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배경 및 목적 9
2. 연구범위 및 방법 10
II. 본론 12
1. 조선시대 회화의 특징 12
1) 시대적인 배경 12
2) 회화의 특징 20
3) 한국의 미술 회화사 23
2. 신사임당의 초충도 형성 배경 28
1) 생애 28
2) 배경 31
3. 작가의 작품세계와 분석 36
1) 초충도 구성 36
2) 구도 50
3) 색채 55
4) 소재와 주제 57
4. 신사임당의 예술가치관 59
1) 예술철학 59
2) 한국의 미 65
III. 결론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1
[도판 1] 이암, 화조구자도 15
[도판 2] 정선, 진경산수화 17
[도판 3] 김두량, 삽살개 수묵담채 35x45cm 개인소장 19
[도판 4] 홍세섭 유압도, 비단에 수묵 119.5x47.8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22
[도판 5] 상감청자모란문항(象嵌靑磁牡丹文缸) 33
[도판 6] 청자상감나비무늬대접(靑磁象嵌나비무늬대접) 33
[도판 7] 수박과 들쥐 38
[도판 8] 수박과 개미취 38
[도판 9] 수박과 여치 39
[도판 10] 수박꽃과 쇠똥벌레 39
[도판 11] 맨드라미와 도라지 40
[도판 12] 맨드라미와 개구리 40
[도판 13] 맨드라미와 쇠똥벌레 41
[도판 14] 맨드라미와 원추리[내용없음] 7
[도판 14] 양귀비와 도마뱀 41
[도판 15] 양귀비와 호랑나비 41
[도판 16] 양귀비와 풍뎅이 42
[도판 17] 가지와 방아깨비 43
[도판 18] 가지와 땅딸기 43
[도판 19] 가지와 사마귀 44
[도판 20] 오이와 개미취 45
[도판 21] 오이와 개구리 45
[도판 22] 오이와 메뚜기 45
[도판 23] 봉선화와 잠자리 48
[도판 24] 원추리와 벌 49
[도판 25] 산차조기와 검은잠자리 52
[도판 26] 도라지꽃과 여치 54
[도판 27] 원추리와 개구리 61