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하면서 사진을 읽고 영화를 보는 트렌드는 멈출 수 없는 현상이 되었다. 이러한 이미지 시대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영상자료는 사람들의 사고와 인지에 강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 비디오 기반 지식 기반 학습이 표준이라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비디오의 중요한 유형으로서 영화는 확실히 현 세기에 더 큰 교육적 역할을 해야 합니다. 중국의 초등 및 중등학교의 영화 및 텔레비전 교육은 초기에 다소 덜 실용적인 경험으로 시작되었다. 주정부가 초등 및 중등학교의 영화 및 텔레비전 교육에 더 중점을 두면서 정책 지원이 제공되고 지방 정부가 실험을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영상교육은 앞으로 교육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가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초·중학교 영상교육 만족도, 인식, 요구 등에 대한 설문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학생·교사·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현행 영상교육의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길림성 통화실험초등학교와 13중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영상교육 참여 교사와 학생 만족도, 인식, 요구 설문조사, 그리고 교사 대상의 반구조화 인터뷰는 이들의 영상교육에 대한 인지와 기대치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 및 현장의 영상교육 전문가와 관련 교육과정 전문가를 연구대상에 포함시켜 이들이 생각하는 영상교육 개선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사된 양적 질적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만족도, 인지도, 요구도의 결과에서 학생들은 영상교육과정 구성, 시간배분, 평가방법, 네트워크 자원, 학습장소, 교사의 교수방법 및 학습 분위기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영상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지만, 그들 부모들의 영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영상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주로 그들이 좋아하는 영화와 텔레비전 작품과 교수법의 다양했다.

둘째, 교사의 영상교육 만족도와 관련하여, 만족도 조사영역 6개 중에서 교육방법과 교사훈련 영역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개선제안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영상교육 모형의 필요성, 학교의 계획적인 교사연수 지원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교수법과 교사 양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셋째, 영화와 텔레비전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전문가들의 제안은 교육정책, 교원양성, 학습환경의 3가지 측면에서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영상교육에 관한 법률과 규정을 제정하고 영상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기준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안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영상교육의 개선안으로 4가지 측면인 교육정책, 교육방법, 교사양성, 교육환경 등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육정책에는 영상교육을 관장하는 규칙 및 규정의 수립과 영상교육을 위한 교과 과정 표준의 개선 등이 포함된다. 둘째, 교육방법의 다양화와 학생의 풍부한 생활적용 활동 등은 교육방법의 주요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교원연수, 학교교원양성, 대학과의 교원양성, 온라인 교원양성과정 개설 등이 교원양성의 개선방향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하드웨어 시설의 설치를 늘리고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영상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은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중요한 측면이다.

본 연구는 향후 중국 영상교육이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의 이론적 토대와 효과적인 영상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