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디자인교육이 중국 미술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국 미술대학교 실내디자인 수업을 듣는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수업이 중국 미술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의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로 설계하였다. 사전검사는 실험처지 1주 전에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실험처치 직후에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32회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조사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고,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으로, 공감능력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디자인씽킹 교육을 통해 변화한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조사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성별, 출생지, 외동여부, 가정연수입, 학업성취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모든 요인에서 성별, 출생지, 외동여부, 가정연수입, 학업성취도에 따른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실내디자인 수업은 실험집단의 공감능력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디자인교육은 미술대학생의 공감능력을 높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실내디자인 수업은 실험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디자인교육은 미술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미술대학생의 디자인수업이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며, 일상에 대한 관찰, 공감, 발견, 문제 정의, 아이디어 생성, 효과적인 전달 및 설득 등의 과정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학습과 협동심, 자신감 향상,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등의 함양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검증되었다. 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이 디자인교육에서 미술대학생들의 공감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프로그램이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