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종합대학 예술디자인전공에서의 교육인성발달 가능성과 그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고, 예술디자인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협력학습, 개별학습(독립변수)이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 만족도'(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으로 협력학습, 개별학습,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 만족도 의 개념과 의미를 정리하고 고찰내용에 따라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후난성 H대학의 예술디자인학과 3학년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팀은 57명, 대조팀은 63명이었다. 1,120분(14주)의 제품혁신디자인 교과목에서 실험군은 협력학습을, 대조군은 개별학습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수업 전후에 각각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 조사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만족도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성 검증, 독립표본과 대응표본 t-test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하기전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들의 협력학습의 실험군과 개별학습의 대조군의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 만족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 후 협력학습의 실험군과 개별학습의 대조군의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만족도는 큰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협력학습을 통한 제품혁신디자인의 교과학습은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 만족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개별학습을 통한 제품혁신디자인의 교과학습은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제품혁신디자인 교과의 협력학습은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주의집중력, 학교생활 만족도의 향상에 큰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이 협력학습은 학습동기, 학습효과 및 학습자의 요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