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2. 연구문제 16

II. 이론적 배경 17

1. 미술사 교과 17

2. 학습자주도 수업과 교수자주도 수업 20

3. 학업자기효능감 25

4. 학습몰입 28

5. 학업성취 30

6. 학습자주도 수업과 교수자주도 수업의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관계 33

III. 연구방법 35

1. 연구대상 35

2. 연구설계 36

3. 연구절차 37

4. 수업내용 39

5. 교수설계 40

6. 측정도구 42

1) 학업자기효능감 42

2) 학습몰입 42

3) 학업성취도 43

4)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기술통계 44

IV. 연구결과 47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7

1) 성별에 따른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47

2)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른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47

3) 도시와 농촌의 출신지에 따른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48

2.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동질성 분석 48

3. 미술사 교과교육의 학습자주도 수업이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51

V. 결론 및 논의 58

참고문헌 62

부록 90

부록1-1. 국문설문지 90

부록1-2. 중문설문지 95

부록2-1. 실험 전 회전 후 학업 자기효능감 요인행렬표 99

부록2-2. 실험 후 회전 후 학업 자기효능감 요인행렬표 100

부록3-1. 실험 전 회전 후 학습몰입 요인행렬표 101

부록3-2. 실험 후 회전 후 학습몰입 요인행렬표 102

부록4-1. 미술사 수업 전 시험지 103

부록4-2. 미술사 수업 후 시험지 106

부록5-1. 美術史課前測試卷 109

부록5-2. 美術史課后測試卷 111

Abstract 115

〈표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6

〈표 2〉 연구설계 37

〈표 3〉 미술사 교재 39

〈표 4〉 실험군과 대조군의 8주 교과교육의 수업진도 40

〈표 5〉 실험군과 대조군의 8주 교과교육의 수업설계 41

〈표 6〉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43

〈표 7〉 학업성취도 척도의 문항 및 구성 44

〈표 8〉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기술통계 45

〈표 9〉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과 학업성취의 평균차이 검증 49

〈표 10〉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의 실험 전·후의 평균 차이 분석 50

〈그림 1〉 연구절차 38

〈그림 2〉 수업 전과 8주간의 실험군과 대조군 수업 후의 학업자기효능감의 변화 52

〈그림 3〉 수업 전과 8주간의 실험군과 대조군 수업 후의 학습몰입의 변화 53

〈그림 4〉 수업 전과 8주간의 실험군과 대조군 수업 후의 학업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관계 54

〈그림 5〉 수업 전과 8주간의 실험군과 대조군 수업 후의 학업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 55

〈그림 6〉 수업 전과 8주간의 실험군과 대조군 수업 후의 학습몰입과 학업성취의 관계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