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문제 18
3. 용어 정의 18
1) 디자인씽킹 18
2) 창의적 문제해결력 19
3) 공감 19
II. 이론적 배경 20
1. 디자인 씽킹 20
1) 디자인씽킹의 필요성 및 개념 20
2) 디자인씽킹의 모델 23
3) 디자인씽킹의 특징 30
4) 디자인씽킹의 활용 33
2. 공감능력 35
3. 창의적 문제해결력 40
4. 변인들 간의 관계 43
1) 디자인씽킹과 공감능력 43
2) 디자인씽킹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45
III. 연구방법 및 절차 47
1. 연구대상 47
2. 연구설계 47
1) 연구설계 47
2) 디자인씽킹 수업의 내용 48
3) 디자인씽킹 수업 과정 50
3. 측정도구 51
1) 공감능력 51
2) 창의적 문제해결력 52
4. 자료분석 53
IV. 결과 54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4
2.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56
1)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56
2) 상관관계 분석 60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1
1)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1
2) 출생지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3
3) 외동여부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4
4) 가정연수입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5
5) 학업성취도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7
4. 공감능력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69
5.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디자인교육에 의한 공감능력의 변화 71
6.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디자인교육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변화 72
V. 결론 및 제언 73
1. 결론 73
2. 논의 및 제언 75
1) 논의 75
2) 제언 76
참고문헌 78
부록 94
부록 1. 설문지 94
부록 2. 디자인씽킹 활동 사진 100
부록 3. 디자인씽킹을 통하여 얻어진 여러 프로토타입 102
Abstract 103
〈표 2-1〉 디자인씽킹 4가지 모델의 비교 29
〈표 2-2〉 디자인씽킹 각 단계의 산출물 32
〈표 3-1〉 연구설계 48
〈표 3-2〉 디자인씽킹 수업의 주차별 내용 49
〈표 3-3〉 공감능력 척도와 문항구성 51
〈표 3-4〉 창의적 문제해결력 척도와 문항구성 52
〈표 4-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5
〈표 4-2〉 공감능력 척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57
〈표 4-3〉 창의적 문제해결력 척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59
〈표 4-4〉 변수들간의 피어슨 상관관계 61
〈표 4-5〉 성별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2
〈표 4-6〉 출생지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3
〈표 4-7〉 외동여부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4
〈표 4-8〉 가정연수입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6
〈표 4-9〉 학업성취도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68
〈표 4-10〉 공감능력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70
〈표 4-11〉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디자인교육에 의한 공감능력의 변화 71
〈표 4-12〉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디자인교육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변화 72
[그림 1] 스탠포드 대학 디스쿨(d.school) 모델 23
[그림 2] IDEO의 3I 디자인씽킹 모델 25
[그림 3] 포츠담 대학의 하소-플래트너 연구소 모델 27
[그림 4] 영국 디자인카운슬의 더블다이아몬드 모델 28
[그림 5] 창의성·문제해결·창의적 문제해결의 관계 41
[그림 6] 디자인 수업에 적용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