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후난성 H 사범대학 미술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대학 미술사 교과교육의 학습자주도 수업과 교수자주도 수업이 학생의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학습자주도군과 교수자주도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들의 결과들은 미술사 교과교육의 교수개발과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8주(720분)동안의 미술사 교육에서, 학습자주도군은 60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주도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교수자주도군은 65명을 대상으로는 교수자주도 수업을 실시하였다. 미술사 교과교육 수업형태에 따른 실험을 전후로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의 설문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성 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의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는 학습자주도군과 교수자주도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후 학업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자신감, 과제 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 학습몰입 전체와 하위요인인 인지성 학습몰입, 행동성 학습몰입, 학업성취도는 학습자주도군과 교수자주도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학습자주도 수업의 학습자주도군은 학업자기효능감 전체와 각 하위요인, 학습몰입 전체와 각 하위요인 및 학업성취도는 모두 실험 전보다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수자주도 수업의 교수자주도군에서 사전, 사후검사의 학업자기효능감의 전체와 각 하위요인, 학습몰입 전체와 각 하위요인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학업성취도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실험을 통해 학습자주도 교수법은 기존의 교수자주도 수업에 비해 학업자기효능감을 높이고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학습에 대한 심리조절능력과 과제선호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인식과 행동적 몰입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남성 H대학 미술사 수업에서, 전통적인 교수자주도 수업에 비해 학습자주도 교수법은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수업의 질적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술사 교과목 수업에서 학습자주도 수업방식은 교수자가 주도하는 수업에 비해 학업자기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가 더 높기 때문에, 대학 미술사 교과목 교육에는 학습자주도 수업방식이 더 적합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대학 미술사 교육과정의 효율적 교육을 위해 학생들이 교과 학습을 주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법과 실행 전략을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