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2. 연구문제 14
II. 이론적 배경 15
1. 협력학습 15
2. 개별학습 18
3. 자기효능감 20
4. 주의집중력 23
5. 학교생활 만족도 25
III.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절차 30
3. 학습내용 33
4. 측정도구 37
1) 자기효능감 37
2) 주의집중력 37
3) 학교생활 만족도 38
4)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기술통계 39
5. 연구설계 44
6. 통계처리 45
IV. 연구 결과 및 분석 46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6
1)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 주의집중 및 학교생활 만족도 46
2) 출신지에 따른 자기효능감, 주의집중 및 학교생활 만족도 46
3) 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 주의집중 및 학교생활 만족도 평균차이 분석 47
2.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동질성 분석 47
3. 협력학습이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8
V.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59
부록 77
부록 1. 국문설문지 77
부록 2. 중국어 설문지 82
부록 3.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의 회전 후 요인 행렬표 87
부록 4. 주의집중력(Attention Concentration)의 회전 후 요인 행렬표 88
부록 5. 학교생활만족도(School Life Satisfaction)의 회전 후 요인 행렬표 89
부록 6. 디자인협력학습에 의해 만들어진 주차별 디자인들 90
부록 7. 디자인개별학습에 의해 만들어진 주차별 디자인들 93
Abstract 97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0
〈표 2〉 제품혁신디자인의 학습 교재와 내용들 33
〈표 3〉 실험군과 대조군의 14주차 학습 진행표 34
〈표 4〉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만족도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사전·사후의 신뢰도 분석결과 40
〈표 5〉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의 사전과 사후 검사의 기술통계 41
〈표 6〉 연구설계 44
〈표 7〉 인구통계학적 변수에따른자기효능감, 주의집중 및 학교생활만족도 평균차이분석 49
〈표 8〉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사전·사후의 평균차이 분석결과 50
〈그림 1〉 연구절차 32
〈그림 2〉 수업 전과 '협력학습 및 개별학습 후'의 자기효능감의 변화 52
〈그림 3〉 수업 전과 '협력학습 및 개별학습 후'의 주의집중력의 변화 53
〈그림 4〉 수업 전과 '협력학습 및 개별학습 후'의 학교생활 만족도의 변화 54
〈그림 5〉 수업 전과 '협력학습 및 개별학습 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56
〈그림 6〉 수업 전과 '협력학습 및 개별학습 후'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